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f and effective method for the use of collocation dictionaries: Focusing on the lexical collocations of ‘wind’.
- 발행기관
-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낙복(Kim, Nahk-Bohk)
- 간행물 정보
- 『영어교과교육』영어교과교육 14권 3호, 71~9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9.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Collocation English dictionaries are corpus-based and innovative lexical tools which empower English learners to solve lexical problems in productive language skill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ontent and structure of collocation dictionaries in order to demonstrate more effective methods on how to use them to help learners improve their English productive skills. Five different collocation dictionaries available for learners of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were us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 the following. First, each dictionary has distinctive characteristics to help learners utilize natural-sounding collocational units, especially for the productive skills. Second, fully corpus-based collocation dictionaries incorporate applicable examples and semantic groupings for productive lexical knowledge. Certain effective and productive utilization methods are discussed to help learners achieve a better command of this special type of dictionary to raise their awareness and familiarity with English collocations and formulaic patterns of words. The results are also discussed in terms of collocations and strategies of employing the productive communication skills, and some pedagogical implications are identifi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답지 반응률 분포 곡선을 활용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교 영어 문항 분석
- 영어 음소 인식 지도에 대한 메타 분석
- 현직 영어과 교사연수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 교양영어 분반 평가에 관한 학생과 교수의 의견 분석:S대 사례연구
- Group Leader Election: Korean EFL University Students’ Attitudes and Rationales
- 연어 사전 분석과 활용 방안:‘Wind’의 어휘적 연어를 중심으로
- Breadth and Depth of Vocabulary Learning:Which Is Better for Improving TOEIC Listening and Reading?
- 한국 초등학생의 영어 발음 수행이 영어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 대학 전공연계 비즈니스 영어수업 비디오 피드백에 대한 학습자 인식 연구
- 국제공용어로서의 영어:교사의 인식과 어휘 및 문법자질에 대한 반응 연구
- 초등학생의 영어 그림자인형극놀이 학습 활동 사례 연구 및 교실 수업 활용 방안
- 말하기 수행평가의 시행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 요인 모형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新时代科技志愿服务在青年奋斗观培塑中的作用与策略研究——以汕头大学理学院实践为例
- “大思政课”视域下东北抗联红色文化数字叙事的开发策略研究
- “点”“线”“面”三维耦合与互动逻辑:新时代高校立德树人的新业态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