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Refusal Speech Act of Korean and Thai Learners from a Cross-Cultural Pragmatic Perspective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황선영 노아실 사마와디 강해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29권 4호, 225~254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ast the patterns of realization and understanding of refusal speech acts between Korean and Thai learners. This study intends to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s: (1) Do Koreans and Thai learners perform refusal speech acts differently? (2) Do Koreans and Thai learners understand refusal speech acts differently? A DCT and a follow-up interview were conducted to collect data of two groups of 30 native Korean speakers and 30 native Thai speakers. For research question 1, we analyzed the refusal strategy and provided reasons given by Koreans and Thai learners depending on the context. For research question 2, we ran a chi-squared test on the elements of the follow-up interviews, such as the weight of burden of refusing, and whether the participant would actually refuse or no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refusal strategies of the two groups could be categorized by the preceding inducing speech act. In refusing a request, the difference was prominent in the apologizing strategy, whereas in refusing a suggestion, the difference was mainly in the direct refusal strategy. When refusing an invitation, the most evident difference was the number of refusal strategies employed. When providing an explanation of refusal to people with high social status, Koreans gave more specific reasons for refusals, whereas Thai learners tended to use more vague reasons. Moreover, when refusing an invitation, Koreans primarily mentioned the relationship, and Thai learners showed the spirit of Greng Jai. When asked the weight of burden of refusing, Koreans felt pressured to refuse a request from people with high social status, and a suggestion or invitation from people with high level of intimacy while Thai learners found it highly difficult to make a refusal in all cases. In answering whether they would actually refuse or not, Koreans tried not to make a refusal to people with high level of intimacy, and such a trend was not evident among the Thai. This study can help us better understand the learner’s pragmatic failure, and serve as a basis in establishing a curriculum for teaching speech acts.
목차
1. 서론
2. 선행 연구 검토
3. 연구 방법
4. 집단 간 거절 화행 실현의 차이
5. 집단 간 거절 화행 인식의 차이
6.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원 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한국어 교원의 요구와 관련 변인 연구
- 재한 외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비교 연구
- 수준별 어휘 조정에 따른 한국어 읽기 텍스트 이해도 비교 연구
- 외국인 유학생의 조 발표 평가를 위한 구인 개발 연구
- 소설텍스트의 난이도 조정 방안 연구
- 발표 담화에서의 한국어 모어 화자와 한국어 학습자의 말하기 유창성 비교 연구
- 한국어 교육에서의 인스타그램 활용 가능성 탐색
- 학문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습득 연구
- 비교문화적 화용론의 관점에서 본 한국인과 태국인의 거절 화행 연구
- 청자의 역할 인지가 한국어 듣기 이해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 교육을 위한 간접인용문에서의 인용동사 시제 선택 - 형식적 요인과 화자 요인을 중심으로
- 전승 한자음에서의 설·치음 뒤 j계 상향이중모음의 단모음화 과정 연구 - 『왜어유해』·『아학편』·『국한회어』 분석을 중심으로
- 일제강점기 웅변서적 연구 - 유형별 검토 및 사회적·교육적 함의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