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내용분석을 통한 식공간 연출 연구 동향

이용수  375

영문명
A Content Analysis in The Table & Food Coordinate of Korea
발행기관
한국식공간학회
저자명
박반야(Park, Ban-Ya) 이지은(Lee, Ji Eun)
간행물 정보
『식공간융합연구』식공간학회 11권 1호, 1~20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6.12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식공간연구]의 연구현황을 분석함으로써 그 동안의 [식공간연구]의 주제 및 연구 방법과 대상들을 살펴보고, 식공간 연출 새로운 시장의 영역확장에 대해 재검토함으로써 (사)한국식공간학회 뿐만 아니라 연구 발전에 기여 하고자 하였다. Excel을 이용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총 10년의 기간을 2년씩 분류하였다. 각 연구들의 키워드를 바탕으로 유목을 분류하였으며, 각 유목의 기준점을 정의 하였다. 내용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첫 번째, [식공간연구] 주제 물리적 환경, 문화·고서 와 소비자행동 부분이 꾸준히 연구되어 지고 있었으며, 그 다음으로 교육과 식품 관련 주제들이 뒤를 이었음 을 알 수 있었다. 두 번째, 연구대상을 살펴보면, 음식점과 음식은 꾸준히 연구되어지는 대상이며, 소비채널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임을 알 수 있었다. 세 번째, 설문대상은 소비자가 37편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네 번째로 연구자의 수는 1인이 54편으로 제일 높게 나타났다. 다섯 번째, 연구자의 소속시관의 경우, 학계에 소속된 연구자와 업계에 소속된 연구자가 공동을 참가한 경우도 점차 증가 하였다. 여섯 번째, 연구의 형식은 질적연구보다 양적연구의 형식의 비율이 높았으며, 분석방법은 빈도/기술 통계분석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통계분석방법 수의 경우 시기가 지날수록 한 가지 보다는 3개에서 4개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search trends of dining space creation management study in order to contribute to the research development of The Table & Food Coordinate of Korea. Analysing dining space creating management study’s subjects, methods and objects of researches will help to reexamine a new field of markets and studies. By using Excel, frequency analysis was done and 10-year period was classified by two years. Based on each article’s keyword, categorical data was classified and the criteria for classifications we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ntent analysis, research subjects about physical evidences, culture/ antique books and customer behavior were steadily studied. Education and food were the next. Second was about research view points. Restaurants and food were consistently studied and studying about consumption channel had increased. Third was about questionnaire and survey targets. Consumer was seen as frequently as in 37 articles. Forth was about the number of researchers. 54 articles were studies by single researcher. Fifth, collaborative researches between academia and business were on the rise. Sixth, quantitative research articles’ proportion was higher than that of qualitative ones. It is also found that three to four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were used over time instead of one method.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Ⅳ. 분석결과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반야(Park, Ban-Ya),이지은(Lee, Ji Eun). (2016).내용분석을 통한 식공간 연출 연구 동향. 식공간융합연구, 11 (1), 1-20

MLA

박반야(Park, Ban-Ya),이지은(Lee, Ji Eun). "내용분석을 통한 식공간 연출 연구 동향." 식공간융합연구, 11.1(2016): 1-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