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조사방법 패러다임과 기법

이친구들세상

2024년 10월 24일 출간

(개의 리뷰)
( 0% 의 구매자)
eBook 상품 정보
파일 정보 PDF (188.34MB)
ISBN 9791198949912
지원기기 교보eBook App, PC e서재, 리더기, 웹뷰어
교보eBook App 듣기(TTS) 불가능
TTS 란?
텍스트를 음성으로 읽어주는 기술입니다.
  • 전자책의 편집 상태에 따라 본문의 흐름과 다르게 텍스트를​ 읽을 수 있습니다.
  • 이미지 형태로 제작된 전자책 (예 : ZIP 파일)은 TTS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PDF 필기가능 (Android, iOS)
소득공제
소장
정가 : 15,000원

쿠폰적용가 13,500

10% 할인 | 5%P 적립

이 상품은 배송되지 않는 디지털 상품이며,
교보eBook앱이나 웹뷰어에서 바로 이용가능합니다.

카드&결제 혜택

  • 5만원 이상 구매 시 추가 2,000P
  • 3만원 이상 구매 시, 등급별 2~4% 추가 최대 416P
  •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추가 최대 200원

작품소개

이 상품이 속한 분야

이 책에서 중점을 둔 사항은 논문이나 보고서 작성하면 반드시 거쳐야 하는 조사 방법 과정을 확실하게 제시한다. 이 책은 학습자의 관점에서 믿고, 따르면 되도록 쉽게 접근하도록 구성했다. 연구자나 보고자가 조사 방법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상태로 글쓰기에 나서다 보니, 어느 순간 벽에 막혀 앞으로 나가지 못하고 머뭇거리는데 누구 하나 속 시원하게 해결 방법을 알려주려 하지 않는다. 더욱이 책이나 자료를 찾아 접근하다 보면 조사 방법 내용이 여기저기 혼재되어 드문드문한 상태로 불확실하게 글을 써 내려간다. 어느 정도 쓰다 보면 작성자 스스로 믿지 못하고 “이렇게 써도 괜찮을까?”라는 의구심을 갖게 된다.

논문이나 보고서를 작성 경험자라면 처음 작성했을 때 막막함을 느꼈을 것이다. 고민하지 말고 이 책을 따라 하다 보면 조사 방법에 관한 확고한 지혜와 입체화된 지식을 얻는다. 이 책에서는 논문이나 보고서 작성에 필수 요소인 조사 방법을 쉽게 학습하여 체계적인 이해와 확실한 글쓰기 완성에 중점을 두었다.

책의 구성을 살펴보면 보고서나 논문에서 그 가치가 입증된다. 1장에서 12장으로 구성된 조사 방법 체계와 기법을 뜯어보면,

1장에서 조사의 본질과 수행 절차에 대해 제시한다. 조사의 목적은 실용적 측면과 학문적 측면에서 다양하게 설정된다. 조사의 수행 단계별 절차는 문제 및 기회의 규명, 조사 필요성의 공식화 및 조사 브리핑을 통한 문제 정립, 조사 제공사 선정 및 조사 디자인 작성과 조사 방법 선택, 1차 데이터 수집, 2차 데이터 수집, 데이터 분석,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조사 결과와 권장 사항의 작성 및 발표의 각 단계로의 순차적 진행뿐만 아니라 개선을 위해 이전 단계를 재수행하여 진행할 수도 있다.

2장에서 조사 성공 요건과 과학적 조사에 관한 본질과 과학적 설명 추론 접근방법을 제시한다. 과학적 조사(또는 기초적 조사)는 일반적 현상에서 관계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 가설적 명제들을 체계적, 통계적, 비판적으로 탐구하는 활동이다. 과학적 조사의 목적은 현상에 대한 사실을 요약, 기록하여 서술하고, 주어진 현상의 원인분석과 인과관계를 규명하는 설명과 함께, 과거 현상의 원인과 결과를 기초로 현재 현상에 따른 미래의 결과를 추정하도록 예측을 제공하는 것이다.

3장에서 조사 패러다임과 조사방법론에 대해 알려준다. 패러다임은 과학적 공동체 구성원들에 의해 공유되는 값들 및 기법들의 집합으로, 우리가 보는 것과 그것을 파악하는 방식 모두를 수행하는 관찰과 파악을 위한 기준이 되는 심적 모형이나 틀이다. 방법론은 조사 문제를 체계적으로 해결하는 방식이며, 관점, 신념, 가치관을 기초로 하는 조사의 일관성 있는 논리적인 틀이다. 조사방법론은 일단의 조사 방법들을 포괄하는 조사 프로세스에 대한 접근방식이다.

4장에서 조사 수행 과정으로 조사 예비 계획 단계, 조사 디자인(탐색적 조사, 기술적 조사, 인과적 조사), 조사 실행과 보고서 작성법을 제시한다. 조사 목적은 조사할 문제나 기회 규명, 의사결정 대안들의 평가, 조사 결과의 사용을 기준으로 조사 의뢰자와 조사자가 공감대를 갖도록 설정해야 한다. 현상이나 사건의 설명 또는 측정을 위한 정의는 실제(객관적) 정의, 명목상 정의, 구성적 정의, 조작적 정의로 구분할 수 있다.

5장에서 정성조사의 특징과 수행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려준다. 정성조사는 특징이나 종류에 관한 현상인 질적 현상에 관련된 탐색적 조사이며, 소표본을 기반으로 비구조화 기법들을 사용한다. 한편 정량조사는 수량이나 금액의 측정을 기초로 하며, 수량을 조건으로 표현할 수 있는 현상에 적용한다. 정성조사는 행동, 동기부여, 태도 등의 특징이나 종류에 관해 정량화할 수 없는 어떤 질적 현상의 의미를 설명, 결정, 해석하도록 관련 용어 도출을 통한 해석기법을 사용하여 수행한다.

6장에서 정량조사 특징과 설문조사 및 관찰조사 방법을 제시한다. 정량조사는 숫자로 표현할 수 있는 어떤 현상의 수량, 빈도,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관찰, 설문조사, 실험 검정을 측정 수단으로 수행한다. 정량데이터는 숫자 및 산술연산이 자체에서 가능한 데이터를 말한다. 그리고 이러한 정량데이터의 척도가 명목척도에서 서열, 등간 및 비율 척도로 갈수록 분석기법과 다양성은 증가한다. 설문조사는 정량조사로 1차 데이터를 획득하는 대표적인 방식은 설문조사, 관찰, 실험이다.

7장에서 실험의 특징과 디자인 원리와 작성 방법을 알려준다. 실험은 조사하는 변수들의 관계에 대한 통제를 최대화하여 수행하는 형태의 연구 디자인이다. 그리고 설정은 실험의 대상이 되는 장치, 환경, 장소 등을 원하는 효과가 발생하도록 조정하는 조치이다. 실험은 수행 장소에 따라 실험조사인 실험실 실험과 현장 실험으로 구분한다. 실험은 통제 영역인 독립변수의 조작 가능 여부 및 정도에 따라 진실험과 자연실험으로 구분한다.

8장에서 측정 과정과 척도구성 본질과 기법을 제시한다. 측정은 사전에 규정한 규칙에 따라 대상들의 특징에 대해 숫자나 다른 라벨들을 할당하는 조치이므로, 측정 대상 및 측정 측면에 따라 적합한 측정 과정을 수행해야 한다. 측정 과정은 측정 대상과 초점 측면에 따라 관심 개념의 규명, 구성개념의 개발, 구성적 개념의 정의, 조작적 개념의 정의, 측정척도 개발, 측정의 신뢰도 및 타당도 평가의 절차로 수행한다.

9장에서 척도 평가와 데이터 오류 원천과 관리 방법을 알려준다. 복수항목 척도는 평가할 단일 질문이나 진술인 항목이 여러 개인 복수 항목들로 구성되어 있다. 항상 측정과정을 통해 실제로 획득한 정보는 찾으려는 정보와 정확히 일치하지 않고 격차를 초래한다. 측정오차를 최소한도로 축소할 수 있는 타당한 측정치는 먼저 정확성과 함께 경제성, 편의성, 해석 가능성과 같은 현실성이 있어야 한다. 데이터의 오차는 조사자가 수집한 데이터의 정확성 및 품질을 저하할 수 있다. 설문조사의 질적 수준을 평가할 때 그 정확성을 추정해야 한다. 표본오차, 비표본오차, 구성개념 타당도, 내적 타당도, 조사의 외적 타당도, 결론 타당도를 설명하고 제시한다.

10장에서 측정값의 신뢰도와 타당도에 대해 제시한다. 신뢰도는 동일한 여건에서 반복적 측정이 수행될 때 유사한 결과들을 발생시키는 일관성, 안정성, 또는 반복 가능성을 달성하는 능력이다. 외적 신뢰도는 시간이 지난 후에도 어떤 측정치가 안정성을 갖는지의 정도를 말한다. 내적 일관성 신뢰도는 동일한 개념에 대한 2개 이상의 측정치를 동시에 구하여 그 측정치들이 일치하는지를 비교하는 기법이다.

11장에서 조사 유형과 설문지 디자인 작성 방법을 알려준다. 개념연구는 어떤 추상적 아이디어 또는 이론이 관련되며, 새로운 개념의 개발이나 기존 개념의 재해석을 위해 사용된다. 실증연구는 시스템 및 이론에 대한 상당한 참작이 없이 경험이나 관찰에 의존하여 수행한다. 횡단조사는 특정 시점에서 여러 연구대상을 조사하여 비교하는 방법이며, 종단조사는 동일 현상을 동일 대상에 대해 반복적으로 측정하여 조사하는 방법이다.

12장에서 데이터의 통계 처리 방법에 대해 제시한다.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목적은 정보를 얻는 것이며, 통계적 방법은 데이터로부터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한다. 기술통계학의 목적은 모집단의 기초적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표본 측정값으로 집중화 경향치와 분산 및 관계를 규명하여 요약표를 제시하는 반면에, 추론통계학은 모집단에 대한 추론을 위해 표본 데이터를 이용한 예측과 결론을 도출하는 것이다.

위에서 나열한 학습 구성을 통해 습득한 지식을 활용하면 논문이나 보고서를 완벽하게 제시할 수 있다.

논문이나 보고서 글쓰기 한계에 부딪혀 고민의 시간을 보낸 시간이 얼마나 길었던가? 선행 연구자의 논문에 제시한 작성법이나, 강사들이 제시하는 조사방법론은 도무지 어떤 근거를 가지고 설명하는지, 관련 내용을 저 강사가 완벽하게 이해하고 강의하는지 믿음이나 확신이 서지 않는다면 이 책을 통해 정확한 근거를 찾아 학습자가 추구하는 최고의 길을 함께 걷기를 소원한다.
Chapter 1. 조사의 본질과 수행 절차 1

Section 1. 조사의 본질과 과학적 조사 2
1. 조사의 본질과 특징 2
2. 조사의 유형 3
3. 조사의 목적과 목표 3
4. 행동조사의 윤리강령 5

Section 2 조사의 수행 원리 및 절차 6
1. 조사의 수행 원리 6
2. 조사의 수행 단계별 절차 7

Section 3. 조사방법론의 특징과 형태 8
1. 조사방법론의 특징 8
2. 조사방법론의 성분과 형태 8
3. 조사의 수행 방법 9
4. 과학적 접근법 11
4.1 과학적 행동조사의 목표 12
4.2 과학적 탐구의 수행 성분 12
5. 조사의 수행 도구 14
5.1 개념 14
5.2 구성개념 14
5.3 이론 15
5.4 변수와 가설 18
5.5 모델 19
5.6 프레임워크 20
Chapter 2. 조사 성공 요건과 과학적 조사 22

Section 1. 조사의 성공 요건과 과학적 조사의 본질 23
1. 조사의 성공 요소 23
2. 과학적 조사의 본질 25
3. 과학적 조사철학 26
4. 과학적 조사의 목적과 목표 27
5. 과학적 조사의 수행 방법 27

Section 2. 과학적 설명 추론 접근법 29
1. 연역법 29
2. 귀납법 30
3. 귀납 및 연역 조합접근법과 귀추 추론 32
4. 분석적 귀납법 34

Chapter 3. 조사 패러다임과 조사방법론 36

Section 1. 조사 패러다임 37
1. 조사의 구성 37
2. 조사 패러다임의 성분 38
3. 조사철학의 가정 41
4. 조사 패러다임 기반 조사의 종류 43

Section 2. 조사방법론과 조사방법 46
1. 조사방법론의 개념과 유형 46
1.1 조사방법론의 개념 46
1.2 조사방법론의 유형 47
1.3 조사방법론의 디자인 유형 선택 48
2. 조사방법 49
2.1 조사방법의 개념과 프레임워크 49
2.2 조사방법 프레임워크와 차원별 유형 51

Chapter 4. 조사 수행 과정 53

Section 1. 조사 예비 계획 단계 54
1. 조사 목적 설정 54
1.1 조사 목적 설정 절차 54
1.2 문제 규정의 절차와 기준 55
1.3 조사 문제 접근법의 개발 56
2. 조사 목표의 결정 57
2.1 조사 목표의 결정 요건 57
2.2 조사 질문의 개발 57
2.2.1 측정값 결정과 개념 및 구성개념 58
2.2.2 조사 질문과 조작적 정의 59
2.3 가설의 개발 60
2.4 조사 범위의 결정 60
3. 조사 정보의 가치 추정과 조사 진행 결정 61

Section 2. 조사 디자인 62
1. 조사 디자인의 목적과 가치 62
2. 조사 디자인의 원리 63
3. 조사 접근법의 결정 64
3.1 탐색적 조사 65
3.2 기술적 조사 66
3.3 인과적 조사 67
3.4 데이터 수집 원천 결정 69
3.5 데이터 수집 형태 70
4. 조사 전술의 결정 71
4.1 측정값 및 척도구성 특성 71
4.2 기본척도 73
4.3 표본추출 디자인 74
4.4 표본크기의 결정 77
4.5 분석방법의 개발 78
4.6 데이터 유형 및 상황 기준 분석방법 79

Section 3. 조사 실행과 보고서 작성 81
1. 조사 실행과 데이터분석 및 해석 81
1.1 시험조사 수행과 표본추출 81
1.2 조사 수행과 데이터 수집 81
1.3 데이터 준비와 분석 및 해석 82
2. 조사 보고서 작성과 제출 및 발표 83

Chapter 5. 정성조사의 특징과 수행 방법 85

Section 1. 정성조사의 개념과 특징 86
1. 정성조사와 정량조사의 특징 비교 86
2. 정성조사의 목표와 특징 88
3. 정성조사의 본질 89
4. 정성조사의 수행 방식 90
5. 정성 데이터의 분석 91
5.1 정성 데이터의 분석 원리 91
5.2 정성데이터분석 관련 용어 93
5.3 정성데이터의 표현 및 검증 방식 94

Section 2. 정성조사의 수행 방법 97
1. 초점집단 면접법 97
1.1 초점집단 면접법의 원리 97
1.2 초점집단 면접법의 장단점 98
1.3 온라인 초점집단조사 100
1.4 초점집단면접법의 개선방안 102
2. 심층면접 103
3. 투영기법 104
3.1 어연상검사 104
3.2 완성형검사 105
3.3 구성검사 105
3.4 표현검사 106
3.5 잘트만 은유추출기법 108
3.6 청취 플랫폼 또는 포스트 109
4. 근거이론 110
4.1 근거이론의 원리 110
4.2 근거이론의 수행 기준 111
5. 내러티브 탐구 112
6. 내용분석 114
7. 민속학 116
8. 사례연구 117
9. 현상학 연구 119
10. 담론분석 120
11. 브레인스토밍 123
12. 델파이방법 123

Chapter 6. 정량조사 특징과 설문조사 및 관찰 125

Section 1. 정량조사의 특징과 데이터분석 126
1. 정량조사의 특징 126
2. 정량데이터의 분석 127

Section 2. 설문조사 129
1. 설문조사의 개념 129
2. 설문지 조사의 종류 130
3. 설문조사의 방법 132
3.1 개인관리 설문조사 방법 132
3.2 전화관리 설문조사 133
3.3 자기관리 설문조사 134
3.4 인터넷 및 모바일 면담 136
4. 설문조사 기법 선택 기준 137

Section 3. 관찰조사 139
1. 관찰방법의 특징과 요건 139
2. 관찰의 유형 139
2.1 참가자관찰과 구조화관찰 139
2.2 행동관찰과 비행동관찰 140
3. 관찰방법의 차원별 구분 141
3.1 직접관찰과 간접관찰 142
3.2 은폐 관찰과 누설 관찰 144
3.3 구조화 관찰과 비구조화 관찰 144
3.4 비상 관찰과 사전결정 관찰 145
3.5 자연 관찰과 인위적 관찰 145
3.6 사람 관찰과 기계 관찰 146
3.7 공개 관찰과 비밀 관찰 146
3.8 변장 관찰과 비변장 관찰 147
4. 관찰방법의 장단점 148
5. 인문학적 탐구 관찰 149
6. 관찰결과의 대표성과 타당성 149
7. 온라인 자료 관심 사이트 151
7.1 뉴스그룹 151
7.2 블로그 151

Chapter 7. 실험의 특징과 디자인 152

Section 1. 실험의 본질과 수행원리 및 타당도 153
1. 실험의 본질 153
2. 실험실실험과 현장실험 154
3. 진실험과 자연실험 155
4. 실험디자인의 요건 156
5. 실험조사 수행 지침 157
6. 독립그룹 디자인 159
7. 피험자 내 디자인과 준실험디자인 160
8. 실험조사의 타당도 161
9. 실험조사 타당도 위협요인 163
9.1 내적 타당도 위협요인 163
9.2 외적 타당도 위협요인 167
10. 외재변수의 통제 169
11. 참가자효과의 방지 171

Section 2. 실험디자인의 분류 173
1. 실험디자인의 분류 원리 173
2. 전실험디자인 175
2.1 단일그룹 사후 디자인 175
2.2 비정합 대조군 디자인 176
2.3 정합 대조군 디자인 177
2.4 단일그룹 사전사후 디자인 178
3. 진실험디자인 178
3.1 사후검사 대조군 디자인 179
3.2 사전검사-사후검사 대조군 디자인 180
3.3 솔로몬 4그룹 디자인 181
4. 준실험디자인 183
4.1 시계열디자인 183
4.2 다중 시계열 디자인 184
4.3 현장실험 184
4.4 고전적 실험디자인의 효과 비교 185
5. 통계적 디자인 185
5.1 완전 무작위 디자인 186
5.2 무작위블록디자인 187
5.3 라틴 정방 디자인 189
5.4 요인디자인 191

Chapter 8. 측정 과정과 척도구성 195

Section 1. 데이터 유형과 측정 과정 특징 196
1. 데이터의 유형 196
2. 측정 과정의 특징 197

Section 2. 척도구성 198
1. 척도구성의 본질 198
2. 척도구성 기법 비교 198

Section 3. 비교 척도구성 기법 200
1. 쌍별 비교 척도구성 200
2. 순위 척도구성 201
3. 고정합 척도구성 202
4. Q-분류방법 및 기타 절차 203

Section 4. 비비교 척도구성 기법 206
1. 연속 평정척도 206
2. 항목별 평가척도 209
2.1 리커트척도 210
2.2 의미분화척도 211
2.3 거트만척도 213
2.4 서스톤척도 215
2.5 스타펠척도 217
2.6 슬라이더 척도 219

Chapter 9. 척도 평가와 데이터 오류 221

Section 1. 복수항목 척도와 척도 평가 222
1. 복수항목 척도의 개발 222
2. 측정 정확도 223
2.1 측정 정확도의 필요성 223
2.2 측정 정확도의 평가 225

Section 2. 데이터 오류 원천과 관리 228
1. 수집 데이터 오차 원천 228
2. 표본오차 229
3. 비표본오차 230
3.1 비표본오차의 개념과 특징 230
3.2 비표본오차의 원천 230
3.2.1 응답자오류 231
3.2.2 관리오류 233
4. 설문조사 오차 관리방안 236
4.1 조사문제 규정의 고려요인 검토 236
4.2 조사 정확성 제고 방안 237

Chapter 10. 측정값의 신뢰도와 타당도 240

Section 1. 측정값의 신뢰도 241
1. 신뢰도의 본질 241
1.1 외적 신뢰도 242
1.1.1 검정-재검정법 242
1.1.2 동형검사 신뢰도 243
2. 내적 신뢰도 244
2.1 반분 신뢰도 내적 신뢰도 245
2.2 크론바흐 알파 246
2.3 항목-전체분석 249
3. 평가자 간 신뢰도 249

Section 2. 타당도 251
1. 타당도의 본질 251
2. 타당도와 신뢰도의 관계 251
3. 검정타당도 254
3.1 검정타당도의 본질 254
3.2 내용타당도 255
4. 기준타당도 256
5. 구성개념타당도 257
5.1 특색타당도 258
5.1.1 수렴타당도 258
5.1.2 판별타당도 259
5.2 법칙논리타당도 259
5.3 구성개념타당도의 쟁점 처리방식 260
5.3.1 알려진 집단 타당도 260
5.3.2 삼각측량 260
5.4 구성개념타당도의 위협요인 261

Section 3. 통계적 결론 타당도 263
1. 통계적 결론 타당성의 개념 263
2. 통계적 결론 타당도의 위협요인 263

Chapter 11. 조사 유형과 설문지 디자인 265

Section 1. 조사 유형 266
1. 개념연구 및 기초조사와 전략조사 266
2. 실증연구 및 응용조사와 전술조사 266
3. 장소 기준 조사 유형과 관련 방법 및 기법들 267
4. 횡단조사와 종단조사 268
5. 전수조사와 표본조사 271
5.1 혼합형 표본조사 271
5.2 총괄 설문조사 272
5.3 표본조사방법의 결정요인 273
6. 기타 형태의 조사 274

Section 2. 설문지 조사와 디자인 277
1. 설문지 조사의 특성과 개발과정 277
2. 설문조사의 데이터 유형과 필요한 정보 278
3. 설문지의 질문 형태 279
4. 설문지 디자인 고려사항 280
5. 설문지 작성 유의사항 282
6. 설문지 질문배치 283
7. 질문 종류별 작성방법 285
7.1 자유표명질문 285
7.2 리스트질문 285
7.3 범주질문 285
7.4 순위질문 286
7.5 평정질문 287
7.6 수량질문 288
7.7 행렬질문 289
8. 질문지 표지 안내문 작성방법 289
9. 설문지 점검사항 일람표 290

Chapter 12. 데이터의 통계 처리 방법 292

Section 1. 통계적 방법과 통계기법 293
1. 통계적 방법과 기술통계학의 구조 293
2. 기술통계학과 추론통계학의 비교 294
3. 통계기법의 분류 296

Section 2. 데이터의 통계분석과 가설검정 299
1. 데이터의 통계분석 299
2. 통계적 검정과 통계적 사고의 역할 301
3. 데이터와 분석상승모델 302

<참고 문헌> 305
[한글 색인] 311
[숫자 및 영문] 329

1. 조사방법론의 특징
조사방법론(research methodology)은 조사 패러다임에 맞도록 조사를 수행하는 방식이므로, 근본적으로 조사자가 현상들을 기술, 설명, 예측하는 작업을 시작하는 절차들로 구성한다.
● 조사방법론은 조사문제의 해결책을 구하는 체계적 방식(systematic way)인 과학적 조사의 수행방식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 조사방법은 어떤 문제의 해를 얻는 데 도움을 주는 반면에, 조사방법론은 조사자가 조사를 수행하고 특정 문제를 처리하도록 선택한 방식이다.
● 조사방법론 연구는 선택된 문제와 관련이 있는 방법, 재료, 과학적 도구의 선택에 대한 훈련과 기법의 훈련을 제공한다.
● 조사방법론은 조사연구의 수행 이유, 조사문제 표현방식, 수집자료의 형태, 사용할 조사방법, 자료 분석기법 사용 이유를 규명하는 방식을 제공한다.
● 조사방법론은 지식을 획득하는 방법들의 연구로 정의될 수 있으며, 조사의 작업계획(work plan)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수립한다.
● 방법론은 어떤 종류의 활동 판독(action reading) 또는 조치 레퍼토리(action repertoire)로써 특정문제를 처리하기 위해 조사를 수행하는 방식이다.
● 조사의 수행방식은 조사자가 자신이 해답을 찾길 원하는 질문에 대해 조사의 논리를 구성한 것에 따라 전제조건들, (이론적) 고려사항들, 실제 여건들의 집합을 기초로 조사행위 레퍼토리를 정하는 활동판독으로 구성한다.
● 방법론인 조치의 파악은 일단의 전제, 이론적 고려사항, 실용적 조건을 기초로 어떤 형태의 래퍼토리를 작성하여, 그에 따라 해답을 찾고자 하는 문제에 대해 자신의 조사논리를 구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2. 조사방법론의 성분과 형태
조사방법론은 조사과정에 사용할 특정 방법들의 선택 및 용도, 선택 및 사용 방법들을 원하는 결과들에 연관시켜 주는 전략, 행동계획, 과정 또는 디자인(기술민족학, 실험, 혼합방법, 현상조사, 근거이론, 조치연구, 체험 탐문, 담론분석 등)으로 구성한다.
● 조사방법론은 실증주의(positivist), 사실주의(realist), 구성주의(constructionist), 해석주의(interpretivist), 변환 방법론(transformative methodology)을 근본적인 기준 프레임들인 패러다임으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한다.
● 조사방법론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어떤 지수 또는 검정법을 개발하는 방법
● 평균, 최빈치, 중앙값, 표준편차, 카이자승 통계량을 계산하는 방법
● 특정 연구기법을 적용하는 방법
● 어떤 방법이나 기법이 적절한지를 판단하는 방법
● 조사방법이나 기법이 의미하고 나타내는 내용을 파악하는 방법
● 조사방법론은 일반적으로 실증주의자(positivist)와 현상학적(phenomenological) 패러다임 방법론의 2가지 형태로 구분한다.
● 실증주의(Positivism)는 자연과학에서는 더 지배적 접근법이며, 사상들의 패턴 및 규칙성(regularities)과 같은 인과설명에 관련된 연역적 접근법이다. 명제(proposition)를 확인 또는 반박하기 위해 문헌에서 이론을 가져와서 그 이론을 조사한다.
● 현상학(Phenomenology)은 사회과학에서 실증주의자 접근법의 주요 대안이며, 해석적 방법론(interpretive methodology)이다. 현상론적 접근법은 조사가 이론의 구성을 인도하므로 특성상 귀납법(inductive)에 속한다.

3. 조사의 수행 방법
조사는 기술, 예측, 설명방법을 종합적으로 사용하여 수행한다.
● 기술방법(descriptive methods)은 관찰방법(observational method), 사례연구방법(case study method), 설문조사 방법(survey method)으로 구성된다.
● 관찰은 자연관찰(Naturalistic observation)과 실험실관찰(Laboratory observation)로 구분한다.
● 관찰은 연구 대상을 변화시킬 수 있는 신축성을 갖는 장점과 함께, 조사자가 거의 통제력을 갖지 못하는 단점을 갖는다.
● 사례연구방법은 하나 이상 개인들에 대한 심층연구이며, 조사하는 대상을 단순히 기술한다.
● 설문조사 방법은 어떤 논제에 대해 개인들에게 질문을 하여 응답들을 기술하며, 조사에 참여하는 표본이 조사 결과를 일반화시키려고 하는 모든 대상(모집단)을 대표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 예측(관계)방법들은 행동들을 기술하면서 주어진 신뢰도에서 다른 변수를 예측하도록 상관방법(correlational method)과 준실험방법(quasi-experimental method)을 사용한다.
● 상관방법은 두 측정변수 사이의 관계정도를 평가하며, 두 변수가 서로 상관되면 어떤 정확도를 갖고 한 변수로부터 다른 변수를 예측할 수 있다.
● 상관조사의 문제는 두 변수가 상관된 경우에 어떤 종류의 인과관계가 있을 것으로 가정을 하는 오역이 자주 발생한다는 것이다.
● 준실험방법은 자연스럽게 비교할 수 있어 개인들 그룹들을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그룹 간의 차이를 탐색한다.
● 예측방법들을 사용하는 경우에 피험자(subject) 또는 참가자변수(participant variable)를 계통적으로 조작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측정만을 하여 변수 간의 관계를 관찰한다.
● 관계의 대체 설명(alternative explanation)은 관찰된 관계에 대해 책임질 수 있는 어떤 다른 통제되지 않은, 외재변수들이 있다는 아이디어(idea)이다.
● 설명방법(Explanatory Method)은 조사자가 변수의 조작 및 상황의 통제를 통해 인과관계를 확립하는 실험방법을 사용한다.
● 실험방법을 사용하는 경우에 조사자들은 적절한 통제를 사용하여 대체 설명들을 제거하도록 많이 주의해야 한다.
● 실험방법을 통해 조사자들은 기술 및 예측하고 대상 변수 간에 인과관계가 존재하는 여부를 결정하므로, 실험방법으로 어떤 행동이 발생하는 때와 이유를 알 수 있다.
● 무작위 할당(random assignment)을 사용하여 대안적 설명들을 최대한 제거하도록 많은 통제력을 얻을 수 있게 각 참가자가 어떤 조건에 놓일 확률이 동일한 방식으로 개체들을 조건들에 할당한다.
● 무작위 할당은 그룹 간의 차이를 최소화 또는 제거하여 통제력을 얻고 대안적 설명을 제거하는 데 도움을 제공한다.

4. 과학적 접근법
사람들은 직관, 일화, 권위에 따라 행동을 결정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지식 습득을 위한 과학적 접근방식(scientific approach)은 직관, 일화, 권위가 행동에 대한 아이디어의 원천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하지만, 신중한 논리와 잘 실행된 과학적 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아이디어를 평가해야 한다는 과학적 회의론(Scientific skepticism)을 기본으로 한다.
과학적 접근법의 근본 특징은 경험주의(empiricism)이며, 경험주의는 지식이 관찰에서 나온다는 사고방식(idea)이다. 현실을 해석하는 신념이나 생각의 틀(framework)인 패러다임(paradigm)에 대한 과학적 접근법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① 데이터는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
과학자에게 지식은 주로 관찰을 기반으로 한다. 과학자들은 세상에 대한 자기 생각을 검증하거나 거부할 수 있는 관찰을 찾는 데 열중하며, 이론을 개발하고, 기존 데이터가 자신의 이론을 뒷받침한다고 주장하며, 이론이 옳다는 확신을 높일 수 있는 연구를 수행한다.
② 과학자는 혼자 조사하여 일을 끝내는 것이 아니다.
과학자들은 관찰하고 다른 과학자와 대중에게 정확하게 보고하도록 훈련받고, 이에 따라 다른 많은 과학자가 이러한 관찰을 복제하고 확장하는 연구를 수행하여 연구 결과를 추적할 수 있다.
③ 과학은 대립적이다.
과학은 진리에 더 가까이 다가가기 위해 아이디어가 다른 아이디어와 싸우는 사고방식이다. 아이디어의 지지자들과 동의하지 않는 자들이 자신의 조사 결과를 보고하여 다른 사람들이 평가할 수 있게 하여 그 아이디어를 검정하도록 조사를 수행할 수 있다. 좋은 과학적 아이디어는 검정 가능하므로, 데이터에 의해 지지가 되거나 거짓으로 판명될 수 있다.
아이디어의 허위입증성(falsifiability)은 새롭고 더욱 개선된 아이디어 개발을 촉진하므로 과학을 보다 발전시키는 계기를 제공한다.
④ 과학적 증거는 권위에만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동료검토(peer-review)를 받게 된다.
연구를 최고 수준 과학저널에 게재하기 전에 전문지식을 가진 다른 과학자들이 조사 결과를 신중히 평가하도록 검토를 받는 동료검토 프로세스를 거친다. 본질적으로 과학은 최고의 아이디어가 조사에 의해 뒷받침되는 자유로운 아이디어 시장에서 존재하며, 과학자들은 다른 사람의 조사를 기반으로 더 많은 발전을 이룰 수 있다[Christensen et al.,(2015), 27-30; Cozby and Bates(2024), 5-6].

4.1 과학적 행동조사의 목표
행동조사(Action research)는 사람, 작업 및 절차와 관련된 문제가 해결책을 요구하거나 기능을 일부 변경하면 더 바람직한 결과를 도출하는 모든 맥락에서 적절한 접근방식이다. 과학적 행동조사는 기술, 예측, 인과 결정, 파악 또는 설명의 4대 목표에 따라 수행된다.
① 조사자는 직접 관찰할 수 있는 행동이나 관찰이 더욱 어려운 정신적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적합한 방식과 효과적인 기법을 규명하고 모색한다.
② 조사자는 정확한 예측을 하기 위해 사건들의 관계를 조사하여, 선행 및 후행요인들을 규명한다.
③ 조사자들은 행동의 인과관계를 결정하기 위해 어떤 행동의 발생을 예측하고, 그 원인 규명을 위해 사건의 시간적 순서(temporal order)에 대한 시간적 우선순위(temporal precedence) 규명, 원인과 결과의 공변동(covariation) 도출, 대체 설명들 제거를 수행한다[Cozby and Bates(2024), 9-12].
행동조사는 방법이나 기법이 아니다. 모든 조사에서 정보 수집을 위해 선택한 방법들은 필요한 정보의 특성에 의해 좌우된다.
외부의 지원을 받아야 하는 변화 또는 개선의 필요성을 스스로 규명하는 실무자들에게는 행동조사는 응용조사이며, 이를 통해 모범 관행을 찾아서 성과를 개선하거나 운영 규칙 및 절차를 변경할 수 있다[Bell and Waters(2018), 34].

4.2 과학적 탐구의 수행 성분
과학적 탐구의 구성요소(building blocks of scientific inquiry)는 <그림 1-2>와 같이 초기에 현상을 관찰하여 문제를 규명하고, 발생할 수 있는 일에 대한 이론을 구성하고, 가설을 수립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 과학적 조사는 문제의 해결책 도출을 위해 단계별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그림 1-2>와 같은 과학적 탐구의 연구접근법(investigative approach)을 통해 주어진 틀의 외부에서도 생각하여 문제를 파악할 수 있게 다양한 접근방식을 적용한다.
● 과학적 탐구는 세상을 연구하고, 연구 결과 도출한 증거를 기반으로 문제에 관련된 설명을 다양하게 제안하는 방식이며, 과학적 프로세스뿐만 아니라 과학적 지식을 개발하기 위해 과학적 프로세스를 기존의 과학적 지식, 비판적 사고, 과학적 추론(scientific reasoning)에 결합하는 방식이다.
● 과학적 탐구는 관찰 가능한 현상들을 보다 잘 파악하도록 질문제시와 문제해결의 형식(form of problem-solving and questioning)으로 수행한다.
● 과학적 탐구는 과학적 조사의 성과 최대화를 달성하도록 조사의 목적을 설정하고, 그에 따른 관찰을 통한 조사 문제영역의 규명, 관찰 사건들의 연관성 규명 관련 이론 체계나 네트워크 검토, 이론 기반 가설설정, 가설의 구성개념과 구성개념의 조작적 정의, 조사 디자인, 조사 수행을 통한 데이터 수집과 분석 및 분석결과 해석으로 수행하면서 각 과정에서 주어진 틀의 외부에서도 생각할 수 있도록 탐구적 질의 발굴과 해결책 도출을 시도한다.

날이 갈수록 데이터 중심 결정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1990년대 이후 인터넷의 발달과 인공지능의 발전은 빅데이터분석의 혁신을 가져왔고, 특히 2018년 출시된 GPT(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라는 생성형 사전 훈련 변환모델은 ChatGPT라는 대화형 챗봇으로 진화하여 어지간한 분석이나 자료를 아주 빠르게 작성하여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의 혁신적 변화와 인공지능의 가속적 진화로 데이터분석의 중요성이 많이 증가했다.
이와 더불어 데이터의 타당도 및 신뢰도의 중요성도 더욱 증가했다.
따라서 타당도, 신뢰도, 반복 가능성이 보장된 데이터를 확보하여 각종 의사결정에서 직면하는 불확실성을 최대한 축소하기 위해서는 조사방법에 관련된 이론, 방법, 기법을 확고하게 구축하여 지혜와 다각화된 지능을 얻는 것이 가장 빠르고 정확한 전략이 될 것이다.
한편 조사 과정은 크게 조사계획(문제/기회 인식, 대체 결정 방안들, 조사 사용자 동의, 조사 질문 개발, 가설설정, 조사의 범위 결정, 조사 정보 가치 타당성 규명), 조사 디자인(조사방법 및 데이터 수집, 표본추출, 실험 및 설문지 디자인), 데이터 수집 및 준비, 데이터분석 및 해석, 통찰력 획득 및 권고방안 보고로 구성된다.
그런데 데이터분석 및 해석 부분은 기초 통계학부터 다변량분석까지 제반 기법들의 학습이 필요하다.
이런 이유로 많은 조사방법 관련 서적들이 너무 많은 내용을 담아 조사에서 강조하는 체계화된 작업 틀 중심 연구를 하기 위한 프레임워크가 부실한 경우가 많다.
이 책은 조사방법의 학습을 위해 데이터분석 및 해석 부분은 데이터 통계분석에 대한 프레임워크를 소개하는 방식으로 간단하게 큰 그림으로 처리하여 시각화된 지식 전달과 통찰력 획득에 적합하게 했다.
반면에 나머지 11개 장에서 조사 계획과 통찰력 획득 및 권고방안 보고 부분은 제1장 조사의 본질과 수행 절차, 제2장 조사 성공 요건과 과학적 조사, 제4장 조사 수행 과정으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조사 디자인은 제3장 조사 패러다임과 조사방법론, 제5장 정성조사의 특징과 수행 방법, 제6장 정량조사 특징과 설문조사 및 관찰, 제7장 실험의 특징과 디자인, 제8장 측정 과정과 척도구성, 제9장 척도 평가와 데이터 오류, 제10장 측정값의 신뢰도와 타당도, 제11장 조사 유형과 설문지 디자인으로 체계적인 이해와 통찰력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했다.
이 책이 빅데이터와 대화형 챗봇 시대에 타당도, 신뢰도, 정확도가 높은 데이터를 수집하여 성공적인 의사결정을 하는 지식과 지혜를 갖추고, 새로운 조사방법 수행을 위한 탐구학습의 토대를 조성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작가정보

저자(글) 문창권

배재대학교 무역물류경영학과 명예교수
경제학박사/경영지도사
무역정책(1991), 외환론(1992), 국제재무관리:문제해결접근법(2014)
Excel로 풀자 국제재무관리(2005), Excel로 풀자! 비즈니스통계데이터분석(2006)
실무환위험관리 : 재미있는 엑셀풀이(2006), 엑셀로 풀자! 회귀분석(2006)
무역정책입문 : 재미있는 엑셀 풀이(2006), 엑셀로 쉽게 푸는 경영경제수학(2007)
Excel 국제비즈니스 위험관리:스프레드시트 모형설정 및 적용(2008)
통계학 기초 : 알기 쉬운 엑셀풀이(2008), 통계․엑셀 2013 : 쉬운 실무분석(2015),
비즈니스 문제해결 : 단계별 접근 Excel(2018)
엑셀 2016 단계별 분석((2019), SPSS 첫걸음 단계별 분석(2019)
One-Stop 비모수 데이터분석 : Excel 하나로(2023)
One-Stop 데이터분석 실무 : Excel 하나로(2023)
회귀분석실무 : Excel사용 단계별 접근(2024)

저자(글) 문영필

로지스경영전략연구소 연구위원
컨설팅학 석사/경영지도사
SPSS 첫걸음 단계별 분석(2019) 엑셀 2016 단계별 분석((2019)
One-Stop 비모수 데이터분석 : Excel 하나로(2023)
One-Stop 데이터분석 실무 : Excel 하나로(2023)
회귀분석실무 : Excel사용 단계별 접근(2024)

저자(글) 윤일식

컨설팅학 박사/행정사
감성전이(2021)
논문쓰니(2022)
회귀분석실무 : Excel사용 단계별 접근(2024)

이 상품의 총서

Klover리뷰 (0)

Klover리뷰 안내
Klover(Kyobo-lover)는 교보를 애용해 주시는 고객님들이 남겨주신 평점과 감상을 바탕으로,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는 교보문고의 리뷰 서비스입니다.
1. 리워드 안내
구매 후 90일 이내에 평점 작성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 오디오북, 동영상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은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 운영 원칙 안내
Klover리뷰를 통한 리뷰를 작성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자유로운 의사 표현의 공간인 만큼 타인에 대한 배려를 부탁합니다. 일부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불편을 끼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아래에 해당하는 Klover 리뷰는 별도의 통보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 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문장수집

문장수집 안내
문장수집은 고객님들이 직접 선정한 책의 좋은 문장을 보여 주는 교보문고의 새로운 서비스 입니다. 교보eBook 앱에서 도서 열람 후 문장 하이라이트 하시면 직접 타이핑 하실 필요 없이 보다 편하게 남길 수 있습니다. 마음을 두드린 문장들을 기록하고 좋은 글귀들은 ‘좋아요’ 하여 모아보세요. 도서 문장과 무관한 내용 등록 시 별도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리워드 안내
  •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 수집 등록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문장수집 등록 시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 / 오디오북·동영상 상품/주문취소/환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신간 알림 안내
    조사방법 패러다임과 기법 웹툰 신간 알림이 신청되었습니다.
    신간 알림 안내
    조사방법 패러다임과 기법 웹툰 신간 알림이 취소되었습니다.
    리뷰작성
    •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최초1회)
    • 리워드 제외 상품 : 마이 > 라이브러리 > Klover리뷰 > 리워드 안내 참고
    • 콘텐츠 다운로드 또는 바로보기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
    감성 태그

    가장 와 닿는 하나의 키워드를 선택해주세요.

    사진 첨부(선택) 0 / 5

    총 5MB 이하로 jpg,jpeg,png 파일만 업로드 가능합니다.

    신고/차단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신고 내용은 이용약관 및 정책에 의해 처리됩니다.

    허위 신고일 경우, 신고자의 서비스 활동이 제한될 수
    있으니 유의하시어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


    이 글을 작성한 작성자의 모든 글은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문장수집 작성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eBook 문장수집은 웹에서 직접 타이핑 가능하나, 모바일 앱에서 도서를 열람하여 문장을 드래그하시면 직접 타이핑 하실 필요 없이 보다 편하게 남길 수 있습니다.

    P.
    조사방법 패러다임과 기법
    저자 모두보기
    낭독자 모두보기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프리미엄 이용권입니다.
    선물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
    sam 열람권 선물하기
    • 보유 권수 / 선물할 권수
      0권 / 1
    • 받는사람 이름
      받는사람 휴대전화
    • 구매한 이용권의 대한 잔여권수를 선물할 수 있습니다.
    • 열람권은 1인당 1권씩 선물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이 ‘미등록’ 상태일 경우에만 ‘열람권 선물내역’화면에서 선물취소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의 등록유효기간은 14일 입니다.
      (상대방이 기한내에 등록하지 않을 경우 소멸됩니다.)
    • 무제한 이용권일 경우 열람권 선물이 불가합니다.
    이 상품의 총서 전체보기
    네이버 책을 통해서 교보eBook 첫 구매 시
    교보e캐시 지급해 드립니다.
    교보e캐시 1,000원
    • 첫 구매 후 3일 이내 다운로드 시 익일 자동 지급
    • 한 ID당 최초 1회 지급 / sam 이용권 제외
    • 네이버 책을 통해 교보eBook 구매 이력이 없는 회원 대상
    • 교보e캐시 1,000원 지급 (유효기간 지급일로부터 7일)
    구글바이액션을 통해서 교보eBook
    첫 구매 시 교보e캐시 지급해 드립니다.
    교보e캐시 1,000원
    • 첫 구매 후 3일 이내 다운로드 시 익일 자동 지급
    • 한 ID당 최초 1회 지급 / sam 이용권 제외
    • 구글바이액션을 통해 교보eBook 구매 이력이 없는 회원 대상
    • 교보e캐시 1,000원 지급 (유효기간 지급일로부터 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