텍스트언어학사
2018년 07월 31일 출간
- eBook 상품 정보
- 파일 정보 PDF (10.87MB) | 641 쪽
- ISBN 9791159013027
- 지원기기 교보eBook App, PC e서재, 리더기
-
교보eBook App
듣기(TTS) 가능
TTS 란?텍스트를 음성으로 읽어주는 기술입니다.
- 전자책의 편집 상태에 따라 본문의 흐름과 다르게 텍스트를 읽을 수 있습니다.
- 이미지 형태로 제작된 전자책 (예 : ZIP 파일)은 TTS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PDF 필기가능 (Android, iOS)

쿠폰적용가 25,200원
10% 할인 | 5%P 적립이 상품은 배송되지 않는 디지털 상품이며,
교보eBook앱이나 웹뷰어에서 바로 이용가능합니다.
카드&결제 혜택
- 5만원 이상 구매 시 추가 2,000P
- 3만원 이상 구매 시, 등급별 2~4% 추가 최대 416P
-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추가 최대 200원
작품소개
이 상품이 속한 분야
머리말 _ 11
1. 텍스트언어학사의 필요성 _ 19
2. ‘텍스트’, ‘역사’, ‘텍스트언어학’ 그리고 ‘텍스트언어학적’ _ 21
2.1 ‘텍스트’·‘텍스트들’ _ 22
2.2 H. White의 ‘역사시학’ _ 50
2.3 텍스트언어학 _ 52
2.4 ‘텍스트언어학적’이란 무엇인가? _ 55
3. 텍스트언어학 이전사 _ 59
3.1 ‘언어기능’ 또는 ‘텍스트기능’ 개념의 선구: Platon의 ‘오르가논 모델(Organonmodell)’ _ 59
3.2 텍스트유형 분류의 이전사로서 연설의 구분 _ 64
3.3 Aristoteles의 『시학』과 텍스트언어학 _ 76
3.4 문법학과 텍스트언어학 _ 99
3.5 M. F. Quintilianus의 작문교육 _ 105
3.6 수사학과 텍스트언어학 _ 109
3.7 문체론과 제어적 원리 _ 124
3.8 텍스트언어학과 문체론 _ 129
3.9 G. C. Longinus의 숭고미 이론 _ 148
4. 텍스트언어학의 태동 _ 157
4.1 텍스트언어학의 선구자로서 W. v. Humboldt _ 157
4.2 F. de Saussure(1915/1967)와 텍스트언어학 _180
4.3 I. Nye의 문장연결(Satzverbindung) _ 189
4.4 K. Bühler의 언어기능(Sprachfunktion)과 직시(Deixis) _ 195
4.5 L. Hjelmslev의 『랑가쥬 이론 서설』 _ 216
4.6 K. L. Pike의 문법소론(Tagmemik) _ 220
4.7 Z. S. Harris의 ‘대화 분석(Discourse Analysis)’ _ 232
4.8 W. Porzig의 ‘본질적 의미 관련(wesenhafte Bedeutungsbeziehungen)’과 ‘레데(Rede)’ 개념 _ 234
4.9 H. Brinkmann의 텍스트중심 품사론 _ 250
부설: H. Brinkmann: ‘지평(Horizont)’ - 언어적 ‘지식체계(Kenntnissystem)’인가? _ 276
5. 텍스트언어학과 주변학문 _ 307
5.1 S. Freud의 ‘실수 행위들(Fehlleistungen)’에서 텍스트언어학적 흔적들 _ 307
5.2 V. Y. Propp의 『민담 형태론(Morphology of Folktale)』 _ 316
5.3 M. Bachtin과 텍스트언어학 _ 329
5.4 논증 텍스트 분석의 출발점: S. Toulmin의 논증구조 _ 354
5.5 H.-G. Gadamer의 변증법적 또는 해석학적 텍스트언어학 _ 374
6. 텍스트언어학의 전개 _ 380
6.1 P. Hartmann 의 “첫 번째 언어기호(primäres sprachliches Zeichen)”로서의 텍스트 _ 380
6.2 R. Jakobson의 확장된 언어기능과 ‘반복’ _ 388
6.3 A. V. Issatschenko의 생략과 대명사화(Pronominalisierung) _ 399
6.4 H. Weinrich의 『거짓말의 언어학(Linguistik der Lüge)』과 사용의미(Meinung) _ 403
6.5 체계중심 텍스트언어학의 선구로서 R. Harweg의 『대명사와 텍스트구성(Pronomina und Textkonstitution)』 _ 410
7. ‘텍스트성(Textualität)’의 역사 _ 421
I. 서론 _ 423
II. 본론 _ 424
III. 결론 _ 439
8. 텍스트문법 _ 441
8.1 코헤지온 _ 443
9. 텍스트의미론 _ 465
9.1 텍스트코헤렌쯔 _ 465
9.2 B. Sowinski의 텍스트구성과 의미적 코헤렌쯔 _ 472
9.3 동위소(Isotopie) _ 474
9.4 E. Coseriu의 어휘 연대(Lexikalische Solidaritäten) _ 484
10. 텍스트테마 _ 487
10.1 테마전개 _ 488
10.2 테마 전개유형 _ 490
11. 텍스트화용론 _ 499
11.1 J. Frese의 언어행위이론 _ 502
11.2 G. Ungeheuer의 언어적 의사소통 _ 504
11.3 W. Motsch/D. Viehweger(1981)의 ‘화용적 연결(pragmatische Verknüpfung)’ _ 505
12. 텍스트언어학의 체제 구축과정 _ 515
12.1 W. Dressler의 『텍스트언어학 개론』 _ 515
12.2 H. Isenberg와 S. J. Schmidt의 ‘텍스트 이론(Texttheorie)’ _ 521
12.3 T. A. v. Dijk (1980) _ 527
12.4 E. Coseriu (1981) _ 544
12.5 R.-A. de Beaugrande/W. Dressler (1981) _ 547
12.6 B. Sowinski (1983) _ 573
12.7 K. Brinker (1985) _ 581
12.8 W. Heinemann/D. Viehweger (1991) _ 589
12.9 H. Vater (1992) _ 593
13. 텍스트언어학의 미래 _ 601
참고문헌 _ 605
텍스트언어학의 출발점은- 학계에서 일반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1960년대 중반이 아니라 19세기 초이여야 하며, 특히 당시에 활동했던 일반언어학과 언어 철학의 창시자로 불리우는 W. v. Humboldt와 관련 있고,1) 또한 텍스트언어학의 시원은 그 보다 훨씬 오래 전에 있었다. 이를 테면, 텍스트언어학의 핵심 개념중의 하나인 R.-A. de Beaugrande/W. Dressler(1981)의 제어적 원리(regulative Prinzipien)와 R. Harweg(1968)의 텍스트시작문장(Textanfangssatz)과 텍스트계속문장(Textforsetzungssatz) 개념을 Aristoteles의 『시학(De Arte Poetica)』(2013)에서 엿볼 수 있고, 텍스트유형 분류의 출발점을 Platon의 『고르기아스(Gorgias)』(2011)에서 찾아 낼 수 있다. 또한 현대 텍스트언어학의 핵심 주제 중의 하나인 텍스트기능(Textfunktion) 구분의 흔적도 Platon의 『크라튈로스(Kratylos)』(2007)에서 발견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언어학에서 ‘언어사’의 중요성을 강조했던 H. Paul의 다음과 같은 주장이 텍스트언어학에서 ‘텍스트언어학사’의 중요성으로 유추될 수 있다: “언어의 역사적 관찰 이외에 다른 학문적 관찰이 또 있다는 이의가 제기되어 있다. 나는 이것을 부인한다. 언어의 비역사적인, 그렇지만 학문적인 관찰이라고 설명하는 것은 실제로는 불완전한 역사적 설명에 불과하며 때로는 관찰자의 잘못으로, 때로는 관찰 자료의 잘못으로 불완전한 것이다. 개별적인 것들을 단순히 확인하는 것을 넘어서, 관련을 파악하고, 그 현상들을 이해하려고 하자마자, 사실 이에 관하여 명백하게 설명할 수는 없지만, 역사적 토대에 들어서는 것이다” (H. Paul 1880/1975: 20). 그러나 이런 식의 논의 전개에 많은 텍스트언어학자들은 동의하지 않거나 심지어 반박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필자가 위안으로 삼는 것은, 위에서 언급된 고전들이 P. Hartmann의 ‘텍스트언어학 강령(textlinguistisches Manifest)’(1971: 10 이하 참조)과 합치되는 부분이 더러 있기 때문이다. 가능하면 텍스트(과)학(Textwissenscha)(T. A. v. Dijk 1980)으로 향하는 텍스트언어학의 영역을 조금이라도 더 넓혀보려는 이러한 노력, 즉 인문학의 많은 고전들이 텍스트언어학적 사상의 편린을 담고 있다는 견해가 독자들에게 알려져서, 이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 될 수 있다면 본서의 목적은 달성된 것이나 다름없다. 당연히 본서에서 추구하는 이런 방식의 연구는 여러 학자들의 땀 흘린 성과에 덕을 입었다. 특히 고전수사학과 기호학 그리고 고대 철학과 관련된 많은 글들이 이 책을 엮는데 큰 도움을 주었다.
작가정보
저자(글) 이재원
한국외국어대학교 독일어교육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유물론적 언어관에 의한 언어영역론의 비판과 수용에 관한 고찰”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1990년부터 독일 뮌스터대학에서 일반언어학, 독어학, 고전중국학을 공부했다. 2000년에 “텍스트코헤렌쯔 유형(Textkoh?renztypologie)”으로 페터 슈밋터 교수(Prof. Dr. P. Schmitter)의 지도하에 철학박사(Ph.D)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고려대, 덕성여대, 성신여대, 명지대, 동아대 등에서 독어학, 텍스트언어학, 수사학 등을 가르쳤으며 2010년도부터 한국외국어대학교 독일어통번역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또 현대독어학회 회장, 한국수사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논문으로는 “고리적 텍스트응집성 수단들”(2000)부터 최근의 “소쉬르 F. Saussure의 언어학은 - 소위 - ‘과학 Wissenschaft’인가?-『일반언어학의 근본 문제들 Grundfrage der Allgemeinen Sprachwissenschaft』(1967)을 중심으로”에 이르기까지 80여 편이 있으며 저서로는 『광고언어연구』(2002), 『광고로 읽는 언어학』 (2009)을 냈다. 그리고 공저로서 『웃기는 레볼루션. 무한도전에 관한 몇 가지 진지한 이야기들』 (2012) 등이 있다. 2017년에 “제37회 대한민국미술대전” 서양화 구상 부분에서 입선하였으며, 같은 해 “제1회 한국교직원미술대전” 서양화 부분에 입상했고, “2017년 세계미술교육학회(InSEA) 초대전”에 출품하였다. 1988년부터 “프러시안 블루”에서 활동하고 있다.
이 상품의 총서
Klover리뷰 (0)
-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 오디오북, 동영상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은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 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문장수집
-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 수집 등록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문장수집 등록 시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 / 오디오북·동영상 상품/주문취소/환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최초1회)
- 리워드 제외 상품 : 마이 > 라이브러리 > Klover리뷰 > 리워드 안내 참고
- 콘텐츠 다운로드 또는 바로보기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
가장 와 닿는 하나의 키워드를 선택해주세요.
총 5MB 이하로 jpg,jpeg,png 파일만 업로드 가능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신고 내용은 이용약관 및 정책에 의해 처리됩니다.
허위 신고일 경우, 신고자의 서비스 활동이 제한될 수
있으니 유의하시어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
이 글을 작성한 작성자의 모든 글은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eBook 문장수집은 웹에서 직접 타이핑 가능하나, 모바일 앱에서 도서를 열람하여 문장을 드래그하시면 직접 타이핑 하실 필요 없이 보다 편하게 남길 수 있습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선물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
보유 권수 / 선물할 권수0권 / 1권
-
받는사람 이름받는사람 휴대전화
- 구매한 이용권의 대한 잔여권수를 선물할 수 있습니다.
- 열람권은 1인당 1권씩 선물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이 ‘미등록’ 상태일 경우에만 ‘열람권 선물내역’화면에서 선물취소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의 등록유효기간은 14일 입니다.
(상대방이 기한내에 등록하지 않을 경우 소멸됩니다.) - 무제한 이용권일 경우 열람권 선물이 불가합니다.
첫 구매 시 교보e캐시 지급해 드립니다.

- 첫 구매 후 3일 이내 다운로드 시 익일 자동 지급
- 한 ID당 최초 1회 지급 / sam 이용권 제외
- 구글바이액션을 통해 교보eBook 구매 이력이 없는 회원 대상
- 교보e캐시 1,000원 지급 (유효기간 지급일로부터 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