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코로나19가 고령층 의료 서비스 이용에 미친 영향의 지역 간 격차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Analysis of Regional Gaps in the Impact of COVID-19 on Elderly Health Care Utilization
발행기관
한국자료분석학회
저자명
이광훈(Gwanghoon Lee)
간행물 정보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Vol.27 No.2, 509~520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자연과학 > 통계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코로나19 팬데믹이 의료 취약 계층인 고령층의 건강검진과 외래진료 이용에 미친 영향의 지역 간 차이에 대한 분석을 통해, 팬데믹 상황에서의 고령층의 의료 접근성의 지역 간 차이와 그로 인한 의료·건강 격차 문제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의 2017년~2020년의 자료를 바탕으로 수도권 및 대도시 지역과 지방 중소도시 및 농어촌 지역 등 두 지역에 대한 고령층 패널을 구축하고, 이들의 건강검진과 외래진료 횟수가 코로나19로 인해 어떠한 영향을 받았는지를 지역별 패널 모형의 추정을 통해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코로나19로 인해 두 지역 모두 건강검진 및 외래진료 횟수가 큰 폭으로 감소하였으나, 지방 중소도시 및 농어촌 지역에서 더욱 두드러지게 감소하면서 지역 간 격차가 확인되었다. 고령층의 건강검진 및 외래진료 이용 감소는 심각한 질환의 조기 발견과 만성질환 관리에 대한 부정적 영향을 통해 중장기적으로 치명적인 건강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만큼, 이와 같은 지역 간 격차는 중장기적 건강 형평성의 문제로 이어지게 된다. 이는 기존의 지역 간 의료 격차 문제에 더해 팬데믹 상황에서 추가로 발생한 의료 공급과 접근성 차이의 문제로 인해 발생한 결과일 수 있으니, 그 구체적인 원인에 대한 규명을 통해 향후 보완을 위한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regional disparities in the impact of COVID-19 on health check-ups and outpatient care utilization among the elderly, a medically vulnerable population. By analyzing healthcare access differences across regions during the pandemic, it explores resulting disparities in healthcare and health. Using data from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2017-2020), elderly panel datasets were constructed for two regions: metropolitan/large urban areas versus small cities and rural areas. A regional panel model estimation was conducted to compare how COVID-19 affected health check-ups and outpatient visits. Results show both regions experienced significant declines, but the decrease was more pronounced in smaller cities and rural areas, highlighting regional disparities. Given that reduced healthcare utilization can hinder early disease detection and chronic disease management, such disparities raise concerns about long-term health equity. Beyond pre-existing regional healthcare gaps, findings suggest the pandemic further widened disparities in healthcare supply and accessibility. Identifying the causes of these differences and developing countermeasures is crucial for future policy improvements.

목차

1. 서론
2. 분석 자료
3. 분석모형과 추정결과
4. 요약 및 결론
Reference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광훈(Gwanghoon Lee). (2025).코로나19가 고령층 의료 서비스 이용에 미친 영향의 지역 간 격차 분석.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27 (2), 509-520

MLA

이광훈(Gwanghoon Lee). "코로나19가 고령층 의료 서비스 이용에 미친 영향의 지역 간 격차 분석."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27.2(2025): 509-5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