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Breadth and Depth of Vocabulary Learning:Which Is Better for Improving TOEIC Listening and Reading?
이용수 266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Yoo-Jean Lee
- 간행물 정보
- 『영어교과교육』영어교과교육 14권 3호, 1~1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9.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resent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FL students’ breadth and depth of vocabulary learning and their performance on the TOEIC listening and reading. One hundred and thirty three Korean EFL university students at various proficiency level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were divided into two separate groups: breadth and depth groups. The students in the breadth group were trained to increase the size of their vocabulary, whereas those in the depth group to develop a deeper knowledge of words. They kept notes of the new words they studied and took a vocabulary quiz every week. They also took the pre- and post-vocabulary tests along with the pre- and post-TOEIC test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analysis of the data revealed that breadth of vocabulary learning had a more positive effect on the students’ listening performance, while depth of vocabulary learning a more positive effect on reading achievement. In particular, the higher level students who studied vocabulary in depth showed the greatest improvement in reading. These findings imply that both breadth and depth of vocabulary learning are important to improve students' TOEIC listening and reading ability, but that the latter is more important to achieve a greater extent of improvement at more advanced level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are further discussed.
목차
I. INTRODUCTION
II. LITERATURE REVIEW
III. METHODOLOGY
IV. RESULTS AND DISCUSSIONS
V. CONCLUSION AND IMPLICATIONS OF THE STUDY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답지 반응률 분포 곡선을 활용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교 영어 문항 분석
- 영어 음소 인식 지도에 대한 메타 분석
- 현직 영어과 교사연수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 교양영어 분반 평가에 관한 학생과 교수의 의견 분석:S대 사례연구
- Group Leader Election: Korean EFL University Students’ Attitudes and Rationales
- 연어 사전 분석과 활용 방안:‘Wind’의 어휘적 연어를 중심으로
- Breadth and Depth of Vocabulary Learning:Which Is Better for Improving TOEIC Listening and Reading?
- 한국 초등학생의 영어 발음 수행이 영어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 대학 전공연계 비즈니스 영어수업 비디오 피드백에 대한 학습자 인식 연구
- 국제공용어로서의 영어:교사의 인식과 어휘 및 문법자질에 대한 반응 연구
- 초등학생의 영어 그림자인형극놀이 학습 활동 사례 연구 및 교실 수업 활용 방안
- 말하기 수행평가의 시행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 요인 모형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수학교육에서의 정보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 비교 연구: 한국, 일본, 싱가포르, 호주, 캐나다를 중심으로
- SSI 수업에서 과학교사의 행위주체성 발현에 대한 사례연구
- 인공지능 활용 리버스 엔지니어링 수업 지원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