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Biblical Model for the Conversation and Consilience of Disciplines : For the Korea-Russia Cooperation in the Russian Far East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러시아 알타이지역 연구소
- 저자명
- 이경완(Kyong Wan Lee)
- 간행물 정보
- 『러시아학』러시아학 제14호, 111~139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2.28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Given the intensifying risk situation in the contemporary society, modern humanities, social science and natural science, specialized extremely and secluded from the reality, have not managed the vicious circle of risk factors, which made their communication and consilience come to the fore as a breakthrough. However, from the biblical viewpoint, the inability of the modern disciplines to manage the risk situation is mainly attributed to the self-contradiction and self-destruction of modern and so-called ‘post-modern’ discourses, with Enlightenment, utilitarianism, and relative positivism as basic cognitive frameworks. The fundamental solution is to restructure and integrate all disciplines into one complex based on universal and absolute values securing the voluntary and sustainable development.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biblical alternative model of communication and consilience of the three disciplines, which are characterized by the restoration of theology based on biblical principles as the axis and the reflection and selective integration of biblical and meaningful elements from self-reflective Romanticism, Symbolism, Modernism, Orthodoxy-centric Russian Religious Philosophy, and theological turn in the West and Russia.
The biblical model can be applied to regional studies for the Korea-Russia cooperation for risk management and sustainable development in Russian Far East. For example, Korea-Russia agricultural cooperation, which has faced many difficulties because of the above-mentioned risk factors in Korea and Russia, could be realized more successfully, supported by biblical interdisciplinary studies and education program. It will integrate the spiritual and ethical dimensions of life, contributing to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all Northeast Asian countries.
목차
서론
Ⅰ. 근대 인문학과 신학의 지형도 변화
Ⅱ. 러시아에서 대안적인 인문학과 지역학의 통섭의 전통과 재구성
Ⅲ. 한러 협력을 위한 성서적인 학제간 연구 방안 모색
Ⅳ. 한러협력 증진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Концепт как творческий акт и ключ к познанию русской народной личности
- 한국 근대문학의 러시아 문학 수용양상 연구
- 안나 아흐마토바의 서사적 욕망
- Литературная сказка Л. Петрушевской
- «Лира Новалиса» Вяч. Иванова
- Три века алтайской столицы
- К истории взаимоотношений А.А. Измайлова и В.Я. Брюсова (По материалам переписки 1909–1917 гг.)
- 고대러시아어 대명사 축소형의 범주적 지위에 대하여
- 서정과 광기
- К вопросу о структуре семантического поля ИНТЕРНЕТ
- 학문의 소통과 통섭을 위한 성서적인 모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NEW
- 디지털 트윈 시대의‘장소성’과 문화영토의 존재론 - 실재-가상 간 경계의 해체와 문화적 주체 형성
- 미드저니(Midjourney)가 이끄는 문화콘텐츠 연구의 지형 변화 - 국내외 연구 동향 분석
- 외국인의 K-콘텐츠 체험이 서울의 도시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