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Meaning of Poetic Cinema in Poetic Documentaries: A Focus on Kilchong Ha’s UCLA Master’s Thesis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김수연(Soo-yeun Kim)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99호, 65~105쪽, 전체 4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23
7,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하길종은 한국영화에 뉴시네마의 흐름을 선도한 중요한 영화인이다. 영화예술과관련한 하길종의 저작물에서 자주 등장하는 ‘시적 영화’는 다른 영화인들의 사고와구별되는 특수한 개념으로 등장한다. 본 글은 하길종의 UCLA 극예술학 석사학위 논문인 『다큐멘터리 영화에서 시적 양상에 대한 연구(A Study of the Poetic Aspects in the Documentary Film)』(1969)를 구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그의 시적 영화에 대한 이론적 사유와 의미를 파악한다.
하길종은 시적 영화를 훌륭한 영화에서 발견되는 미적 특성이자 새로운 언어를 창조하는 예술로 사고한다. 시와 영화는 어휘와 구문에서 형식적 친연성을 가지며, 리듬을 통해 시각적 감정을 전달하고 표현한다는 공통점을 갖는다. 그는 시적 영화의 조건을 상상적, 리듬적, 비유적인 요소로 보았으며, 특히 상상적이고 리듬적인 특성을시적 영화의 가장 중요한 조건으로 보았다.
시적 영화의 표현은 현실을 객관적으로 관찰하는 다큐멘터리 형식에서 시청각적효과와 리듬으로 확인된다. 하길종이 분석대상으로 삼은 시적 다큐멘터리 작품들은인간 보편적인 주제를 다루고 개인을 조명해 삶의 진실을 그려낸다는 공통점을 갖는다. 그는 <올림피아>에서 영상의 리듬과 음악에 기초한 운율적 몽타주와 시적 묘사의종합, 언어적 구술이 아닌 시각적 묘사에 의한 ‘시각적 나레이션’을 확인한다. 또 <실론의 노래>에서 변증법적 구조의 시각화와 정서적 자극을 극대화하는 소리의 활용을‘시적 에너지’로 명명한다. 플래허티의 작품에서는 자연 사물과 인간 개인의 내면을탐구하는 독특한 특징인 ‘시의 정신’을 발견한다. 작가의 창조적 상상력에 의해 포착된 진실은 바로 이 시 정신에 의해 통일성 있는 형태로 종합된다. 하길종의 시적 영화의 의미는 파솔리니(Pier Paolo Pasolini)의 시 영화(Cinema di poesia)를 참조한 것이 아니라 영화 매체성에 기반해 시각예술의 형상화를 실험한 초기 아방가르드 영화, 그리고 아방가르드 영화에 영향을 받은 시적 다큐멘터리와 직접적인 관련성을 갖는다. 리듬을 통한 소리와 움직임의 표현, 인간의 정서를 자극하는 은유적이고 비유적표현, 상상력과 시적 분위기를 강조하는 하길종의 사유는 아방가르드 영화의 시적 표현을 수용하면서 확산되었던 1940년대 미국 실험영화의 시적 사고와 유사성을 갖는다. 미국 초기 실험영화는 영화를 ‘시의 도구’, 다양한 형태로 표현되는 ‘인간적 감성’, 시각적이고 언어적이며 청각적인 매체로 사고함으로써 비합리적이고 비문법적이며 주관적 은유의 표현으로 영화의 시적 특성을 강조한다. 하길종이 주목한 시적 영화의 의미는 영화의 매체성에 기반한 시각적 표현으로 정서와 감정에 직접 닿음으로써 인간의 내면을 다루는 새로운 예술 언어로 사고된다.
영문 초록
Kilchong Ha is an significant filmmaker who pioneered the New Cinema movement in Korean cinema. The term “poetic cinema” is frequently mentioned in Kilchong Ha’s work, and it emerges as a special concept that is distinct from the thinking of other filmmakers. To explore the theoretical ideas and the meaning of poetic cinema, this research analyzes, this research analyzes Kilchong Ha’s UCLA Master of Arts in Theater Arts thesis, A Study of the Poetic Aspects in the Documentary Film (1969), to understand the theoretical ideas and meaning of poetic cinema.
Kilchong Ha thinks of poetic cinema as an aesthetic quality found in great films and as an art that creates new languages. Poetry and cinema have formal affinities in diction and syntax, and both express visual emotions through rhythm. He categorizes the components of poetic cinema as imaginative, rhythmic, and figurative elements, contending that imaginative and rhythmic qualities hold paramount importance among these.
The essence of poetic cinema is encapsulated through audiovisual effects and rhythm, adopting a documentary style that objectively observes reality. The analyzed poetic documentary works in Ha’s thesis share a commonality in exploring universal human themes and depicting the truths of life through individual experiences. He identifies the synthesis of rhythmic montage based on the visuals, rhythm, and music found in Olympia combined with poetic descriptions, a ‘visual narration’ relying not on linguistic storytelling but on visual depictions. In Song of Ceylon he labels the utilization of sound to maximize the visualization of a dialectical structure and emotional stimulation as ‘poetic energy’. He also discerns a distinctive feature of poetic expression in Flaherty’s work: the author’s ‘spirit of poetry’ engaging with natural objects and delving into the inner life of the individual. This characteristic involves synthesizing the truths captured by the author’s creative imagination into a cohesive and unified form. The significance of poetic film within poetic documentary does not correlate with Pier Paolo Pasolini’s ‘Cinema di poesia’ but is directly connected to early avant-garde cinema. This cinematic genre, rooted in the experimentation with visual art using the film medium, also draws inspiration from the British poetic documentary trend that emerged post the GPO, itself influenced by avant-garde film. Kilchong Ha’s ideas about the expression of sound and movement through rhythm, metaphorical and figurative expressions that stimulate human emotions, and an emphasis on imagination and poetic atmosphere resonate with the poetic ideology found in American experimental film of the 1940s. This cinematic approach proliferated as a response to the avant-garde film’s embrace of poetic expression. Early American experimental film accentuates the poetic qualities of the medium by expressing irrational, ungrammatical, and subjective metaphors. It conceptualizes film as a ‘tool of poetry,’ a ‘human emotion’ in diverse forms, utilizing the visual, verbal, and auditory elements of the medium. The significance of the poetic film Kilchong Ha has highlighted is conceived as a new artistic language that delves into the inner world of humanity through visual expressions grounded in the medium of film, directly connecting with emotions and feelings.
목차
1. 들어가며
2. 아방가르드 영화에서의 시적 표현
3. 하길종의 시적 영화의 의미
4. 나가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동시대 동아시아 청소년 로맨스영화의 내셔널 시네마적 성격: 대만과 일본 사례를 중심으로
- 웹툰과 OTT의 포스트시네마적 정동
- 한-아세안 국제공동제작영화 지원정책 연구
- 트랜스아이덴티티 스토리텔링 이론 기반의 범용 서사도식 구축에 관한 연구: 트랜스아이덴티티 이론의 담론화를 위한 초석으로서의 시론
- 이창동 영화에서 주문의 수행성과 기도의 형상적 실현: <오아시스>, <밀양>, <시>를 중심으로
- 조신 설화의 영화 수용과 영화 <꿈>에 내재된 낙산사의 관음신앙과 의상의 「화엄일승법계도(華嚴一乘法界圖)」
- 시적 다큐멘터리를 통한 시적 영화의 의미: 하길종의 UCLA 석사 졸업논문을 중심으로
- 한국 탈가정 청소년 영화의 갈등 구조: 2011-2023년 독립영화·예술영화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디자인 전공 교과목에서의 생성형 AI 도구 활용 사례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국영화의 촬영과 조명 시리즈 2: 영화 '형사, Duelist'의 Visual Concept 및 조명플랜
- 포스트모더니즘적 영상표현에 관한 연구 -실사 영화와 애니메이션 영화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 소니 HVR-Z1N 카메라의 중요한 메뉴에 관한 소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