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동시대 동아시아 청소년 로맨스영화의 내셔널 시네마적 성격: 대만과 일본 사례를 중심으로

이용수  39

영문명
The National Cinematic Character of East Asian Youth Films: Focusing on the case of Taiwanese and Japanese cinema
발행기관
한국영화학회
저자명
성진수(Jinsoo Sung)
간행물 정보
『영화연구』제99호, 107~137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3.23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 상업영화 영역에서 청소년영화 제작이 감소한 2010년 이후 나타난 동아시아 청소년영화 유행으로 형성된 동아시아 청소년영화 사이클에 대한 관심에서출발한다. 보다 구체적인 연구대상은 한국 내 동아시아 청소년영화 사이클의 본격적인 형성을 주도한 대만영화와 최근 두드러지는 흥행 성과를 보이고 있는 일본영화이다. 대만과 일본 청소년영화에 대하여 본 연구는 두 지역 영화 간에 나타나는 차이에주목하여 그 특징을 동시대 사회의 맥락에서 독해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가 궁극적으로 목표하는 것은 동아시아 청소년영화, 특히 대만과 일본 청소년영화에 내재한 내셔널 시네마 성격을 설명하는 것이다. 한국 내 동아시아 청소년영화 수용은 2016년 대만영화의 흥행을 계기로 본격적으로 확대되기 시작하였다. 그 결과 최근에는 동아시아 청소년영화 사이클이라고 불릴만한 트렌드가 형성되었고, 로맨스 영화가 이 현상을 주도하고 있다. 청소년 로맨스영화 가운데에서도 몇 가지 경향성이 나타나는데, 특히 대만영화와 일본영화 사이에서 그 차이가 두드러진다. 대만영화에서는 코미디, 학교 공간, 향수가 일본영화에서는멜로드라마, 일상 공간, 죽음이 중요한 모티브로 이용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차이는 각 국가의 동시대 경제, 정치, 문화적 상황과 연관지어 해석될 여지가 있다. 대만청소년영화는 1980년대 출생하여 1990년대 10대 시절을 보낸 톈란두 세대의 정체성을 기반으로 서사를 구축하면서, 동시에 톈란두 세대의 정체성을 재구성하는 역할을한다. 일본 청소년영화는 90년대 이후 지속되어온 우울과 비정상성, 그리고 2011년동일본 대지진 이후 강박적으로 나타난 희망의 슬로건으로 대표되는 일본사회의 모순적이고 양가적인 무의식을 반영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이 영화들은 각각의 내셔널 시네마적 성격을 드러낸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motivated by an interest in the East Asian youth film cycle formed by the East Asian youth film trend since 2010, when youth film production decreased in the Korean commercial film domain. Specifically, attention is directed towards Taiwanese films, which has been leading the formation of the East Asian youth film cycle in Korea, and Japanese films, which has exhibited conspicuous commercial success in recent years. In analyzing Taiwanese and Japanese youth cinema, this research endeavors to discern their respective cinematic attributes within the contemporary socio-cultural context, with a particular emphasis on discernible disparities between these regional cinema. The overarching objective of this inquiry is to elucidate the national cinematic traits of East Asian youth films, particularly those of Taiwan and Japan. The surge in the reception of East Asian youth films within South Korea commenced notably in 2016, catalyzed by the commercial triumph of Taiwanese cinema. Consequently, a discernible trend akin to the East Asian youth film cycle has materialized, with romantic narratives assuming a prominent role. Within youth romance films, several trends are noticeable, especially in the differences between Taiwanese and Japanese films. Taiwanese films frequently employ comedic elements, school settings, and themes of nostalgia, whereas Japanese counterparts prioritize melodramatic narratives, everyday backdrops, themes such as mortality. These differences are open to interpretation in relation to the contemporary economic, political, and cultural contexts of each country. Taiwanese youth cinema builds its narratives on the identity of the Tianlandu generation, who were born in the 1980s and spent their teenage years in the 1990s, and at the same time serves to reconstruct the identity of the Tianlandu generation. Japanese youth films can be seen as reflecting the contradictory and ambivalent unconsciousness of Japanese society, represented by the depression and abnormality that has persisted since the 1990s and the slogans of hope that have appeared obsessively since 2011. In this respect, these films reveal their respective national cinematic character.

목차

1. 들어가며
2. 한국 내 동아시아 청소년영화 사이클과 로맨스 경향
3. 대만, 일본 청소년영화의 내셔널 시네마적 성격
4. 나가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성진수(Jinsoo Sung). (2024).동시대 동아시아 청소년 로맨스영화의 내셔널 시네마적 성격: 대만과 일본 사례를 중심으로. 영화연구, (), 107-137

MLA

성진수(Jinsoo Sung). "동시대 동아시아 청소년 로맨스영화의 내셔널 시네마적 성격: 대만과 일본 사례를 중심으로." 영화연구, (2024): 107-13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