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mpact of Understanding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on Parents’ Quality of Life
- 발행기관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 저자명
- 강은영(Eun Young Kang)
- 간행물 정보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67권 제3호, 1~1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7.2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부모가 인식한 장애 및 비장애 자녀에 대한 이해 정도가 부모 삶의 질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장애 자녀를 양육하는 부모 49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학령기 전(유치), 초등학교, 중고등학교, 20대 장애 자녀를 가진 부모 집단별로 장애 및 비장애 자녀에 대한 이해 정도가 부모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변량 통계 분석을 하여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장애 자녀의 학교급에 따라 장애 자녀에 대한 이해 정도가 부모 삶의 질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다르게 나타났으며, 유치원, 초등학교 시기 장애 자녀를 둔 부모 집단보다 중고등학교와 20대 장애 자녀를 둔 부모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이 훨씬 크게 나타났다. 또한 또한 비장애 자녀에 대한 이해 정도보다 장애자녀에 대한 이해 정도가 부모 삶의 질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삶의 질 영역에서 더 많이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 및 비장애 자녀에 대한 이해가 부모 삶의 질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하여 장애 자녀의 학교급에 따른 논의와 제언을 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parents' understanding of their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on their satisfaction with quality of life.
Method: Survey study was conducted on 490 parents rais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o determine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in each group of parents with disabled children in preschool (kindergarten), elementary school, middle and high school, and those in their 20s. To determine the impact on quality of life,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to derive research results.
Results: Depending on the age of the disabled child, the impact of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on parents' satisfaction with the quality of life was different.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had a different effect on the satisfaction with the quality of life of the parents and that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and in their 20s compared to the group of parents with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There were mor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in the group of parents of children with distilleries. In addition, in many areas of quality of life, the degree of understanding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had a greater impact on satisfaction with parents' quality of life than the degree of understanding of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discussions and suggestions were generated according to the age of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relation to the impact of understanding of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on parents' satisfaction with quality of lif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과 경험
- 병원형 위(Wee)센터 내원 고위기 청소년 대상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델파이 연구*
- 고교학점제 단계적 이행 시기의 단위학교 모니터링 연구–교수학습 및 평가를 중심으로 -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