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Research of the Construct Development for Evaluating Team Presentations Performed by Undergraduate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Focused on the Presentation of Contents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김지애 심지연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29권 4호, 1~29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constructs for evaluating team presentations performed by undergraduate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To achieve the goal, this study reviews related research and sets the criteria to analyze the problems of team presentations performed in Korean by undergraduate international students. Through this analysis we got to know which problems they were making. They were failing to reorganize the resources they had referenced and to organize the contents into one. And errors or mistakes of grammar and spelling were found often in their PPT files, and the editing styles of the PPTs were not consistent. Moreover, their performances were not unlike their PPT files. One made a good presentation but the other students just recited the script without interaction with the audience. Moreover, they could not operate the Q&A part and lead the discussion well, and components for wrapping up the presentation also were omitted frequently. After the analysi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with 23 Korean language educators asking about the validity of the construct and description of the survey. Based on the collected feedback, the construct list has been modified primarily, and carried out a second survey with an expert group. Based on their opinion, the final construct list was fine-tuned.
목차
1. 서론
2. 한국어 발표 능력과 조 발표 능력
3. 외국인 유학생의 조 발표 수행에 나타난 문제
4. 외국인 유학생의 조 발표 평가를 위한 구인 개발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원 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한국어 교원의 요구와 관련 변인 연구
- 재한 외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비교 연구
- 수준별 어휘 조정에 따른 한국어 읽기 텍스트 이해도 비교 연구
- 외국인 유학생의 조 발표 평가를 위한 구인 개발 연구
- 소설텍스트의 난이도 조정 방안 연구
- 발표 담화에서의 한국어 모어 화자와 한국어 학습자의 말하기 유창성 비교 연구
- 한국어 교육에서의 인스타그램 활용 가능성 탐색
- 학문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습득 연구
- 비교문화적 화용론의 관점에서 본 한국인과 태국인의 거절 화행 연구
- 청자의 역할 인지가 한국어 듣기 이해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 교육을 위한 간접인용문에서의 인용동사 시제 선택 - 형식적 요인과 화자 요인을 중심으로
- 전승 한자음에서의 설·치음 뒤 j계 상향이중모음의 단모음화 과정 연구 - 『왜어유해』·『아학편』·『국한회어』 분석을 중심으로
- 일제강점기 웅변서적 연구 - 유형별 검토 및 사회적·교육적 함의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