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사회불안과 관계적 공격성의 관계에서 의도적 통제 수준에 따른 분노반추의 매개효과

이용수  0

영문명
The Mediating Effect of Anger Rumination by Effortful Control on the Relationship Social Anxiety and Relational Aggression
발행기관
한국자료분석학회
저자명
박해린(Haelin Park) 이장한(Janghan Lee)
간행물 정보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Vol.27 No.2, 671~685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자연과학 > 통계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사회불안의 주요 특성인 타인에 대한 부정적 평가가 관계적 공격성으로 발현되는 과정에 기여하는 요인을 파악하고 심리적 기제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불안과 관계적 공격성 간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 기제인 의도적 통제에 의해 조절된 분노반추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410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평가에 대한 두려움 척도 단축형, 성인용 기질 척도, 자기보고식 공격성 및 사회행동 척도, 분노반추 척도, 우울척도 점수를 기준으로 사회불안, 의도적 통제, 관계적 공격성, 분노반추, 우울을 측정하였다. SPSS 22.0과 Process Macro 3.3.5를 사용해 분석한 결과 사회불안과 관계적 공격성 간의 관계에서 의도적 통제에 조절된 분노반추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이는 사회불안이 높을수록 분노반추를 통해 관계적 공격성으로 발현할 위험이 높고, 의도적 통제의 수준이 높은 경우 분노반추의 수준이 낮아 사회불안이 관계적 공격성으로 발현되는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 결과는 사회불안자가 보이는 관계적 공격성으로의 발현 과정에 기여하는 요인을 확인하였고 나아가 이 과정을 조절하는 기제를 파악함으로써 사회불안자의 정서조절 능력을 고려한 치료적 개입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factors contributing to the process in which negative evaluation of others, a major characteristic of social anxiety, showed as relational aggression, and confirmed the psychological mechanism. To this end, the effect of anger rumination regulated by intentional control, a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mechanism, was verifi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nxiety and relational aggression. It was measured through an online self-report questionnaire for 410 people. As a result of analysis using SPSS 22.0 and Process Macro 3.3.5, social anxiety predicted relational aggression statically and the mediating effect of anger rumination conditioned on intentional contro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nxiety and relational aggression was significan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higher social anxiety is associated with a higher risk of manifesting relational aggression through anger rumination, and show that the higher level of intentional control, the lower the level of anger rumination. This study identified factors contributing to the process of expression of relational aggression by researching people with social anxiety and further suggest the necessity for a therapeutic intervention that can sublimate the negative emotions of people with social anxiety and can relieve anger by identifying the mechanisms regulating this process.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3. 결과 및 논의
4.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해린(Haelin Park),이장한(Janghan Lee). (2025).사회불안과 관계적 공격성의 관계에서 의도적 통제 수준에 따른 분노반추의 매개효과.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27 (2), 671-685

MLA

박해린(Haelin Park),이장한(Janghan Lee). "사회불안과 관계적 공격성의 관계에서 의도적 통제 수준에 따른 분노반추의 매개효과."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27.2(2025): 671-68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