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직장환경에서 소외 두려움(FoMO)의 양면성이 스트레스 평가에 미치는 영향: 일 관련 반추의 매개효과와 직무자율성의 조절 역할
이용수 0
- 영문명
- The Dual Nature of Workplace FoMO and Its Impact on Stress Appraisal : The Mediating Role of Work-Related Rumination and the Moderating Role of Job Autonomy
- 발행기관
- 한국자료분석학회
- 저자명
- 김미성(Mi Seong Kim) 허창구(Chang Goo Heo)
- 간행물 정보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Vol.27 No.2, 653~669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통계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직장 환경에서의 소외 두려움(Fear of Missing Out, FoMO)이 스트레스 평가(위협적 평가와 도전적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 과정에서 일 관련 반추의 하위 요인(정서적 반추와 문제해결 숙고)의 단순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직장 FoMO와 스트레스 평가의 관계를 문제해결 숙고가 매개하는 경로에 있어서 두 번째 경로인 문제해결 숙고로부터 스트레스 평가에 이르는 관계를 직무자율성이 조절하는지 확인하여 전체적으로 조절된 매개효과를 조사하였다. 국내 직장인 367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구조방정식 모형(SEM)과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연구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직장 FoMO는 위협적 평가와 도전적 평가를 모두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서적 반추는 위협적 평가를 강화하고 도전적 평가를 저해하는 반면, 문제해결 숙고는 위협적 평가를 완화하고 도전적 평가를 촉진하는 매개 역할을 수행하였다. 아울러, 직무 자율성은 문제해결 숙고와 도전적 평가 간의 정적 관계를 강화하는 조절요인으로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직장 FoMO가 부정적 스트레스 요인에 국한되지 않고, 적절한 인지적 대처와 환경적 지원이 제공될 경우 긍정적인 동기로 전환될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조직 내 FoMO 관리 전략과 스트레스 개입 방안에 대한 실무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workplace FoMO on stress appraisal and investigates the simple mediating roles of work-related rumination subfactors. Additionally, it investigates whether job autonomy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FoMO and stress appraisal through the second pathway of problem-solving contemplation, ultimately exploring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s as a whole. A survey of 367 employees in South Korea was conducted,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nd PROCESS Macro were used to test the hypotheses. The results indicate that workplace FoMO increases both threat and challenge appraisals. Furthermore, emotional rumination reinforces threat appraisal while inhibiting challenge appraisal, whereas problem-solving pondering reduces threat appraisal and promotes challenge appraisal as a mediator. Job autonomy moderates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roblem-solving pondering and challenge appraisal. This study suggests that workplace FoMO is not solely a negative stressor but can be transformed into a positive motivational factor with appropriate cognitive coping mechanisms and environmental support. Based on these findings, practical implications for managing FoMO and stress interventions within organizations are discussed.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방법
4. 연구결과
5. 논의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과수 생장정보와 기상정보를 이용한 ‘신고’ 배나무의 수액 흐름 예측 모형 개발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Vol.27 No.2 Contents
- Identifying Faking Profiles of Job Applicants Using Overclaiming and Social Desirability Scales
- 커피음료와 탄산음료 매출액 예측 모형 개발
-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tion to Use Self-Service Kiosks in South Korea
- 국내 기상자료의 시공간 변화 특성에 관한 분석
- 형상점 자료의 변환을 통한 분류모형의 비교
- 외부 정보를 반영한 신경망 토픽모형을 이용한 아마존 리뷰 분석
- 고속도로 교통량 결정요인 탐색 및 딥러닝 모형을 통한 예측
- 한국 뉴스 금융 감성지수(KNFSI) 제안 및 KOSPI 200과의 연관성 평가
- OTT K-콘텐츠의 해외 흥행 예측: 머신러닝과 SHAP 분석을 활용하여
- 코로나19가 고령층 의료 서비스 이용에 미친 영향의 지역 간 격차 분석
- RAG와 LLM을 활용한 금융 심사 설명력 향상 방안
- 국고채 PD 의무 강화와 국고채 유동성 변화: 정책적 효과의 실증 분석
- 디지털 전환 시대의 통신산업 경쟁력 개념 및 평가 기준 연구
- 소비자의 팝업스토어 체험속성이 감정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분기손익조정효과의 시장별 차이
- 청장년층 당뇨병 환자의 건강 관련 삶의 질(HINT-8) 영향요인: 2021, 2023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 AHP 방법론을 활용한 부천시 구도심 쇠퇴 요인의 중요도 분석
- 지방대 출신 교원의 수도권 대학 진출: 임용 구조와 네트워크 분석
- 50세 이상 성인여성의 골관절염 유병률 관련 요인
- 직장환경에서 소외 두려움(FoMO)의 양면성이 스트레스 평가에 미치는 영향: 일 관련 반추의 매개효과와 직무자율성의 조절 역할
- 사회불안과 관계적 공격성의 관계에서 의도적 통제 수준에 따른 분노반추의 매개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통계학분야 BEST
- 마취간호 교육프로그램이 회복마취간호사의 잡크래프팅, 임파워먼트, 직무열의에 미치는 효과
- 국내 OTT 서비스 산업 현황 및 수요 분석
- 네트워크 텍스트분석을 통한 치매대상자 인간중심돌봄 연구 경향 분석
자연과학 > 통계학분야 NEW
- 과수 생장정보와 기상정보를 이용한 ‘신고’ 배나무의 수액 흐름 예측 모형 개발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Vol.27 No.2 Contents
- Identifying Faking Profiles of Job Applicants Using Overclaiming and Social Desirability Scale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