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Postcinematic Affect in Webtoons and OTT Original Series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박미영(Mi Young Park)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99호, 173~19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23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웹툰 원작 OTT 드라마를 포스트시네마 시대 기술문화적 정동의 관점에서 분석한다. 디지털 스크린과 제작방식에 기반한 웹툰은 인쇄 만화 달리 페이지의 제약이 없고 이미지의 변형과 재생산이 용이하다. 특히, 스마트폰에 최적화된 최근 웹툰은 스크롤링을 통한 칸의 흐름을 통해 시공간을 창출한다. OTT의 경우, 재생속도 조절기능을 통해 보기의 경험을 바꾼다. 따라서, 디지털 기술에 기반한 웹툰과 OTT는 포스트-컨티뉴이티(post-continuity)를 창출하면서 시간의 통제와 관리라는 포스트시네마적 정동을 내포한다. 이런 측면에서 이 글은 대중적으로 호평받은 웹툰 원작 OTT 드라마 <안나라수마나라>(2022)와 <유미의 세포들>(2021-2022)을 주목한다. 두 작품에서 시공간적 경험의 디스포지티프로서 웹툰과 OTT는 인지되지 못한 또다른 현실 세계의 구조이자 현실의 경제 논리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디지털 기술의 불안과 디지털 시대 자기 전시의 충동이라는 포스트시네마적 정동과 조우한다. 또한, 시간의 자본화에 순응하거나 저항하기도 하고, 감정의 합리화를 촉발하면서 관람의 가성비라는 동시대 정동적 윤리에 반응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와같이, 웹툰과 OTT 드라마의 포스트시네마적 정동을 포착하는 것은 디지털 시대 기술문화를 이해하는 새로운 출발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delves into the analysis of Over-The-Top (OTT) dramas adapted from webtoons through the lens of technological and cultural impacts within the post-cinematic era. Webtoons, crafted for digital platforms, liberate themselves from the constraints of traditional print comics by offering limitless page lengths and facile image manipulation and reproduction. Notably, contemporary webtoons tailored for smartphones establish a unique spatiotemporal experience by employing panel-flow navigation through scrolling. Within the realm of OTT, the viewing encounter undergoes transformation via features like playback speed control. Consequently, webtoons and OTT productions leveraging digital technologies give rise to post-continuity dynamics, suggesting a post-cinematic influence marked by the regulation and manipulation of time. This study centers on critically acclaimed Netflix original series such as The Sound of Magic (2022) and Yumi’s Cells (2021-2022), both stemming from webtoon adaptations. In these instances, the convergence of webtoons and OTT represents a disruption of spatiotemporal immersion, intersecting with the postcinematic affect concerning digital technology anxiety and the compulsion for self-exposure in the digital age, which remains a less acknowledged facet of reality, ensnared within the economic logic of contemporary existence. Moreover, they can be interpreted as reflections of present-day affective ethics, oscillating between acquiescence to or defiance against the monetization of time and instigating a rationalization of emotions. Thus, grasping the postcinematic affect embedded within webtoons and OTT dramas may herald a fresh perspective for comprehending technological culture in the digital age.
목차
1. 서론
2. 웹툰과 OTT 플랫폼의 기술문화적 정동
3. <안나라수마나라> (2022): 자본화되지 않는 시간
4. <유미의 세포들> (2021-2022): 설명되지 않는 감정의 부재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동시대 동아시아 청소년 로맨스영화의 내셔널 시네마적 성격: 대만과 일본 사례를 중심으로
- 웹툰과 OTT의 포스트시네마적 정동
- 한-아세안 국제공동제작영화 지원정책 연구
- 트랜스아이덴티티 스토리텔링 이론 기반의 범용 서사도식 구축에 관한 연구: 트랜스아이덴티티 이론의 담론화를 위한 초석으로서의 시론
- 이창동 영화에서 주문의 수행성과 기도의 형상적 실현: <오아시스>, <밀양>, <시>를 중심으로
- 조신 설화의 영화 수용과 영화 <꿈>에 내재된 낙산사의 관음신앙과 의상의 「화엄일승법계도(華嚴一乘法界圖)」
- 시적 다큐멘터리를 통한 시적 영화의 의미: 하길종의 UCLA 석사 졸업논문을 중심으로
- 한국 탈가정 청소년 영화의 갈등 구조: 2011-2023년 독립영화·예술영화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디자인 전공 교과목에서의 생성형 AI 도구 활용 사례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국영화의 촬영과 조명 시리즈 2: 영화 '형사, Duelist'의 Visual Concept 및 조명플랜
- 포스트모더니즘적 영상표현에 관한 연구 -실사 영화와 애니메이션 영화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 소니 HVR-Z1N 카메라의 중요한 메뉴에 관한 소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