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법학(개정판)
2024년 03월 19일 출간
- eBook 상품 정보
- 파일 정보 PDF (6.94MB) | 1,083 쪽
- ISBN 9791197501623
- 지원기기 교보eBook App, PC e서재, 리더기, 웹뷰어
-
교보eBook App
듣기(TTS) 가능
TTS 란?텍스트를 음성으로 읽어주는 기술입니다.
- 전자책의 편집 상태에 따라 본문의 흐름과 다르게 텍스트를 읽을 수 있습니다.
- 이미지 형태로 제작된 전자책 (예 : ZIP 파일)은 TTS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PDF 필기가능 (Android, iOS)

쿠폰적용가 34,200원
10% 할인 | 5%P 적립이 상품은 배송되지 않는 디지털 상품이며,
교보eBook앱이나 웹뷰어에서 바로 이용가능합니다.
카드&결제 혜택
- 5만원 이상 구매 시 추가 2,000P
- 3만원 이상 구매 시, 등급별 2~4% 추가 최대 416P
-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추가 최대 200원
작품소개
이 상품이 속한 분야
제1장 헌법의 기초이론 1
§Ⅰ. 국가와 헌법 1
Ⅰ. 국가의 본질 1
1. 정치사회학의 국가이론 1
2. 법학의 국가이론 2
Ⅱ. 국가의 구성요소 2
1. 영토 3
2. 국민 3
3. 주권(통치권) 3
Ⅲ. 국가의 형태 3
1. 공화국과 군주국 4
2. 입헌국가와 전제국가 4
3. 단일국가과 연방국가 4
Ⅳ. 헌법의 의의 4
1. 형식적인 헌법과 실질적인 헌법 4
2. 근대 헌법과 현대 헌법 5
Ⅴ. 입헌주의(Constitutionalism) 6
1. 고전적인 입헌주의 6
2. 근대 헌법의 입헌주의 6
3. 현대 헌법의 입헌주의 7
Ⅵ. 헌법의 분류 8
1. 자본주의 헌법•사회주의 헌법 9
2. 성문헌법•불문헌법 9
3. 경성헌법(硬性憲法)•연성헌법(軟性憲法) 9
4. 흠정헌법•민정헌법•협약헌법•국약헌법 9
5. 규범적 헌법•명목적 헌법 10
Ⅶ. 헌법의 특성 10
1. 규범으로서 헌법 10
2. 사실로서의 헌법 11
§Ⅱ. 헌법의 법원(法源) 13
Ⅰ. 의의 13
Ⅱ. 성문법원 13
1. 조약 13
2. 법률 13
3. 관습법 14
Ⅲ. 불문헌법(不文法源) 16
1. 판례헌법 17
2. 헌법관습 17
Ⅳ. 일반적인 법원칙(條理) 21
1. 신의성실원칙 21
2. 권리남용금지원칙 22
3. 비례원칙 22
4. 신뢰보호원칙 23
§Ⅲ. 헌법해석 26
Ⅰ. 의의 26
Ⅱ. 헌법해석의 방법 28
1. 헌법 해석방법의 특성 28
2. 헌법 해석의 유동성 29
3. 헌법 목적해석 34
Ⅲ. 헌법재판소의 판례 동향 35
1. 헌법재판관의 정치적 영향 36
2. 헌법재판의 동향 36
§Ⅳ 헌법제정과 헌법개정 39
Ⅰ. 헌법제정 39
1. 헌법제정의 개념 39
2. 헌법 제정권력의 의미 39
3. 헌법 제정권력의 주체 39
4. 헌법 제정권력의 한계 39
5. 소결: 한국 헌법의 실제 40
Ⅱ. 헌법 개정 40
1. 헌법 개정의 의의 40
2. 헌법 개정과 구별되는 개념 40
3. 헌법 개정의 형식 41
4. 헌법 개정절차 41
5. 헌법 개정의 한계 42
Ⅲ. 헌법보장 42
1. 헌법보장의 의의 42
2. 헌법내적 보장 43
3. 헌법 외적 보장(저항권 행사) 45
Ⅳ. 헌법 변천 47
1. 헌법 변천의 의의 47
2. 헌법 변천의 요건과 한계 47
Ⅴ. 헌법위기와 헌법부패 48
1. 헌법위기 48
2. 헌법부패 50
§Ⅴ. 한국 헌법의 구성요소 52
Ⅰ. 국민 52
1. 국적 52
2. 국민의 요건 53
3. 재외국민 56
Ⅱ. 영토 57
1. 영역의 의의 57
2. 영토 58
3. 영해 및 접속수역 58
4. 영공 59
5. 영토조항 62
6. 북한지역에의 헌법적용 64
Ⅲ. 헌법목적의 평화통일 67
1. 헌법적 의의 67
2. 평화통일정책의 헌법적 평가 68
3. 평화통일 및 영토조항의 관계 68
Ⅳ. 헌법기본원리 72
1. 헌법기본원리의 의의 72
2. 헌법전문 72
3. 헌법본문 73
Ⅴ. 국민주권주의 73
1. 주권의 의미 73
2. 국민주권의 본질 75
3. 주권자로서 국민의 범위 76
Ⅵ. 민주주의원리 77
1. 헌법적 의의 77
2. 민주주의와 국민주권원리 80
3. 입헌민주주의와 다수지배 민주주의 81
4. 민주주의의 법적 효력 83
5. 자유민주주의의 한계 84
Ⅶ. 법치주의원리 84
1. 헌법적 의의 84
2. 법치주의의 요소 86
3. 법치주의의 내용 86
4. 법치주의의 예외와 위헌심사 87
5. 새로운 법치주의의 요소 89
Ⅷ. 문화국가원리 91
1. 문화국가의 개념 91
2. 법적 성질 91
3. 문화국가의 내용 92
4. 헌법의 문화국가원리의 구현 93
Ⅸ. 사회국가원리 93
1. 헌법적 의의 93
2. 법적 성질 94
3. 내용 95
4. 결론 97
Ⅹ. 국제평화주의 99
1. 헌법적 의의 99
2. 내•외국인의 동등처우 99
3. 조약의 국내법에로 편입 100
4. 조약의 국내법적 요건 101
5. 조약의 위헌심사 102
Ⅺ 시장경제원리 103
1. 헌법과 시장경제원리 103
2. 헌법상 시장경제의 보호범위 105
3. 정부의 시장개입의 범위와 한계 111
4. 결론 117
제2부 기본권 120
제1장 기본권 총론 120
§Ⅰ. 기본권 일반원리 120
Ⅰ. 기본권의 의의 120
1. 인권의 진화 120
2. 기본권의 의미 121
Ⅱ. 기본권의 법적 특성 123
1. 기본권의 헌법적 기초 123
2. 기본권의 법적 성질 124
3. 제도적 보장 126
Ⅲ. 기본권의 주체 127
1. 국민 127
2. 외국인 131
3. 법인(단체, 기업) 134
4. 특별법률관계 140
Ⅳ. 기본권의 분류와 유형 148
1. 기본권의 분류 148
2. 기본권의 유형 149
Ⅴ. 기본권의 효력 156
1. 의의 156
2. 기본권의 대국가적 효력 156
3. 기본권의 대사인적 효력 157
4. 미국의 사적 정부이론(private government theory) 166
5. 결론 167
Ⅵ. 기본권 해석 168
1. 의의 168
2. 기본권 해석절차 169
3. 기본권의 보호범위 170
4. 기본권 보호의무 170
5. 기본권의 경합 175
6. 기본권의 충돌 177
Ⅶ. 기본권 제한의 정당화 사유 179
1. 기본권 제한의 의의 179
2. 기본권 제한의 형식(형식적 정당화 사유) 180
3. 기본권 제한의 목적(실질적 정당화 사유) 185
4. 기본권 침해의 심사기준(비례원칙 또는 과잉금지원칙) 187
5. 기본권 본질적 내용의 침해금지 189
6. 기본권의 침해와 권리구제 190
7. 기본권침해의 위헌심사기준 191
제2장 포괄적인 인권 194
§Ⅰ. 인간의 존엄과 가치 194
Ⅰ. 헌법적 의의 194
1. 헌법규정의 취지 194
2. 인간존엄성의 개념 195
Ⅱ. 인간존엄권의 법적 성질 195
1. 헌법의 근본원리 195
2. ‘포괄적 인권’으로서 ‘인간의 존엄과 가치’ 196
3. 인간존엄권과 ‘열거하지 아니한 권리와 자유’ 196
Ⅲ. 인간존엄과 가치의 주체 197
1. 헌법적 의의 197
2. 배아 198
3. 태아 201
4. 사자(死者) 204
Ⅳ. 인간존엄권의 법적 성질 207
1. 새로운 인권의 헌법적 근거 208
2. 헌법과 법령의 해석 지침 208
3. 포괄적인 기본권 208
Ⅴ. 인간존엄권의 보호범위 209
1. 인간의 본질적 가치 209
2. 인간의 자율권 211
3. ‘공동체의 기본가치’ 213
Ⅵ. 인간존엄권의 효력과 제한 216
1. 효력 216
2. 인간존엄권의 제한과 정당화 사유 217
Ⅶ. 결론 227
§Ⅱ. 생명권 228
Ⅰ. 헌법적 근거 228
Ⅱ. 법적 성질 228
Ⅲ. 생명권의 주체 228
1. 생명의 기산점 229
2. 생명의 종기 229
Ⅳ. 생명권의 제한과 정당화 사유 230
1. 낙태 230
2. 안락사(생명연장 장치중단) 231
3. 사형제도(잔혹한 형벌) 233
§Ⅲ. 행복추구권 235
Ⅰ. 헌법적 의의 235
Ⅱ. 주체와 법적 성질 235
1. 주체 235
2. 법적 성질 235
Ⅲ. 행복추구권과 개별적인 기본권과의 관계 237
Ⅳ. 행복추구권의 보호범위 237
1. ‘생성중의 인권’ 238
2. 자기결정권 239
3. 일반적 행동의 자유권 242
4. 일반적 인격권 242
5. 행복추구권의 보호법익 243
Ⅴ. 행복추구권의 효력 245
Ⅵ. 행복추구권의 한계 246
§Ⅳ 평등권 247
Ⅰ. 평등의 의의 247
1. 평등사상의 진화 247
2. 평등의 의미 247
Ⅱ. 평등의 개념 249
1. 형식적 평등과 실질적 평등 249
2. 상대적 평등과 절대적 평등 250
Ⅲ. 법 앞의 평등의 규범구조 251
1. 평등원칙의 규범적 의미 251
2. 평등원칙의 내용 252
3. 평등원칙의 보호범위 252
Ⅳ. 평등권의 위헌심사기준 253
1. 학설 254
2. 평등권의 유형과 침해 254
3. 적극적 조치 256
4. 불합리한 차별의 심사기준 256
5. 소결-미국 연방대법원의 3단계 심사기준 262
Ⅴ. 개별적 차별금지사유 263
1. 성차별 263
2. 종교(신조 포함) 265
3. 사회적 신분 266
4. 의원정수 불균형의 위헌성 267
Ⅵ. 평등권의 효력 269
1. 국가적 효력 269
2. 사인간의 효력 269
3. 특수계급제도의 부인 271
Ⅶ. 평등권의 제한 271
1. 헌법상의 예외 271
2. 공무원에 대한 제한 271
3. 법률상의 제한 271
제 3장 자유권의 총론 273
§Ⅰ. 신체의 안전과 자유 273
Ⅰ. 신체의 자유의 의의 273
1. 신체의 자유의 규범체계 273
2. 신체의 자유의 보호범위 274
Ⅱ. 신체 자유의 실체적 보장 275
1. 죄형법정주의 275
2. 일사부재리의 원칙(이중처벌금지원칙) 277
3. 친족의 행위로 인한 불이익 처우(연좌제)의 금지 278
Ⅲ. 신체의 자유의 절차적인 보장 278
1. 적법절차원칙 278
2. 영장주의 282
3. 구속이유의 고지(miranda rule) 287
4. 체포구속적부심사 288
5. 자백의 강요로부터 자유 288
6. 자백의 증거능력의 제한 291
Ⅳ. 형사재판의 방어권보호 293
1. 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권리 293
2. 변호인의 선임권 293
3. 변호인접견교통권 294
Ⅴ. 수사절차상 피의자의 권리 298
1. 영장주의 298
2. 불법체포로부터 자유와 예외 299
3. 불법 압수⋅수색으로부터 자유 300
4. 불법 구금(억류)로부터 자유 301
Ⅵ. 형사재판절차의 피고인의 권리 302
1. 공평한 법원의 공정하고 신속한 재판을 받을 권리 302
2. 반대심문권 및 증인소환권 303
3. 변호인 조력・선임⋅접견교통권(변호인 조력권 참조) 304
4. 자신의 불리한 증언거부권⋅자백(자백의 강요로부터 자유) 304
5. 소급입법금지⋅일사부재리원칙(일사부재리원칙) 304
6. 잔혹한 형벌의 금지 304
Ⅶ. 신체의 자유의 효력과 한계 305
(이하 계속)
이 책은 한국의 헌법 판례 및 행정법의 주요 판례를 2023년까지 분석하고 있다. 특히, 일본 최고재판소와 미국 연방대법원, 독일 연방헌법재판소의 주요 판례, 영국과 프랑스의 주요 판례를 분석하고 있다.
1. 헌법총론에서 헌법해석에 관하여 미국 연방대법원의 법형식주의와 법현실주의의 학설의 변천을 통해서 헌법목적해석의 방법을 정리하면서, 한국의 헌법해석에서 헌법목적의 해석방법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2. 기본권 장에서 기본권의 해석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고, 특히 인간존엄의 헌법해석에 대하여 세계 30개 국가의 판례를 정리하여 인권존엄권의 내용을 요약하고 있다. 기본권의 유형이 직접 재판청구권이 가능한지 여부는 개별적인 해석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는 점을 상세하게 서술한다. 인공지능과 정보자본주의 사회의 등장으로 기본권이 직면한 위협하거나 공권력을 대체하는 초국적 기업들에 의한 기본권의 효력에 대한 새로운 논의를 상세하게 다루고 있다. 또한 토지공개념의 새로운 논의에 공용수용의 법리에 많은 시사점을 제공하는 미국 연방헌법 제5조(Public Takings)의 지난 100여년 이상의 판례법의 변화가 시사하는 점을 정리하고 있다.
3. 한국의 대통령제 정부형태가 고질적인 법문화를 시정할 수 있는 의원내각제와 양원제 의회제도의 헌법개정을 위해서 공공선택론에 기초하여 상세한 분석을 하고 있다. 예컨대 역대 대통령선거와 총선거의 투표 통계에서 나타난 정치양극화의 폐단을 시정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 주권자가 정치장에 직접 개입하여 정쟁을 결정하는 방식이 21세기 한국의 정치문화를 개선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라고 본다.
인물정보
저자(글) 정영화
서울대 법대 졸업, 동 대학원 법학박사 그리고 미국 노스웨스턴 법과 대학원 졸업
미국 노스웨스턴 Law School Visiting Scholar,
Wisconsin State University Law School Visiting Professor
국립 전북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정년퇴직, 홍익대학교 법과대학 초빙교수 역임
미국 Law and Society Association Membership
Asia Law Culture Institute Founder
AI and Robot Law Institute Founder
이 상품의 총서
Klover리뷰 (0)
-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 오디오북, 동영상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은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 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문장수집
-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 수집 등록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문장수집 등록 시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 / 오디오북·동영상 상품/주문취소/환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최초1회)
- 리워드 제외 상품 : 마이 > 라이브러리 > Klover리뷰 > 리워드 안내 참고
- 콘텐츠 다운로드 또는 바로보기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
가장 와 닿는 하나의 키워드를 선택해주세요.
총 5MB 이하로 jpg,jpeg,png 파일만 업로드 가능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신고 내용은 이용약관 및 정책에 의해 처리됩니다.
허위 신고일 경우, 신고자의 서비스 활동이 제한될 수
있으니 유의하시어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
이 글을 작성한 작성자의 모든 글은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eBook 문장수집은 웹에서 직접 타이핑 가능하나, 모바일 앱에서 도서를 열람하여 문장을 드래그하시면 직접 타이핑 하실 필요 없이 보다 편하게 남길 수 있습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선물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
보유 권수 / 선물할 권수0권 / 1권
-
받는사람 이름받는사람 휴대전화
- 구매한 이용권의 대한 잔여권수를 선물할 수 있습니다.
- 열람권은 1인당 1권씩 선물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이 ‘미등록’ 상태일 경우에만 ‘열람권 선물내역’화면에서 선물취소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의 등록유효기간은 14일 입니다.
(상대방이 기한내에 등록하지 않을 경우 소멸됩니다.) - 무제한 이용권일 경우 열람권 선물이 불가합니다.
첫 구매 시 교보e캐시 지급해 드립니다.

- 첫 구매 후 3일 이내 다운로드 시 익일 자동 지급
- 한 ID당 최초 1회 지급 / sam 이용권 제외
- 구글바이액션을 통해 교보eBook 구매 이력이 없는 회원 대상
- 교보e캐시 1,000원 지급 (유효기간 지급일로부터 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