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 저자명
- 강후동(Kang, Hoo Dong)
- 간행물 정보
- 『초등영어교육』제18권 3호, 5~2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2.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ituation of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at elementary schools. This study uses survey questionnaires to examine teachers’ and students’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of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the significance of character education verses creativity education, obstacles to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and preferred teaching/learning activities for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at the elementary level. The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151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281 elementary school students among 15 different elementary schools in Korea. The results show that they perceive that the application of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in their English classes is not easier compared to other subjects. There are also differences between teacher and student groups in their perception of the easiness of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in their school subjects. The two groups have different perceptions regarding the feasibility of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in different subjects. Both groups recognize the necessity of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in English classes but think that character education is more important than creativity education. The most severe obstacles to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are teachers’ excessive class hours, class size, and lack of proper educational programs. Teachers and students’ mostly preferred activities for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were role play, brainstorming, and mind map.
목차
Abstract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부록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영어교육 지도를 위한 현장 교사의 전문성 활용
- Effects of Input Enhancement Techniques on Word Learning of Korean Elementary Learners
- 방학중 초등영어 캠프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및 평가: 학생, 교사, 학부모의 관점에서
- 노래를 활용한 영어ㆍ음악 통합 수업에서 성취 수준별 영어 어휘 습득 분석
- 가정과 연계한 수준별 역할극 프로젝트 수업의 효과
- A Model of Robot-Assisted Assessment of Primary School Students’ English Speaking
- 공손성을 고려한 초등영어교육과정 구성 및 지도방안
- 이야기책을 활용한 각운 중심의 초기 읽기 지도에 관한 연구
- 상호 컨설팅을 통한 초등영어 수업 전문성 향상
- A Corpus-Assisted Comparison of Teachers’ Utterances with Casual Conversation
- An Analysis of the English Expository Texts of Cultural Heritage in Incheon
- 초ㆍ중등교사와 학생의 교실수업형 원어민 화상영어교육에 대한 인식
- 영어동화에 기반한 리딩 저널쓰기 활동이 초등학생의 영어 쓰기능력에 미치는 영향
- 초분절적 요소의 지도가 학습자의 담화 내 돌출부와 돌출부 단어 강세의 인식과 발화에 미치는 영향
- 초등영어교육에서의 창의성ㆍ인성교육 현황분석
- 초등영어 전담교사들의 자료 활용 실태와 인식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국내 영어교육 연구동향: LDA 토픽모델링과 체계적 문헌 분석을 중심으로
- 교사다움의 무게를 견디며 : 신규교사의 감정소진과 정체성 위기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전문상담교사의 학부모·학생 폭력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