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Universalienstreit und Pädagogik - Das im Streit zwischen Aufklärung und Neuhumanismus auftretende Problem der menschlichen Subjektsbildung
- 발행기관
- 한독교육학회
- 저자명
- 조상식(Cho Sang Sik)
- 간행물 정보
- 『교육의 이론과 실천』제8권 제1호, 47~63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3.04.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철학적 주제인 보편논쟁(Universalienstreit)을 교육철학적 주제로 고찰하는 데에 주된 목적이 있다. 교육이 사회적 실제라는 보편성을 개별인간에게 전수하는 활동이라는 점에서 보편성과 개별성의 관계는 또한 교육철학적 주제이기도 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철학적 논쟁으로서 보편논쟁에 대한 문제사적 접근을 간략히 정리하여 이론적 단초를 마련한다. 그런 다음 교육사상사적으로 중요한 사건인 19세기 전후 독일에서 있었던 Niethammer의 “논쟁서”에 주목하여 당시 계몽주의와 신인문주의 사이의 교육 이념적 대립을 살펴본다. 당시 신인문주의자들의 교육적 이상을 대표하는 “논쟁서”의 사회사적 배경을 함께 고려하면서 교육사적 의의와 한계를 고찰한다. 마지막으로 보편논쟁이 오늘날 교육상황에 비추어 어떤 시사점이 있는지 정리한다.
영문 초록
Im vorliegenden Artikel geht es darum, die pädagogische Bedeutung des Universalienstreits, der im Mittelalter über das Problem der Universalien ontologisch-logisch geführt war. Um diesen rein philosophischen Streit auf die pädagogische Konstellation zu übertragen, beziehe ich ihn auf das konkrete Ereignis, das sich die philosophischen Sinne des Universalienstreits zum erstenmal im pädagogischen Feld ausdrückte : Der Streit zwischen Aufklärung und Neuhumanismus im Anfang des 19. Jahrhunderts. Ideengeschichtlich griff die von Niethammer bearbeitete pädagogische Schrift an, in deren er versuchte, die Individualität in der ‘fragmentierten’ Gesellschaft unbeschadet zu bewahren, das aufklärerische Projekt, d.h. die universale Vernunft zu hypostasieren und stattdessen das konkrete Individuum unter dem arbeitsgeteiligten Umstand abzustrahieren. Der Versuch, die aufklärerische Abstraktion zu überwinden und zugleich die allseitige Bildung des Individuums instand zu halten, spiegelt sich deutlich im Leid der meisten Neuhumanisten im 19. Jahrhundert. Aber die Frage, ob ihre Problemlösungen erfolgreich waren, bleibt noch offen. Interessantweise spiegelt sich solche pädagogische Gegenüberstellung auch in der heutigen Situation wider. Das ist eine ideengeschichtliche Wiederholung, oder?
목차
《요약》
Ⅰ. 문제의 지평
Ⅱ. 普遍論爭에 대한 問題史的 개관
Ⅲ. 新人文主義的 시대인식
Ⅳ. Niethammer의 “교육논쟁서”
Ⅴ. 이념사적 반복성? - 오늘날 우리에게 주는 의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국내 영어교육 연구동향: LDA 토픽모델링과 체계적 문헌 분석을 중심으로
- 교사다움의 무게를 견디며 : 신규교사의 감정소진과 정체성 위기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전문상담교사의 학부모·학생 폭력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