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안전보건관리체계
2023년 01월 20일 출간
- eBook 상품 정보
- 파일 정보 PDF (40.41MB)
- ISBN 9791198018342
- 쪽수 654쪽
- 지원기기 교보eBook App, PC e서재, 리더기
-
교보eBook App
듣기(TTS) 가능
TTS 란?텍스트를 음성으로 읽어주는 기술입니다.
- 전자책의 편집 상태에 따라 본문의 흐름과 다르게 텍스트를 읽을 수 있습니다.
- 이미지 형태로 제작된 전자책 (예 : ZIP 파일)은 TTS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PDF 필기가능 (Android, iOS)

이 상품은 배송되지 않는 디지털 상품이며,
교보eBook앱이나 웹뷰어에서 바로 이용가능합니다.
작품소개
이 상품이 속한 분야
안전하고 건강한 근무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K SQ ISO 45001:2018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요구사항을
사업장 운영으로 안전하고 건강한 일터를 조직의 구성원 및 다수의 사람들에게 제공하며 재해와
질병, 사망을 미리 사전에 예방하여 안전보건 성과를 지속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건설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방법은 건설업체 본사 및 현장에 따라 공정과 작업방법 및 보유한
기계, 기구가 다르므로 여건에 맞게 구축하는 데, 기술 역량 및 재정 여건이 어려운 건설회사나
소규모 공사 현장에서는 기초적인 안전보건 조치부터 시작하고 공정이 복잡하고 위험요인이
많은 현장에서는 공식적이고 구체적인 안전보건관리체계를 구축한다.
건설안전보건관리체계는 현장에서 일하는 근로자의 생명과 건강을 보호하기 위하여 자율적으로
현장에서 발생하는 위험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제거, 대체, 통제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이행 개선
하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하며, 본 서에서는 효과적으로 구축하고 이행하기 위해서 7가지 핵심
요소와 실행 전략과 이에 반드시 고려해야 할 내용을 포함하여 수록하였다.
건설안전보건체계 구축 시스템은 산재예방을 위한 시스템,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으로 하고
Tool은 안전보건공단(KOSHA)의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가이드, K OSHA-MS, K SQ ISO 45001 를,
활동은 건설회사 본사와 현장에서 스스로 위험요인을 파악하고 제거 대체 및 통제방안을 마련하여
구축 이행, 준수를 실행하고 평가를 통해 지속적으로 개선할 수 있도록 하였다.
건설안전보건관리체계 매뉴얼
1. 매뉴얼 승인서------------------------------------10
2. 적용범위, 인용표준---------------------------------13
3. 용어의 정의--------------------------------------17
4. 조직상황----------------------------------------26
5. 리더십과 근로자 참여--------------------------------27
6. 기획-------------------------------------------30
7. 지원-------------------------------------------35
8. 운용-------------------------------------------39
9. 성과평가----------------------------------------42
10. 개선-------------------------------------------45
제 2 장
건설안전보건관리체계 절차서 (안전보건공단 : 7 대 핵심요소)
1. 리더십과 안전보건방침 (경영자 리더십)-------------------59
2. 근로자 협의 및 참여 (근로자의 참여)---------------------72
3. 위험요인 파악 (리스크 관리)---------------------------83
4. 위험요인 제거∙대체 및 통제 (위험요인 제거∙대체 및 통제)-------133
5. 비상사태 대비 및 대응 (비상조치계획 수립)-----------------151
6. 운용, 성과측정 및 모니터링 (도급, 용역, 위탁시 안전보건 확보)---166
7. 준수평가, 개선 (평가 및 개선)--------------------------179
제 3 장
건설안전보건관리체계 지침서
1. 위험성 평가--------------------------------------220
2. 아차사고 운영-------------------------------------237
3. 개인보호구--------------------------------------- 241
4. 산업재해조사--------------------------------------248
5. 건설기계작업--------------------------------------258
6. 방화관리-----------------------------------------279
7. 중량물취급---------------------------------------284
8. 근로자의 건강진단----------------------------------293
9. MSDS 관리--------------------------------------298
10. 응급처치----------------------------------------300
11. 근골격계질환 예방---------------------------------321
Chapter 01
Chapter 02
Chapter 03
4
제 4 장
국가직무능력표준 (NCS) 건설안전관리
1. NCS 건설안전관리 직무정보---------------------------333
제 5 장
중대재해처벌법 및 시행령
1. 중대재해처벌법------------------------------------397
2. 중대재해처벌법 시행령-------------------------------402
제 6 장
건설공사 안전관리 업무수행지침
1. 건설공사안전관리 업무수행 지침------------------------411
제 7장
사업장 위험성평가에 관한 지침
1. 사업장 위험성평가에 관한 지침-------------------------477
제 8 장
안전보건경영시스템
1. 용어의 정의 (PPT)----------------------------------489
(유튜브 비대면 원격강의 촬영 대본)
2. 요구사항 (1) (PPT)----------------------------------524
(유튜브 비대면 원격강의 촬영 대본)
3. 요구사항 (2) (PPT)----------------------------------564
(유튜브 비대면 원격강의 촬영 대본)
4. 건설공사 참여자의 안전관리수준 평가---------------------602
(유튜브 비대면 원격강의 촬영 대본)
5. 건설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과정 실습)--------------------644
오늘날 건설산업의 모든 기업들은 경제적, 사회적 측면에서 새로운 변화와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불확실성 시대의 예측 불가능한 현실에서 한 차원 높은 건설공사의 창조적 고객 지향주의, 선도적
가치 지향주의 라는 경영이념 아래 사회적 요구의 변화 흐름에 앞서가는 신개념 안전보건관리체계
를 정립하고 건설기술인 전문가 집단인 공사 현장에서 근로자 참여와 전사적으로 실행할 때다.
중대재해처벌법 (제4조)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이행 준수를 기반으로 하는 건설공사안전관리업무
수행지침 제55조부터 제62조 [별표11~별표14]와 건설기술진흥법 제62조 제10항 [건설공사참여자의
안전관리수준평가]는, 산업안전보건법 제4조 제1항 제5호에 따라 건설공사의 발주자, 종합건설,
전문건설산업의 안전보건경영체계 구축을 지원하기 위한 (K OSHA-MS) 수행을 동시에 요구하고 있다.
건설공사 참여자인 발주자, 건설사업관리용역사업자, 시공자의 본사 및 현장에서 안전관리 수행 여부를
평가하는 제도는 사업주가 자율적으로 해당 사업장의 산업재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안전보건관리체계의
매뉴얼, 절차서, 지침서 문서화를 구축 이행하고 준수를 통하여 위험요인을 파악하고 위험요인의 제거,
대체 및 통제, 위험성을 평가 관리하는 안전보건 경영 활동이다.
특히, 건설산업은 본사와 위험요인이 상존하는 공사현장이 장소적으로 분리되어 있고, 공사의
진행에 따라 위험요인이 수시로 변하며, 다양한 주체가 동시에 참여하기 때문에, 현장단위에서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이행 및 준수가 어느 산업보다 중요한 사회적 책임 시대에 안정적인
건설회사 운영을 위하여 필수적인 경영자책임의 역할이다.
건설안전보건관리체계는 재난사고를 줄이며, 위험의 적극적 관리를 통해 모든 조직원들에게
안전하고 건강한 근무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K SQ ISO 45001:2018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요구사항을
사업장 운영으로 안전하고 건강한 일터를 조직의 구성원 및 다수의 사람들에게 제공하며 재해와
질병, 사망을 미리 사전에 예방하여 안전보건 성과를 지속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건설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방법은 건설업체 본사 및 현장에 따라 공정과 작업방법 및 보유한
기계, 기구가 다르므로 여건에 맞게 구축하는 데, 기술 역량 및 재정 여건이 어려운 건설회사나
소규모 공사 현장에서는 기초적인 안전보건 조치부터 시작하고 공정이 복잡하고 위험요인이
많은 현장에서는 공식적이고 구체적인 안전보건관리체계를 구축한다.
2
건설안전보건관리체계는 현장에서 일하는 근로자의 생명과 건강을 보호하기 위하여 자율적으로
현장에서 발생하는 위험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제거, 대체, 통제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이행 개선
하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하며, 본 서에서는 효과적으로 구축하고 이행하기 위해서 7가지 핵심
요소와 실행 전략과 이에 반드시 고려해야 할 내용을 포함하여 수록하였다.
건설안전보건체계 구축 시스템은 산재예방을 위한 시스템,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으로 하고
Tool은 안전보건공단(KOSHA)의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가이드, K OSHA-MS, K SQ ISO 45001 를,
활동은 건설회사 본사와 현장에서 스스로 위험요인을 파악하고 제거 대체 및 통제방안을 마련하여
구축 이행, 준수를 실행하고 평가를 통해 지속적으로 개선할 수 있도록 하였다.
중대재해처벌등에관한법률 (제4조) 안전보건관리체계의 구축 및 이행, 준수를 위한 안내서이다.
작가정보
저자(글) 최승철
대한민국 스타훈련교사 (고용노동부 2015)
중앙대학교, 공학석사, 공학박사수료, 안전공학사, 경영학박사
국토교통부지정종합교육기관 (재)영남건설기술교육원 교수부장 역임
건설기술교육원/건설기술호남교육원/전문건설기술교육원/
경복대건설교육원 / 대우건설/현대건설 리비아,
사우디아라비아 해외 및 국내 건설현장 역임
한국건설기술연구원/한국가스안전공사/
한국품질보증원 심사위원/한국과학기술연구원 (KIST)
녹색기술센터 그린인포랩 전문위원
한국표준협회 (표준인증분야 전문위원)
서울특별시 SH 공사 (설계자문위원)
한국심사자격인증원 (KSA/ISO 9001, 50001, 45001 심사원)
유튜브 채널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최승철TV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고용노동부 훈련교사), NCS전문가
건설공사관리 NCS 운영자 http://cafe.daum.net/cm20071222
* 주요저서 (ISBN) 및 연구실적
건설공사관리매뉴얼북. 건설자재관리매뉴얼북, 건설현장관리법규집
건설관리서식매뉴얼, 건설품질경영매뉴얼북, 제조물책임(PL)관리사
건설CM관리사 [제1권], [제2권], [제3권], [CMC]
NCS건설사업관리사, NCS건설공사관리매뉴얼 ,
[연구용역] PL대응을위한건설업체품질개선에관한연구(한국PL협회)
[연구기고] PL법을적용한건설업체의PLMS(한국구매자재협회)
[석사논문 PL법적용의 건설업체 품질경영시스템개선에관한연구(2003)
[박사논문] Study on Construction Management System
Improvement Acording to ISO 50001 (EnMS) Performed (2012)
저자(글) 조건호
현) 해동엔지니어링(주) 근무 (부사장)
전) 화성산업 (주) 환경사업팀장 20년 역임
영남대학교 화학공학사
자격
대기관리기술사
폐기물처리기술사
환경영향평가사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공인중개사
심의 및 대외활동 경력
대구광역시 건설기술심의위원
경상북도 지방건설기술심의위원
환경관리공단 기술검토심의위원
법원 전문심리위원
대한환경공학회 대경지회 부회장
폐기물학회 대경지회 부회장
상훈
환경부장관 표창
경상북도지사 표창
감수 김경욱
건설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안내자료 감수
이 상품의 총서
Klover리뷰 (0)
-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 오디오북, 동영상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은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 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문장수집
-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 수집 등록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문장수집 등록 시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 / 오디오북·동영상 상품/주문취소/환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