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성인기 전환 과정에서의 지체중복장애인 당사자, 부모, 교사의 자기결정 경험 및 지원 요구 탐색

이용수  376

영문명
Exploring the Self-Determination Experiences and Support Needs of Persons with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Parents, and Teachers during the Transition to Adulthood
발행기관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저자명
명교은(Gyeo-Eun Myeong) 조아라(A-Ra Cho) 박은혜(Eun-Hye Park)
간행물 정보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67권 제3호, 115~133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7.2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성인기 전환 과정에서 지체중복장애인 당사자, 부모, 교사의 자기결정 경험을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성인기 전환 과정에서 지체중복장애인의 자기결정 기회 확대를 위한 지원방안을 고찰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를 위해 서울 지역 지체중복장애인 특수학교를 졸업한지 5년 미만인 지체중복장애인 당사자4명, 그들의 성인기 전환을 지원한 부모 4명, 교사 3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진행하였으며, 모든 면담은 전사한후 김영천(2016)의 포괄적 분석 절차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성인기 전환 시기 지체중복장애인의 자기결정에 대한 인식과 현실의 차이, 성인기 전환 시기 지체중복장애인의 자기결정 보장을 위한 지원 요구를 포함한 2개의 대주제가 도출되었다. 대주제 별로 2개, 그리고 4 개의 소주제가 도출되었다. 결론 및 논의: 연구 참여자들은 지체중복장애인의 자기결정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나 실제 성인기 전환 지체중복장애인의 자기결정 경험은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하여 지체중복장애인의 성인기 전환 시기자기결정 기회 확대를 위하여 개인, 주변인, 학교, 사회와 관련된 다양한 지원 요구가 확인되었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elf-determination experiences and support needs of individuals with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during the transition to adulthood. Method: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our individuals with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who graduated from schools less than five years ago, four parents, and three teachers who have supported their transition to adulthood. Results: Two main themes and six sub-themes emerged. The main themes are (a) the difference between perception and reality regarding self-determination of individuals with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during the transition to adulthood and (b) support needs for ensuring self-determination during the transition to adulthood for individuals with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Conclusion: Individuals with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had limited experiences of self-determination during the transition to adulthood. To address this issue, diverse support needs have been identified from individuals, caregivers, schools, and society.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명교은(Gyeo-Eun Myeong),조아라(A-Ra Cho),박은혜(Eun-Hye Park). (2024).성인기 전환 과정에서의 지체중복장애인 당사자, 부모, 교사의 자기결정 경험 및 지원 요구 탐색.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67 (3), 115-133

MLA

명교은(Gyeo-Eun Myeong),조아라(A-Ra Cho),박은혜(Eun-Hye Park). "성인기 전환 과정에서의 지체중복장애인 당사자, 부모, 교사의 자기결정 경험 및 지원 요구 탐색."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67.3(2024): 115-13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