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발표 담화에서의 한국어 모어 화자와 한국어 학습자의 말하기 유창성 비교 연구

이용수  58

영문명
A Comparative Study on Oral Fluency Between Korean Native Speakers and L2 Korean Learners in Speech Discourse: With Focus on Speech Rate, Pause, and Discourse Markers
발행기관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저자명
이진 정진경
간행물 정보
『한국어교육』29권 4호, 137~168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1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the basis for a more objective evaluation of oral fluency by comparing speech patterns of Korean native speakers and L2 Korean learners. For this purpose, the current study focused on the analysis of speech materials of the 21st century Sejong spoken corpus and Korean learner corpus. We compared the oral fluency of Korean native speakers and Korean learners based on speech rate, pause, and discourse markers. The results show that the pattern of Korean learners is different to that of Korean native speakers in all aspects of speech rate, pause, and discourse markers; even though proficiency of Korean leaners show increase, they could not reach the oral fluency level of Korean native speakers. At last, based on these results of the analysis, we added suggestions for setting the evaluation criteria of oral fluency of Korean learners.

목차

1. 머리말
2. 선행 연구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4. 한국어 모어 화자와 한국어 학습자의 유창성 비교
5. 말하기 유창성 평가 기준 설정을 위한 제언
6.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진,정진경. (2018).발표 담화에서의 한국어 모어 화자와 한국어 학습자의 말하기 유창성 비교 연구. 한국어교육, 29 (4), 137-168

MLA

이진,정진경. "발표 담화에서의 한국어 모어 화자와 한국어 학습자의 말하기 유창성 비교 연구." 한국어교육, 29.4(2018): 137-16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