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f Korean Teachers’ Needs in In-Service Teacher Training and Variables Related to Their Needs: A Case of University Korean Language Education Centers in Korea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조현용 장미라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29권 4호, 169~199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Korean teachers’ needs in in-service teacher training and variables related to their need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eachers from Korean language centers in Korean universities. The following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investigated: (1) What are the teachers’ experiences of Korean language teaching and in-service teacher training? (2) What are the teachers’ needs and expectations for the content and components of in-service education programs? Are there any disparity between teachers’ needs and institutional needs? (3) What are the variables to be considered in designing an effective in-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In order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a survey was developed and distributed to university Korean language institutions and Korean language teachers. The results indicated that both institutions and teachers are highly aware of the importance of the need for in-service teacher training. The results also suggested that a more teacher-centered, bottom-up approach should be implemented for successful outcomes of teacher education program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offers a summary of the need for in-service teacher training and variables (both individual teacher variables and environmental variables) to be considered in designing the content and components of a teacher education program.
목차
1. 서론
2. 재교육에 대한 이해와 변인에 대한 논의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원 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한국어 교원의 요구와 관련 변인 연구
- 재한 외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비교 연구
- 수준별 어휘 조정에 따른 한국어 읽기 텍스트 이해도 비교 연구
- 외국인 유학생의 조 발표 평가를 위한 구인 개발 연구
- 소설텍스트의 난이도 조정 방안 연구
- 발표 담화에서의 한국어 모어 화자와 한국어 학습자의 말하기 유창성 비교 연구
- 한국어 교육에서의 인스타그램 활용 가능성 탐색
- 학문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습득 연구
- 비교문화적 화용론의 관점에서 본 한국인과 태국인의 거절 화행 연구
- 청자의 역할 인지가 한국어 듣기 이해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 교육을 위한 간접인용문에서의 인용동사 시제 선택 - 형식적 요인과 화자 요인을 중심으로
- 전승 한자음에서의 설·치음 뒤 j계 상향이중모음의 단모음화 과정 연구 - 『왜어유해』·『아학편』·『국한회어』 분석을 중심으로
- 일제강점기 웅변서적 연구 - 유형별 검토 및 사회적·교육적 함의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