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is study revises Lee Hyo-seok’s The Buckwheat Season, utilizing Novel Corpus, intermediate learners’ level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황혜란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29권 4호, 255~294쪽, 전체 40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1
7,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Buckwheat Season, evaluated as the best of Lee Hyo-seok’s literature, is one of the short stories that represent Korean literature. However, vivid literary expressions such as lyrical and beautiful depictions, figurative expressions and dialects, which show the Korean beauty, rather make learners have difficulty and become a factor that fails in reading comprehension. Thus, it is necessary to revise and present the text modified for the learners’ language level. The methods of revising a literary text include the revision of linguistic elements such as cryptic vocabulary or sentence structure and the revision of the composition of the text, e.g. suggestion of characters or plot, or insertion of illustration. The methods of revising the language of the text can be divided into methods of simplification and detailing. However, in the process of revising the text, many depend on the adapter’s subjective perception, not revising it with objective criteria. This paper revised the text, utilizing by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 and the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to secure objectivity in revising the text.
목차
1. 서론
2. 소설텍스트의 등급과 난이도
3. 어휘ꞏ문형 등급 기반의 텍스트 수정
4. 「메밀꽃 필 무렵」의 어휘ꞏ문형ꞏ문장의 양상
5. 「메밀꽃 필 무렵」의 수정의 실제
6.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원 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한국어 교원의 요구와 관련 변인 연구
- 재한 외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비교 연구
- 수준별 어휘 조정에 따른 한국어 읽기 텍스트 이해도 비교 연구
- 외국인 유학생의 조 발표 평가를 위한 구인 개발 연구
- 소설텍스트의 난이도 조정 방안 연구
- 발표 담화에서의 한국어 모어 화자와 한국어 학습자의 말하기 유창성 비교 연구
- 한국어 교육에서의 인스타그램 활용 가능성 탐색
- 학문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습득 연구
- 비교문화적 화용론의 관점에서 본 한국인과 태국인의 거절 화행 연구
- 청자의 역할 인지가 한국어 듣기 이해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 교육을 위한 간접인용문에서의 인용동사 시제 선택 - 형식적 요인과 화자 요인을 중심으로
- 전승 한자음에서의 설·치음 뒤 j계 상향이중모음의 단모음화 과정 연구 - 『왜어유해』·『아학편』·『국한회어』 분석을 중심으로
- 일제강점기 웅변서적 연구 - 유형별 검토 및 사회적·교육적 함의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