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urgical Techniques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in Pediatric Cataract Surgery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안정효 김완수,Jung Hyo Ahn, M.D., Wan Soo Kim, M.D., Ph.D.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47,number7, 1049~1056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7.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o evaluat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of different surgical techniques in pediatric cataract.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105 eyes of 72 patients who had undergone irrigation and aspiration of cataracts with posterior chamber intraocular lens (IOL) implantation from January 1994 to June 2004. All the eye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surgical techniques used: group 1 (n=39), IOLs in the bag + intact posterior capsule; group 2 (n=24), IOLs in the bag + posterior continuous curvilinear capsulorhexis (PCCC) + anterior vitrectomy; group 3 (n=42), IOLs in the bag + PCCC + optic capture. Postoperative posterior capsular opacity (PCO), secondary intervention for PCO, strabismus, inflammation, glaucoma, vitreoretinal complications were evaluated. Results: Different from those in the past, current surgical methods for pediatric cataract entail either the optic capture of IOL or anterior vitrectomy through PCCC. PCO is the most frequent postoperative complication. Thirty-five eyes (87.1%) in group 1, 2 eyes (8.3%) in group 2, and no eyes in group 3 developed PCO. Five eyes (33.3%) had recurrence of PCO when PCO was treated by Nd:YAG laser posterior capsulotomy. None had PCO recurrence with secondary optic capture of IOL. Postoperative inflammation and IOL decentration were more common in group 2 than in the other group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valence of postoperative glaucoma between the groups. Neither vitreoretinal complication nor infection was found in our series. Conclusions: Optic capturing of IOL through PCCC permanently maintains the visual axis with the anterior vitreous face preserved.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후층판각막이식술후 이식편의 부착 및 각막기능의 회복에 관한 연구
- 재건되지 않았던 눈물소관 열상 환자에서 지연된 눈물소관 성형술의 효과
- 무안구증에서 나타난 비특이 안와염 1예
- 수정체 상피세포에서 TGF-β에 의한 MMP-2와 MMP-14의 발현과 조절 기전
- 건성안 환자에서 발견된 선천성 덧눈물길 1예
- 약물로 유도된 망막변성 흰 쥐에서 발생한 망막전위도의 초기 가역적 변화
- 섬유주절제술 후 여과포형성에 실패한 환자에서 마이토마이신씨를 이용한 주사침복원술의 효과
- 생체 흡수성 코폴리머 고정판을 이용한 안와골절의 치료
- 결막에서 발생한 평활근육종 1예
- 경동맥해면정맥동루의 상안정맥노출에 의한 코일 색전술
- 외상으로 안구파열된 테리엔 변연변성 환자 치험 1예
- 타이타늄 운동축을 삽입한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안와삽입물의 합병증에 관한 임상 연구
- 소아에서 발생한 안부대상포진 1예
- 임산부에서 시력저하로 발견된 림프구성 뇌하수체염 1예
- 세침 흡인 생검을 이용한 안내 종양의 진단
- 당뇨황반부종의 치료에서 유리체 절제술의 효과와 유리체강 내 트리암시놀론 주입술과의 비교
- 포도당 농도가 망막상피세포의 반응성 산소 생성량과 세포활성에 미치는 영향
- 사체를 이용한 안와 내측 구조물의 해부학적 연구
- 후천면역결핍증 환자에서 유리체염증이 주증상으로 나타난 눈매독 1예
- 소아백내장의 수술 방법에 따른 술 후 합병증 비교
- 친수성 아크릴릭 인공수정체 삽입술의 임상적 고찰
- 폐암 환자에서 발생한 암관련망막병증 1예
- 이마근 걸기술후 토안으로 인한 눈물막 및 안구표면의 변화
- 전층각막이식수술 후 10년 경과 관찰
- 수정체 유화술에 의한 인공수정체 삽입 수술 후 망막박리의 발생시기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