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 후기 釜山 太宗臺 명승 기록의 문헌적 검토

이용수  47

영문명
A Literature Review of Taejongdae(太宗臺)’s Records in the Late Joseon Dynasty
발행기관
한국고지도연구학회
저자명
김세호(Se Ho Kim)
간행물 정보
『한국고지도연구』제15권 제2호, 47~63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31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釜山 太宗臺는 우리나라 곳곳에 전하는 태종대 가운데 가장 널리 알려진 공간이다. 그 아름다움으로 인해 국가지정문화재 명승으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자연유산적 가치에 주목하여 여러 연구가 전한다. 반면 문헌기록에 의거하여 다양한 유래가 확인되지만 내용이 정립되지 않았고, 명승적 가치 등을 조명할 만한 시문이 다수 전함에도 관련 연구는 진행된 적이 없다. 이에 이 글에서는 부산 태종대의 명승 기록을 바탕으로 문헌적 검토를 수행했다. 태종대는 壬辰倭亂 이후 세상에 이름이 드러났고 新羅 太宗 武烈王의 고사가 전하는 곳으로 회자되었다. 絶影島 최남단에 자리하여 육지와 대양을 구분하는 상징적인 경물이 되었고 기이한 경관으로 영험하게 인식되어 祈雨祭의 대상지로 기능했다. 金允安의 기록에는 태종대 유람의 자세한 경로가 제시되어 당대 태종대를 왕래하는 의미 있는 지침을 제공한다. 아울러 이곳에서 지어진 한시를 통해 유래 및 위상 등의 다양한 시각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는 태종대와 관련한 몇몇 시사점을 제시한다. 첫째, 유래와 관련한 사항이다. 오늘날 일부 조선 태종과 관련한 설명이 보이지만 이는 와전의 가능성이 있어 재고의 여지가 있다. 둘째, 신라 태종 무열왕 고사의 신뢰성 문제이다. 과연 무열왕이 이곳을 방문했을지 의문이거니와 전국 곳곳에 전하는 태종대에서 그 이름에 다른 가능성이 내재된 가능성을 암시한다. 마지막은 태종대의 위치와 관련한 정보이다. 김윤안과 『東萊府志』 등의 기록을 볼 때 오늘날 望夫石이 자리한 곳을 태종대로 지칭했을 가능성이 높아 검토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Taejongdae(太宗臺) in Busan(釜山) is the most widely known space among Taejongdae that is passed down throughout Korea. Due to its beauty, it is designated and managed as a scenic spot in nationally selected cultural properties, and various studies are delivered by paying attention to its natural heritage value. On the other hand, although various origins are confirmed based on literature records, the content has yet to be established, and related research has never conducted on battleships with poems that can shed light on the value of scenic spots. Therefore, in this article,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based on the records of Taejongdae in Busan. Taejongdae was revealed to the world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it was said to be where the ancient story of King Taejong Muyeol of Silla was passed down. Located at the southernmost tip of Jeolyoungdo(絶影島), it became a symbolic place that separated the land from the ocean and was spiritually recognized as a divine landscape, making it the target of ritual for rain. In the records of Kim Yun-An(金允安), detailed routes for the Taejongdae course are presented, providing meaningful guidelines for traveling to and from Taejongdae in the Tang age. In addition, various perspectives, such as origin and status,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poems written here. The above results suggest some implications for Taejongdae. First, it is related to its origin. Today, some explanations related to King Taejong of Joseon can be seen, but there is room for reconsideration due to the possibility of misrepresentation. Second, it is a matter of reliability of the ancient history of King Taejong Muyeol of Silla. Whether King Taejong Muyeol visited this place is questionable. Taejongdae across the country hints at the possibility of a different case inherent in its name. The last is about the location of Taejongdae. Considering the records of Kim Yun-An and “Dongnaebuji(東萊府志)”,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place where the Mangbuseok is located today was referred to as Taejongdae, which needs to be reviewed.

목차

1. 서론
2. 태종대 유래의 다양한 전래
3. 자연지리와 역사경관적 특징
4. 金允安의 태종대 유람기
5. 한시에 나타난 이미지
6.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세호(Se Ho Kim). (2023).조선 후기 釜山 太宗臺 명승 기록의 문헌적 검토. 한국고지도연구, 15 (2), 47-63

MLA

김세호(Se Ho Kim). "조선 후기 釜山 太宗臺 명승 기록의 문헌적 검토." 한국고지도연구, 15.2(2023): 47-6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