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채주 칼럼으로 들여다보는 K 신재생에너지
2024년 11월 15일 출간
- eBook 상품 정보
- 파일 정보 PDF (4.60MB)
- ISBN 9791198502384
- 지원기기 교보eBook App, PC e서재, 리더기, 웹뷰어
-
교보eBook App
듣기(TTS) 불가능
TTS 란?텍스트를 음성으로 읽어주는 기술입니다.
- 전자책의 편집 상태에 따라 본문의 흐름과 다르게 텍스트를 읽을 수 있습니다.
- 이미지 형태로 제작된 전자책 (예 : ZIP 파일)은 TTS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PDF 필기가능 (Android, iOS)

쿠폰적용가 16,200원
10% 할인 | 5%P 적립이 상품은 배송되지 않는 디지털 상품이며,
교보eBook앱이나 웹뷰어에서 바로 이용가능합니다.
카드&결제 혜택
- 5만원 이상 구매 시 추가 2,000P
- 3만원 이상 구매 시, 등급별 2~4% 추가 최대 416P
-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추가 최대 200원
작품소개
이 상품이 속한 분야
차
제1부 2000년대 우리나라 에너지정책
2000년대 우리나라 10대 에너지정책 1
1. 신재생에너지기술연구센터를 설립하다 3
2. 국내 최초 태양광 집단화 설비 5
3. 전남지역은 신재생에너지 생산 최적지 7
4. 서남지역 대체 에너지산업 연구메카로 발돋움 9
5. 지역특성살린 친환경 에너지 연구 매진 11
6. 이제는 에너지생태도시이다 13
7. 에너지생태도시의 배경과 전망 15
8. 태양광발전의 반작용 17
9. 태양광·조류(조력)발전의 활성화 조건 19
10. 해수면 상승, 우리도 예외가 아니다 21
11. 국내 신재생에너지 산업 현황과 전망 23
12. 태양광발전 산업의 적지(適地) 25
13. 신재생에너지 발전 위한 고민 계속해야… 28
14. ‘탄소제로도시 선언’계속돼야 한다 30
15. 대규모 재생에너지가 대안이다 32
16. 우리나라 최초의 탄소제로도시 구현이 시작되다 35
17. 신안군 신재생에너지 메카건설과 정부의 역할 39
18. 해상풍력 개발지침이 필요하다 41
19. 분산전원의 완결 ‘스마트그리드’ 44
20. 해상풍력발전단지 서둘러야 47
21. 광역경제권 선도산업과 신재생에너지 49
22. 풍력의 집중 연구·개발이 필요하다 51
23. 풍력산업 클러스터 어디로? 54
제2부 2010년대 우리나라 에너지정책
2010년대 우리나라 10대 에너지정책 57
1. 전남 해상풍력산업 돛 올렸다 59
2 스마트그리드 성장동력산업의 꽃으로 성장시켜야 62
3. ‘뜨거운 감자' 해상풍력 시범단지 65
4. RPS 대안을 찾아보자 68
5. 광역권 신재생 선도산업 위기인가? 70
6. 해상풍력육성 종합대책 서둘러야 73
7. 중소기업 협력R&D도 공정해야 한다 76
8. 해상풍력 강국으로 도약할 차례 78
9. 해상풍력 로드맵 발표는 시작이다 82
10. 신성장동력산업 녹색에너지 85
11. 신재생에너지 세상 그린아일랜드 87
12. 가정의 필수품 태양전지 89
13. 신재생에너지 완결판 스마트그리드 91
14. 신재생에너지 남미 서쪽시장을 개척하자 93
15. 무공해 에너지 수소 96
16. 갈길 먼 스마트그리드 99
17. 에너지 자립 '녹색섬' 102
18. 원전중심의 에너지정책을 바꾸어보자 104
19. 국가해상풍력로드맵을 개정하자 107
20. 정전사태 대안들 110
21. 제2차 에너지기술개발계획의 실현성113
22. 전력수급 위기인가? 115
23. 온실가스 주범 석탄화력 어떻게 할 것인가? 118
24. 태양과 조석에너지 상용화 현황 및 전망 121
25. 불붙는 해상풍력 지원항만 유치전 132
26. 전력수급계획의 전제조건 135
27. 지능형전력망 지능적으로 연기되다 138
28. 신정부의 신재생에너지정책 수립에 바란다 141
29. 풍력으로 원전을 대체할 수 있다?144
30. 전기차를 타고 싶다 147
31. 에너지위기의 대안을 찾아서 150
32. 목포대, 국내 최대 높이 해상기상탑 설치 153
33. 신재생에너지 활성화방안 알맹이가 빠졌다 154
34. 2014년은 신재생에너지 보급 대전환의 시기 157
35. 해상풍력 현안과 그 대안 160
36. 제주도에 부는 풍력에너지 바람 163
37. 해상풍력로드맵 재검토가 필요하다 165
38. 신재생에너지 가중치 개정해도 의무량 확보는 어렵다 168
39. 안타까운 원자력연구 171
40. 혼란스러운 신재생에너지사업 173
41. 에너지신산업은 새로운 기회다 175
42. 한전에 바란다 178
43. 전력망 재앙 회피방안 181
44. 직류(DC) 산업육성이 필요하다 184
45. 아우성치는 청정에너지사업1 87
46. 에너지자립섬 민간에게 맡겨야 190
47. 전력산업의 생명 ‘에너지밸리’ 193
48. 태양광사업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 196
49. 해상풍력은 한전이 나서야 한다 199
50. 빛가람에너지밸리 화룡점정을 하다 202
51. 천덕꾸러기 된 태양광 발전사업 205
52. 전력기술의 도약 빅스포의 미래208
53. 에너지신산업 현장에 가야 한다 211
54. 새해에도 암울한 신재생에너지 214
55. 제주 폭설과 HVDC 217
56. 세계적 에너지밸리 위상 걸맞는 연구기관이 목표 220
57. 전력산업의 전력투구(電力投球) 222
58. 전력기초연구의 미래가 어둡다 225
59. BIXPO, 글로벌 박람회로 키우자 228
60. 2021년까지 324억 투입 산학융합 인프라 구축 231
61. 4차혁명과 에너지 그리고 SW융합 232
62. 한전공대 유치경쟁과 상생의 길 234
63. 세계적인 에너지 신산업의 메카, 전남 237
제3부 2020년대 우리나라 에너지정책
2020년대 우리나라 10대 에너지정책 279
1. "전남 해상풍력발전, 한전 참여 위한 법 개정을" 281
2. 에너지밸리 플랫폼을 완성하다 283
3. 재생에너지 송전문제 그린수소가 정답이다 285
4. 20년 뒤 미래먹거리는 해상풍력… 이익공유·송전설비 해결해야 287
5. 에너지전환, 해상풍력과 국내 계통망 여건 고려해야 289
6. 해상풍력, 전남의 새로운 성장동력 291
7. 농민의 연금 영농형 태양광 293
8. 탄소 중립 달성위해 도심 아파트 태양광 적극 활용해야 295
9. 미래의 에너지산업 299
작가정보
저자(글) 문채주
문 채 주 文彩柱
1958년 벌교에서 태어나 전남대학교에서 학사, 석사,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986년 KOPEC 연구소에 입사하여 NSSS ICCMS 설계 업무를 수행하였으며, 1997년 국립목포대학교 전기공학과로 이직하였다. 2000년부터 10여 년간 행정자치부 국가고시출제위원, 2003년부터 대학의 산학연중소기업기술지원센터장을 역임하였으며, 산학연전국협의회 이사와 전남협의회장을 맡아서 추진한 산학연 중소기업지원 업무의 공로를 인정받아 2005년 대통령 표창을 수상하였다.
2004년 대학전력연구센터지원사업인 신재생에너지기술연구센터사업이 선정되어 4년간 센터장을 수행하였으며, 전남대와 공동으로 대학원생 인력양성을 수행하였다. 한국태양에너지학회와 한국전자통신학회 이사, 전력전자학회 부회장을 역임하였다.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의 논문상과 우수논문상, 전력전자학회 우수논문상 등을 받았으며, 2013년 전력전자학회 학술상을 수상하였다. 또한 SWEET 2010에서 설계작품 공모에서 대학원 학생들과 함께 지식경제부장관상을 수상하였다.
2004년 전남도 에너지위원회부위원장을 시작으로 정책자문위원회 부위원장, 신재생에너지위원회 위원장 등을 통해 도정업무를 지원하였으며, 태양광 및 연료전지 부품소재산업 육성계획, 선시티시범사업, 하이테크위원회, 광역경제권 선도사업 등의 기획책임자를 역임하였다. 또한 전남지역혁신협의회장을 3회 연임하면서 지역균형발전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2023년 산업통상자원부장관상을 받았다.
2008년 에너지관리공단 신재생에너지 정책자문위원, 국가전력수급기본계획수립 5차 및 6차 실무위원, 대통령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회와 정책기획위원회 자문위원 등 국가정책수립에도 참여하였다. 2008년 지자체연구소 육성사업으로 태양광, 풍력, 조류발전 등 재생에너지기술을 연구하는 서남권청정에너지기술연구원 공모사업을 기획하였으며, 이 연구원은 (재)녹색에너지연구원으로 변모하면서 거듭나게 되었다.
이투뉴스, 광주일보, 한국전기신문 등 신문사의 칼럼니스트로 활동하면서 에너지정책 현안을 적극 개진하였다. 2014년 한전의 나주이전과 더불어 에너지밸리조성사업을 기획하고 추진하였으며 2019년 나주시와 2020년 한전에서 감사패를 받았다. 2017년 에너지밸리산학융합원장을 맡아서 3회 연임하면서 MVDC 규제자유특구사업과 LVDC 기반구축사업을 기획하여 직류산업에 대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 상품의 총서
Klover리뷰 (0)
-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 오디오북, 동영상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은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 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문장수집
-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 수집 등록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문장수집 등록 시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 / 오디오북·동영상 상품/주문취소/환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최초1회)
- 리워드 제외 상품 : 마이 > 라이브러리 > Klover리뷰 > 리워드 안내 참고
- 콘텐츠 다운로드 또는 바로보기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
가장 와 닿는 하나의 키워드를 선택해주세요.
총 5MB 이하로 jpg,jpeg,png 파일만 업로드 가능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신고 내용은 이용약관 및 정책에 의해 처리됩니다.
허위 신고일 경우, 신고자의 서비스 활동이 제한될 수
있으니 유의하시어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
이 글을 작성한 작성자의 모든 글은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eBook 문장수집은 웹에서 직접 타이핑 가능하나, 모바일 앱에서 도서를 열람하여 문장을 드래그하시면 직접 타이핑 하실 필요 없이 보다 편하게 남길 수 있습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선물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
보유 권수 / 선물할 권수0권 / 1권
-
받는사람 이름받는사람 휴대전화
- 구매한 이용권의 대한 잔여권수를 선물할 수 있습니다.
- 열람권은 1인당 1권씩 선물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이 ‘미등록’ 상태일 경우에만 ‘열람권 선물내역’화면에서 선물취소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의 등록유효기간은 14일 입니다.
(상대방이 기한내에 등록하지 않을 경우 소멸됩니다.) - 무제한 이용권일 경우 열람권 선물이 불가합니다.
첫 구매 시 교보e캐시 지급해 드립니다.

- 첫 구매 후 3일 이내 다운로드 시 익일 자동 지급
- 한 ID당 최초 1회 지급 / sam 이용권 제외
- 구글바이액션을 통해 교보eBook 구매 이력이 없는 회원 대상
- 교보e캐시 1,000원 지급 (유효기간 지급일로부터 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