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 1학년 형태소 인식 능력에 따른 초등 2학년 발달성 난독 아동의 읽기발달 특성

이용수  0

영문명
Reading Development in 2nd-Grade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yslexia: The Role of Morphological Awareness in First Graders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엄지목(Jimok Eom) 유해림(Haerim Yu) 배소영(Soyeong Pae)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vol30. no.2, 281~291쪽, 전체 1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4,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교 1학년 시점 발달성 난독 아동의 형태소 인식(MA, Morphological awareness) 능력에 따라 초등학교2학년 시점 읽기 수행력의 차이를 종단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초등학교 1학년 발달성 난독 아동을 MA 능력에 따라 MA 통과 집단 10명과 MA 미통과 집단 10명으로 나누어 T1 (1학년 1학기), T2 (2학년 1학기) 시점에 평가를 실시하였다. 읽기 능력은 해독, 문단글 읽기 유창성, 읽기이해 능력으로 살펴보았다. 결과: 해독은 T1 시점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T2 시점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문단글 읽기 유창성은 두 시점 모두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읽기이해는 T1 시점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T2 시점에서의 집단 간 격차가 커져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MA 능력이 발달성 난독 아동의 읽기 능력에 영향을 미치며, 특히 읽기이해 능력에 지속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는 한국 초등 1-2학년 발달성 난독 아동에게 MA 능력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초등 중학년 이후 아동을 대상으로 형태소 인식 능력에 따른 읽기 수행을 살펴보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longitudinal study investigated whether morphological awareness (MA) ability in first-grad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yslexia predicts differences in their sec ond-grade reading performance. Methods: Twenty first-grad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yslexia were divided into MA-good (N=10) and MA-poor (N=10) groups based on their MA performance. Their reading skills (decoding, text reading fluency, and reading comprehension) were assessed at T1 (first semester of first grade) and T2 (first semester of second grade).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group difference in decoding ability at T1, but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at T2. Text reading fluency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groups at either time point. In reading comprehension, however,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emerged, with the gap between groups widening by T2. Conclusion: MA ability plays a critical role in the reading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develop mental dyslexia, particularly affecting reading comprehension. This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MA skills in early elementary students. Future research should examine the impact of MA on reading performance beyond the second grade.;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엄지목(Jimok Eom),유해림(Haerim Yu),배소영(Soyeong Pae). (2025).초등 1학년 형태소 인식 능력에 따른 초등 2학년 발달성 난독 아동의 읽기발달 특성.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30 (2), 281-291

MLA

엄지목(Jimok Eom),유해림(Haerim Yu),배소영(Soyeong Pae). "초등 1학년 형태소 인식 능력에 따른 초등 2학년 발달성 난독 아동의 읽기발달 특성."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30.2(2025): 281-29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