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omparative Study on Korean Reading Comprehension by Adjusting Vocabulary Levels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주재환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29권 4호, 201~22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effects of text modification by comparing differences in Korean reading comprehension levels that arise from differences in vocabulary levels in texts. This study intends to use simplified texts with the vocabulary difficulty adjusted differently from the original text to measure reading comprehension levels of Korean learners and analyze the result. To measure reading comprehension, the researcher divided 55 Korean learners of intermediate to advanced level of fluency into two groups; the control group read the original text and the treatment group read a simplified text in which complex vocabulary were substituted with easier words of medium difficulty. Then the two groups were tested with the same questionnaire to measure comprehension levels of each group. The result showed that the groups that read simplified texts scored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this suggests that the reading comprehension level was increased in the treatment group. The experiment confirmed that unknown vocabulary density has direct impact on Korean reading comprehension. The result shows that the proportion of unknown vocabulary should be reduced for meaning-focused reading. It also demonstrates that comprehension of the learner was enhanced with lexical simplification rather than structural simplification i.e. simplification of grammar or sentences. Thus, diverse reading materials adjusted to the learners’ level of fluency should be developed to enable reading for learning Korean. By reducing the burden of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each vocabulary, learners will be able to achieve the initial goal of reading.
목차
1. 서론
2. 읽기 텍스트와 어휘
3. 연구 방법 및 절차
4. 연구 결과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원 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한국어 교원의 요구와 관련 변인 연구
- 재한 외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비교 연구
- 수준별 어휘 조정에 따른 한국어 읽기 텍스트 이해도 비교 연구
- 외국인 유학생의 조 발표 평가를 위한 구인 개발 연구
- 소설텍스트의 난이도 조정 방안 연구
- 발표 담화에서의 한국어 모어 화자와 한국어 학습자의 말하기 유창성 비교 연구
- 한국어 교육에서의 인스타그램 활용 가능성 탐색
- 학문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습득 연구
- 비교문화적 화용론의 관점에서 본 한국인과 태국인의 거절 화행 연구
- 청자의 역할 인지가 한국어 듣기 이해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 교육을 위한 간접인용문에서의 인용동사 시제 선택 - 형식적 요인과 화자 요인을 중심으로
- 전승 한자음에서의 설·치음 뒤 j계 상향이중모음의 단모음화 과정 연구 - 『왜어유해』·『아학편』·『국한회어』 분석을 중심으로
- 일제강점기 웅변서적 연구 - 유형별 검토 및 사회적·교육적 함의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