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
2025년 08월 11일 출간
- eBook 상품 정보
- 파일 정보 ePUB (54.23MB) | 약 32.8만 자
- ISBN 9791172796389
- 지원기기 교보eBook App, PC e서재, 리더기, 웹뷰어
-
교보eBook App
듣기(TTS) 가능
TTS 란?텍스트를 음성으로 읽어주는 기술입니다.
- 전자책의 편집 상태에 따라 본문의 흐름과 다르게 텍스트를 읽을 수 있습니다.
- 이미지 형태로 제작된 전자책 (예 : ZIP 파일)은 TTS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판매가 0원
이 상품은 배송되지 않는 디지털 상품이며,
교보eBook앱이나 웹뷰어에서 바로 이용가능합니다.
카드&결제 혜택
- 5만원 이상 구매 시 추가 2,000P
- 3만원 이상 구매 시, 등급별 2~4% 추가 최대 416P
-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추가 최대 200원
작품소개
이 상품이 속한 분야
20대 대학생 시기에는 금융역량을 갖추어 사회에 첫걸음을 내디딜 준비를 하는 것이 꼭 필요하지만 안타깝게도 우리나라 20대의 금융역량은 높지 않은 수준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금융감독원과 한국은행이 2023년 3월에 발표한 ‘2022년 전국민 금융이해력 조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20대의 금융이해력은 100점 만점에 65.8점으로 우리나라 성인 평균 점수(66.5점)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20대의 경우 저축과 미래에 대한 선호도를 나타내는 금융태도에서 48.9점을 기록하여 전 연령대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습니다. 이처럼 우리나라 20대의 금융이해력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는 것은 금융거래 경험이 부족하고 금융에 대해 체계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기회가 충분히 제공되지 않은 것이 주요한 원인이라고 생각됩니다.
이에 금융감독원은 체계적인 정규 금융교육 과정을 통해 대학생이 실생활에 필수적인 금융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하여, 2016년부터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 강좌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금융감독원은 동 강좌를 개설하고자 하는 대학에 교재와 함께 금융교육 교수, 교육용 자료 등을 아낌없이 지원하고 있으며, 현재 전국의 다수 대학이 이러한 기회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소속 대학생들의 금융이해력 제고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이 책은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 강좌의 기본 교재로 활용하기 위하여 2015년 12월에 최초로 발간되었으며, 2017년 12월 제2판과 2021년 2월 제3판을 거쳐 최근의 금융환경과 금융제도 변화를 반영하여 제4판을 새롭게 발간하게 되었습니다. 금번 제4판은 다음 사항에 중점을 두어 개정이 이루어졌습니다. 첫째, 금리 상승 기조로 전환된 최근 금융환경 변화와 제도변경 사항을 반영하고, 관련 통계자료 · 그림 · 표 등을 최신화하였습니다. 둘째, 학생들이 각 장의 본문을 공부하기에 앞서 주요 개념을 보다 쉽고 체계적으로 정리할 수 있도록 각 장마다 새롭게 등장하는 주요 금융용어를 ‘핵심 용어 정리’로 요약하여 제시하였습니다. 셋째, 공부한 금융이론과 금융제도가 현실 세계에서 어떻게 적용되는지 생생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기사읽기’ 코너를 새롭게 마련하였습니다. 넷째, 실생활에서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투자심리, 금융관련 세금제도, 창업관련 금융제도 등의 내용을 신규로 추가하였고, 학생들의 금융에 대한 지적 호기심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금융발전과 경제성장의 관계, 화폐의 시간가치, 위험과 수익률, 소비 · 저축 의사결정 모형, 간단한 금융상품 가치평가 모형 등 금융 기초이론과 관련한 내용을 추가하였습니다. 다만, 교수자가 강의 현장의 상황에 따라 강의 여부를 취사선택할 수 있도록 본문이 아닌 ‘부록’으로 수록하였습니다.
금번 개정은 저자들의 노력만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닙니다. 저자들의 부족함에도 본 개정 작업을 물심양면으로 지원해주신 금융감독원 금융교육국 담당자분들께 이 자리를 빌려 깊은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이처럼 여러 사람들의 노력으로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이 새롭게 개정된 만큼 전국의 많은 대학생이 본 교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현대 사회에 필수적인 금융역량을 갖추고 합리적인 선택을 하는 금융소비자로 성장해 갈 수 있기를 바랍니다.
2024년 2월
저 자 일 동
1 .1 경제의 순환과 금융 ⋯⋯⋯⋯⋯⋯⋯⋯⋯⋯⋯⋯⋯⋯⋯⋯⋯⋯⋯⋯⋯⋯⋯⋯⋯⋯⋯ 5
1.2 경제활동과 금융거래 ⋯⋯⋯⋯⋯⋯⋯⋯⋯⋯⋯⋯⋯⋯⋯⋯⋯⋯⋯⋯⋯⋯⋯⋯⋯⋯ 8
1. 3 금융의 기능 ⋯⋯⋯⋯⋯⋯⋯⋯⋯⋯⋯⋯⋯⋯⋯⋯⋯⋯⋯⋯⋯⋯⋯⋯⋯⋯⋯⋯⋯⋯ 9
1.4 주요 금융지표 ⋯⋯⋯⋯⋯⋯⋯⋯⋯⋯⋯⋯⋯⋯⋯⋯⋯⋯⋯⋯⋯⋯⋯⋯⋯⋯⋯⋯⋯12
금리(이자율)•12
환율•18
주가•22
제 2 장 금융상품, 금융시장과 금융회사
2 .1 금융상품 ⋯⋯⋯⋯⋯⋯⋯⋯⋯⋯⋯⋯⋯⋯⋯⋯⋯⋯⋯⋯⋯⋯⋯⋯⋯⋯⋯⋯⋯⋯⋯⋯35
2.2 금융시장 ⋯⋯⋯⋯⋯⋯⋯⋯⋯⋯⋯⋯⋯⋯⋯⋯⋯⋯⋯⋯⋯⋯⋯⋯⋯⋯⋯⋯⋯⋯⋯⋯38
금융시장•38
직접금융과 간접금융•38
금융시장의 종류•41
2.3 금융회사 ⋯⋯⋯⋯⋯⋯⋯⋯⋯⋯⋯⋯⋯⋯⋯⋯⋯⋯⋯⋯⋯⋯⋯⋯⋯⋯⋯⋯⋯⋯⋯⋯43
금융회사의 종류•43
은행•44
비은행 예금취급기관•47
보험회사•48
금융투자회사•49
기타 금융회사•50
2.4 금융유관기관 ⋯⋯⋯⋯⋯⋯⋯⋯⋯⋯⋯⋯⋯⋯⋯⋯⋯⋯⋯⋯⋯⋯⋯⋯⋯⋯⋯⋯⋯⋯52
금융감독원•52
한국은행•54
예금보험공사•55
한국거래소•56
신용회복위원회•57
서민금융진흥원•58
금융업권별 협회 등•58
제 3 장 저축의 이해
3 .1 소득과 지출 ⋯⋯⋯⋯⋯⋯⋯⋯⋯⋯⋯⋯⋯⋯⋯⋯⋯⋯⋯⋯⋯⋯⋯⋯⋯⋯⋯⋯⋯⋯65
소득•65
지출•68
우리나라 가계의 소득과 지출 현황•70
합리적인 소비를 위한 상품구매 단계별 전략•71
3.2 저축과 돈의 가치 ⋯⋯⋯⋯⋯⋯⋯⋯⋯⋯⋯⋯⋯⋯⋯⋯⋯⋯⋯⋯⋯⋯⋯⋯⋯⋯⋯⋯74
저축•74
단리와 복리•76
인플레이션과 돈의 가치•80
저축과 세금•82
3.3 저축상품 ⋯⋯⋯⋯⋯⋯⋯⋯⋯⋯⋯⋯⋯⋯⋯⋯⋯⋯⋯⋯⋯⋯⋯⋯⋯⋯⋯⋯⋯⋯⋯⋯84
저축상품의 개요•84
저축상품의 종류•85
저축상품 활용 시 고려사항•91
3.4 예금자보호제도 ⋯⋯⋯⋯⋯⋯⋯⋯⋯⋯⋯⋯⋯⋯⋯⋯⋯⋯⋯⋯⋯⋯⋯⋯⋯⋯⋯⋯⋯95
예금자보호제도의 의의•95
예금자보호 대상 금융상품•96
제 4 장 금융투자의 이해
4 .1 투자의 기초 ⋯⋯⋯⋯⋯⋯⋯⋯⋯⋯⋯⋯⋯⋯⋯⋯⋯⋯⋯⋯⋯⋯⋯⋯⋯⋯⋯⋯⋯ 105
투자의 개념•105
투자 수익률•107
투자의 리스크(risk)•110
4.2 금융투자상품 ⋯⋯⋯⋯⋯⋯⋯⋯⋯⋯⋯⋯⋯⋯⋯⋯⋯⋯⋯⋯⋯⋯⋯⋯⋯⋯⋯⋯⋯ 116
금융투자상품의 분류•116
금융투자상품 투자 과정•117
4. 3 주식 투자 ⋯⋯⋯⋯⋯⋯⋯⋯⋯⋯⋯⋯⋯⋯⋯⋯⋯⋯⋯⋯⋯⋯⋯⋯⋯⋯⋯⋯⋯⋯ 121
주식의 개념•121
주식의 발행과 유통•124
주식 거래 방법•127
4.4 채권 투자 ⋯⋯⋯⋯⋯⋯⋯⋯⋯⋯⋯⋯⋯⋯⋯⋯⋯⋯⋯⋯⋯⋯⋯⋯⋯⋯⋯⋯⋯⋯ 131
채권의 개념•131
채권의 분류•134
특수한 형태의 채권•136
4.5 재무제표 및 감사보고서 ⋯⋯⋯⋯⋯⋯⋯⋯⋯⋯⋯⋯⋯⋯⋯⋯⋯⋯⋯⋯⋯⋯⋯⋯ 139
재무제표•140
감사보고서•144
4.6 증권분석 ⋯⋯⋯⋯⋯⋯⋯⋯⋯⋯⋯⋯⋯⋯⋯⋯⋯⋯⋯⋯⋯⋯⋯⋯⋯⋯⋯⋯⋯⋯⋯ 146
증권의 투자가치 분석•146
기업정보•149
재무비율 분석•152
주가배수 평가•156
제 5 장 다양한 투자상품과 투자 유의사항
5 .1 펀드⋯⋯⋯⋯⋯⋯⋯⋯⋯⋯⋯⋯⋯⋯⋯⋯⋯⋯⋯⋯⋯⋯⋯⋯⋯⋯⋯⋯⋯⋯⋯⋯⋯ 165
펀드의 개념•165
펀드의 유형•168
펀드 투자 시 유의사항•177
5.2 파생상품 ⋯⋯⋯⋯⋯⋯⋯⋯⋯⋯⋯⋯⋯⋯⋯⋯⋯⋯⋯⋯⋯⋯⋯⋯⋯⋯⋯⋯⋯⋯⋯ 179
선물계약•180
옵션계약•185
스왑계약•189
5. 3 구조화 상품 ⋯⋯⋯⋯⋯⋯⋯⋯⋯⋯⋯⋯⋯⋯⋯⋯⋯⋯⋯⋯⋯⋯⋯⋯⋯⋯⋯⋯⋯ 190
구조화 상품의 개념과 특징•190
대표적인 구조화 상품•191
구조화 상품의 위험성•195
5.4 금융투자상품 투자 시 유의사항 ⋯⋯⋯⋯⋯⋯⋯⋯⋯⋯⋯⋯⋯⋯⋯⋯⋯⋯⋯⋯⋯ 197
투자위험에 대처하는 방법•197
불공정거래에 빠지지 않기•201
손실과 손해는 다름을 이해하기•203
제 6 장 신용관리
6 .1 신용의 개념과 신용관리의 중요성 ⋯⋯⋯⋯⋯⋯⋯⋯⋯⋯⋯⋯⋯⋯⋯⋯⋯⋯⋯⋯ 211
신용의 개념•211
신용관리의 중요성•211
6.2 개인신용정보와 신용평가⋯⋯⋯⋯⋯⋯⋯⋯⋯⋯⋯⋯⋯⋯⋯⋯⋯⋯⋯⋯⋯⋯⋯⋯ 213
개인신용정보의 개념•213
개인신용정보의 수집과 관리•214
개인신용평가•216
6. 3 신용관리 및 연체 시 대처방법 ⋯⋯⋯⋯⋯⋯⋯⋯⋯⋯⋯⋯⋯⋯⋯⋯⋯⋯⋯⋯⋯⋯ 219
신용관리방법•219
연체정보 등록 및 해제•222
채무조정제도•223
대학생 및 사회초년생을 위한 채무조정제도•226
6.4 신용카드 활용법 ⋯⋯⋯⋯⋯⋯⋯⋯⋯⋯⋯⋯⋯⋯⋯⋯⋯⋯⋯⋯⋯⋯⋯⋯⋯⋯⋯ 228
신용카드에 대한 이해•228
신용카드의 종류•229
신용카드의 주요 서비스•230
신용카드 해외 사용•235
신용카드 피해 예방 및 구제•236
제 7 장 부채관리
7. 1 부채의 개념과 영향 ⋯⋯⋯⋯⋯⋯⋯⋯⋯⋯⋯⋯⋯⋯⋯⋯⋯⋯⋯⋯⋯⋯⋯⋯⋯⋯ 243
부채의 이해•243
부채에 영향을 주는 요인•245
과다부채의 결과•247
7. 2 대출의 활용 ⋯⋯⋯⋯⋯⋯⋯⋯⋯⋯⋯⋯⋯⋯⋯⋯⋯⋯⋯⋯⋯⋯⋯⋯⋯⋯⋯⋯⋯ 249
대출 시 고려사항•249
대출금리 결정 방식•251
대출상환방식•253
대출기관의 종류•257
대출상품의 종류•258
대학생․청년과 서민을 위한 대출제도•260
7. 3 부채관리 ⋯⋯⋯⋯⋯⋯⋯⋯⋯⋯⋯⋯⋯⋯⋯⋯⋯⋯⋯⋯⋯⋯⋯⋯⋯⋯⋯⋯⋯⋯⋯ 263
부채현황 파악•263
부채상환을 위한 전략•264
부채관리의 기본원칙•265
7. 4 불법채권추심에 대한 대응 ⋯⋯⋯⋯⋯⋯⋯⋯⋯⋯⋯⋯⋯⋯⋯⋯⋯⋯⋯⋯⋯⋯⋯ 266
제 8 장 리스크관리와 보험
8 .1 리스크의 이해 ⋯⋯⋯⋯⋯⋯⋯⋯⋯⋯⋯⋯⋯⋯⋯⋯⋯⋯⋯⋯⋯⋯⋯⋯⋯⋯⋯⋯ 275
보험대상 리스크의 개념•275
보험대상 리스크의 요건•276
보험대상 리스크의 종류•277
보험대상 리스크의 측정•279
8.2 리스크의 관리 ⋯⋯⋯⋯⋯⋯⋯⋯⋯⋯⋯⋯⋯⋯⋯⋯⋯⋯⋯⋯⋯⋯⋯⋯⋯⋯⋯⋯ 281
리스크관리 방법•281
리스크관리 절차•283
8.3 보험의 이해 ⋯⋯⋯⋯⋯⋯⋯⋯⋯⋯⋯⋯⋯⋯⋯⋯⋯⋯⋯⋯⋯⋯⋯⋯⋯⋯⋯⋯⋯ 284
보험의 기본 원리•284
보험의 기능•286
8.4 보험의 주요 요소 ⋯⋯⋯⋯⋯⋯⋯⋯⋯⋯⋯⋯⋯⋯⋯⋯⋯⋯⋯⋯⋯⋯⋯⋯⋯⋯⋯ 287
보험료의 구성•287
해지환급금•288
보험계약자, 보험수익자, 피보험자•289
보험금•290
보험기간과 보험료 납입기간•291
8.5 보험의 종류 ⋯⋯⋯⋯⋯⋯⋯⋯⋯⋯⋯⋯⋯⋯⋯⋯⋯⋯⋯⋯⋯⋯⋯⋯⋯⋯⋯⋯⋯ 293
사회보험과 민영보험•293
사회보험의 종류•294
민영보험의 종류•297
생명보험•298
손해보험•301
제3보험•304
8.6 보험 가입 시 고려사항 ⋯⋯⋯⋯⋯⋯⋯⋯⋯⋯⋯⋯⋯⋯⋯⋯⋯⋯⋯⋯⋯⋯⋯⋯⋯ 311
보험가입 채널•311
보험 가입 시 유의사항•314
제 9 장 노후와 연금
9.1 초고령사회 ⋯⋯⋯⋯⋯⋯⋯⋯⋯⋯⋯⋯⋯⋯⋯⋯⋯⋯⋯⋯⋯⋯⋯⋯⋯⋯⋯⋯⋯⋯ 325
인구구조의 고령화•325
수명의 개념•327
9. 2 노후의 주요 위험 ⋯⋯⋯⋯⋯⋯⋯⋯⋯⋯⋯⋯⋯⋯⋯⋯⋯⋯⋯⋯⋯⋯⋯⋯⋯⋯⋯ 331
건강위험•331
경제적 위험•332
9. 3 노후준비와 연금 ⋯⋯⋯⋯⋯⋯⋯⋯⋯⋯⋯⋯⋯⋯⋯⋯⋯⋯⋯⋯⋯⋯⋯⋯⋯⋯⋯ 334
우리나라의 노후보장체계•334
주요 연금제도•336
9. 4 은퇴 연금설계 ⋯⋯⋯⋯⋯⋯⋯⋯⋯⋯⋯⋯⋯⋯⋯⋯⋯⋯⋯⋯⋯⋯⋯⋯⋯⋯⋯⋯ 345
연금설계의 단계•345
연금상품 선택 시 고려사항•347
제10장 재무설계의 기초
1 0.1 재무설계의 의의 ⋯⋯⋯⋯⋯⋯⋯⋯⋯⋯⋯⋯⋯⋯⋯⋯⋯⋯⋯⋯⋯⋯⋯⋯⋯⋯⋯ 355
재무설계의 개념•355
재무설계의 필요성•355
10.2 재무설계의 과정 ⋯⋯⋯⋯⋯⋯⋯⋯⋯⋯⋯⋯⋯⋯⋯⋯⋯⋯⋯⋯⋯⋯⋯⋯⋯⋯⋯ 358
1단계: 재무상태 분석•358
2단계: 재무목표 설정•361
3단계: 행동계획 수립과 실행•363
4단계: 정기적 검토와 수정•365
1 0. 3 20대의 재무설계 ⋯⋯⋯⋯⋯⋯⋯⋯⋯⋯⋯⋯⋯⋯⋯⋯⋯⋯⋯⋯⋯⋯⋯⋯⋯⋯⋯ 366
20대의 재무목표•366
20대의 재무관리 전략•370
제11장 금융소비자보호
1 1 .1 금융소비자보호의 개요⋯⋯⋯⋯⋯⋯⋯⋯⋯⋯⋯⋯⋯⋯⋯⋯⋯⋯⋯⋯⋯⋯⋯⋯⋯ 381
금융소비자보호의 필요성과 금융소비자보호법•381
금융소비자의 권리와 책무•383
국가와 금융회사의 역할•383
11.2 금융소비자 보호를 위한 장치 ⋯⋯⋯⋯⋯⋯⋯⋯⋯⋯⋯⋯⋯⋯⋯⋯⋯⋯⋯⋯⋯⋯ 384
금융상품 판매행위 규제•384
금융소비자 피해구제•389
11. 3 금융소비자의 금융역량 제고 ⋯⋯⋯⋯⋯⋯⋯⋯⋯⋯⋯⋯⋯⋯⋯⋯⋯⋯⋯⋯⋯⋯ 394
금융교육•394
금융정보의 제공•397
11.4 금융소비자보호 관련 주요 이슈 ⋯⋯⋯⋯⋯⋯⋯⋯⋯⋯⋯⋯⋯⋯⋯⋯⋯⋯⋯⋯⋯ 399
개인정보 보호•399
금융사기 피해예방•404
제12장 신기술과 금융의 변화
12.1 핀테크의 개념 ⋯⋯⋯⋯⋯⋯⋯⋯⋯⋯⋯⋯⋯⋯⋯⋯⋯⋯⋯⋯⋯⋯⋯⋯⋯⋯⋯⋯ 419
핀테크의 개념•419
핀테크의 성장배경•421
12.2 핀테크 관련 주요 기술 ⋯⋯⋯⋯⋯⋯⋯⋯⋯⋯⋯⋯⋯⋯⋯⋯⋯⋯⋯⋯⋯⋯⋯⋯⋯ 425
인공지능•425
블록체인•426
클라우드•429
빅데이터•430
12.3 다양한 핀테크 서비스 ⋯⋯⋯⋯⋯⋯⋯⋯⋯⋯⋯⋯⋯⋯⋯⋯⋯⋯⋯⋯⋯⋯⋯⋯⋯ 431
인터넷전문은행•432
간편결제․송금•434
자금조달 및 대출•435
웰스테크•438
인슈어테크•439
12.4 핀테크의 발전과 생활의 변화 ⋯⋯⋯⋯⋯⋯⋯⋯⋯⋯⋯⋯⋯⋯⋯⋯⋯⋯⋯⋯⋯⋯ 441
핀테크 발전에 따른 기대효과•442
핀테크 발전에 따른 위험요소•444
제13장 부록: 금융관련 기초 이론과 주요 이슈
13.1 금융발전과 경제성장의 관계 ⋯⋯⋯⋯⋯⋯⋯⋯⋯⋯⋯⋯⋯⋯⋯⋯⋯⋯⋯⋯⋯⋯ 451
경제성장의 경험•451
경제성장에 대한 금융의 역할•452
금융혁신의 역사•454
금융의 명암•456
13.2 화폐의 시간가치, 위험과 수익률 ⋯⋯⋯⋯⋯⋯⋯⋯⋯⋯⋯⋯⋯⋯⋯⋯⋯⋯⋯⋯⋯ 462
화폐의 시간가치와 금융자산의 가치평가•462
기대수익률과 위험•464
포트폴리오 이론•468
13.3 소비․저축의 시점 간 의사결정 ⋯⋯⋯⋯⋯⋯⋯⋯⋯⋯⋯⋯⋯⋯⋯⋯⋯⋯⋯⋯⋯ 472
소비와 저축 사이의 선택 문제•472
시점 간 선택 모형•472
13.4 주식․채권 가치평가 모형 ⋯⋯⋯⋯⋯⋯⋯⋯⋯⋯⋯⋯⋯⋯⋯⋯⋯⋯⋯⋯⋯⋯⋯ 478
주식가치 평가모형•478
채권가치 평가모형•484
13.5 선물․옵션 가치평가 모형 ⋯⋯⋯⋯⋯⋯⋯⋯⋯⋯⋯⋯⋯⋯⋯⋯⋯⋯⋯⋯⋯⋯⋯ 488
선물 가치평가 모형•488
옵션 가치평가 모형과 옵션 거래전략•491
13.6 신뢰․정보․신용과 금융의 관계 ⋯⋯⋯⋯⋯⋯⋯⋯⋯⋯⋯⋯⋯⋯⋯⋯⋯⋯⋯⋯ 499
본인-대리인 관계와 정보비대칭, 그리고 대리인 문제•499
신뢰, 정보, 신용과 금융의 관계•501
13.7 신용할당과 역선택 및 도덕적 해이 ⋯⋯⋯⋯⋯⋯⋯⋯⋯⋯⋯⋯⋯⋯⋯⋯⋯⋯⋯⋯ 504
신용할당•504
신용할당의 발생 원인•505
13.8 간단한 보험수리 모형 ⋯⋯⋯⋯⋯⋯⋯⋯⋯⋯⋯⋯⋯⋯⋯⋯⋯⋯⋯⋯⋯⋯⋯⋯⋯ 507
보험과 보험수리•507
보험료 구성과 보험료 결정요인•507
수지상등의 원칙과 보험료 산출•508
13.9 생애주기가설과 노후 대비 ⋯⋯⋯⋯⋯⋯⋯⋯⋯⋯⋯⋯⋯⋯⋯⋯⋯⋯⋯⋯⋯⋯⋯ 512
생애주기가설•512
생애주기가설과 노후 대비•513
13.10 금융 관련 세금 ⋯⋯⋯⋯⋯⋯⋯⋯⋯⋯⋯⋯⋯⋯⋯⋯⋯⋯⋯⋯⋯⋯⋯⋯⋯⋯⋯⋯ 516
우리나라 조세의 종류•516
금융 관련 세금의 종류•517
금융소득과 절세•519
13.11 행동금융학과 투자심리⋯⋯⋯⋯⋯⋯⋯⋯⋯⋯⋯⋯⋯⋯⋯⋯⋯⋯⋯⋯⋯⋯⋯⋯⋯ 522
행동금융학이란?•522
행동금융학 주요 개념•523
13.12 창업 관련 금융제도 ⋯⋯⋯⋯⋯⋯⋯⋯⋯⋯⋯⋯⋯⋯⋯⋯⋯⋯⋯⋯⋯⋯⋯⋯⋯⋯ 529
창업 관련 금융제도의 필요성•529
우리나라의 창업 관련 금융제도•530
오늘날 우리는 저축, 대출, 투자, 결제 및 송금 등이 없는 세상을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금융과 밀접하게 살고 있습니다. 또한, 디지털 혁신과 함께 가상자산 등 새로운 투자 상품이 등장하는 한편 뉴스뿐만 아니라 소셜미디어 등을 통해서도 금융 관련 콘텐츠를 손쉽게 접하면서 다양한 금융상품과 금융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어느 때보다 높아졌습니다.
그러나 몸에 좋은 약도 부적절하거나 과도하게 사용하면 오히려 독이 되듯이 금융도 잘못 이용하면 해가 될 수 있습니다. 이미 우리에게는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대출), 빚투(빚내서 투자)가 익숙한 표현이 되었으며, FOMO(Fear of Missing Out: 타인의 투자 성공에 뒤처지지 않으려 성급히 투자하는 심리) 현상이 사회적 이슈로 부각되는 등 금융의 오남용으로 인한 부작용이 만연해 있습니다. 실제로 과도한 빚을 감당하지 못해 금융채무 불이행자로 전락하거나 불법 고금리 대출로 큰 피해를 입은 사례가 증가하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이처럼 다양한 위험이 존재하는 금융 환경 속에서도 금융이 주는 혜택을 충분히 향유하려면 금융을 올바르게 인식하고 건전하게 활용하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이를 위한 금융교육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입니다.
특히 사회로의 진출을 준비하는 대학 시기는 금융교육을 통해 금융역량을 키울 수 있는 골든타임입니다. 이에 금융감독원은 대학생이 꼭 알아야 할 금융의 기초지식과 금융거래시 유의사항 등을 실제 사례 중심으로 제공하는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 교재를 2015년 12월 처음 발간하였으며, 어느덧 4번째 개정판을 발간하게 되었습니다. 금번 제4차 개정판에서는 최근 금리상승 기조로 전환된 금융 환경을 반영하였으며, 대학생이 금융용어를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금융용어 설명란을 신설하였습니다. 또한, 투자의 대중화를 고려하여 행동금융을 통한 투자심리 이해, 금융 관련 세금 등도 추가하였습니다.
금융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는 우리가 현재와 미래의 재무적 문제를 처리할 수 있고 자신의 행복을 추구하기 위한 재무적 선택이 가능한 상태인 금융 웰빙(Financial Well-being)에 이르는 것입니다. 모쪼록 본 교재가 대학생 여러분을 금융 웰빙으로 인도하는 나침반이 되기를 바랍니다. 끝으로 본 개정판 출간을 위해 수고해 주신 집필진과 금융감독원 금융교육국 관계자 여러분께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2024년 2월
금융감독원 원장 이복현
인물정보
저자(글) 금융감독원
이 상품의 총서
Klover리뷰 (0)
-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 오디오북, 동영상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은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 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문장수집
-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 수집 등록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문장수집 등록 시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 / 오디오북·동영상 상품/주문취소/환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최초1회)
- 리워드 제외 상품 : 마이 > 라이브러리 > Klover리뷰 > 리워드 안내 참고
- 콘텐츠 다운로드 또는 바로보기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
가장 와 닿는 하나의 키워드를 선택해주세요.
총 5MB 이하로 jpg,jpeg,png 파일만 업로드 가능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신고 내용은 이용약관 및 정책에 의해 처리됩니다.
허위 신고일 경우, 신고자의 서비스 활동이 제한될 수
있으니 유의하시어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
이 글을 작성한 작성자의 모든 글은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eBook 문장수집은 웹에서 직접 타이핑 가능하나, 모바일 앱에서 도서를 열람하여 문장을 드래그하시면 직접 타이핑 하실 필요 없이 보다 편하게 남길 수 있습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선물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
보유 권수 / 선물할 권수0권 / 1권
-
받는사람 이름받는사람 휴대전화
- 구매한 이용권의 대한 잔여권수를 선물할 수 있습니다.
- 열람권은 1인당 1권씩 선물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이 ‘미등록’ 상태일 경우에만 ‘열람권 선물내역’화면에서 선물취소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의 등록유효기간은 14일 입니다.
(상대방이 기한내에 등록하지 않을 경우 소멸됩니다.) - 무제한 이용권일 경우 열람권 선물이 불가합니다.
첫 구매 시 교보e캐시 지급해 드립니다.

- 첫 구매 후 3일 이내 다운로드 시 익일 자동 지급
- 한 ID당 최초 1회 지급 / sam 이용권 제외
- 구글바이액션을 통해 교보eBook 구매 이력이 없는 회원 대상
- 교보e캐시 1,000원 지급 (유효기간 지급일로부터 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