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역대전쟁사 제5책
2023년 12월 20일 출간
- eBook 상품 정보
- 파일 정보 PDF (63.93MB)
- ISBN 9788986009408
- 지원기기 교보eBook App, PC e서재, 리더기, 웹뷰어
-
교보eBook App
듣기(TTS) 가능
TTS 란?텍스트를 음성으로 읽어주는 기술입니다.
- 전자책의 편집 상태에 따라 본문의 흐름과 다르게 텍스트를 읽을 수 있습니다.
- 이미지 형태로 제작된 전자책 (예 : ZIP 파일)은 TTS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PDF 필기가능 (Android, iOS)

쿠폰적용가 16,200원
10% 할인 | 5%P 적립이 상품은 배송되지 않는 디지털 상품이며,
교보eBook앱이나 웹뷰어에서 바로 이용가능합니다.
카드&결제 혜택
- 5만원 이상 구매 시 추가 2,000P
- 3만원 이상 구매 시, 등급별 2~4% 추가 최대 416P
-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추가 최대 200원
작품소개
이 상품이 속한 분야
《중국역대전쟁사》총 18책에는 중국의 역대 병란이 중심 내용을 이루고 있으나 한족(漢族) 및 북방민족과의 부단한 군사적 갈등을 겪으면서 국체를 보존해온 우리 민족의 역사에 관한 유의미한 정보도 함께 다루어지고 있습니다. 예컨대 제6권의 제九장 ‘한(漢) 무제(武帝)의 조선(朝鮮) 평정’, 제11권의 제五장 ‘수(隋) 양제(煬帝)의 고구려 정벌’, 제12권의 제七장 ‘당(唐) 초기의 대외전쟁(三): 고구려 및 백제 정벌’ 및 제八장 ‘무후(武后)의 천정(擅政)과 대내외 전역’ 등은 우리 민족사와 직결되어 있어 우리 역사 연구에 중요한 정보를 간취할 수 있습니다. 이 문제와 관련해 편집위원 중 상당수가 한국학계와 관련을 맺고 있다는 점은 특기할 만한 사항이라 하겠습니다.
그러나 국내에는 본서의 존재가 잘 알려져 있지 않았으며, 분량이 방대하고 병란이 중심이 된 관계로 설령 한문에 밝은 인사라고 해도 전문 분야인 군사를 잘 모른다는 점에서 역본의 출현은 난망한 실정이었습니다. 이러한 차에 역자인 민경길 박사가 한자문화권 밖의 언어로는 세계 최초로 본서 18책 전체를 한글로 번역한 것은 우리 출판문화사에 일대 쾌사가 아닐 수 없습니다. 특히 역자는 육군사관학교에서 종신하여 전쟁사와 군사학에 밝을 뿐 아니라 한자 고문과 현대중국어, 영어와 독어 등 외국어에도 능통해 이미 서양병법사의 전범(典範)으로 평가되어 온 독일 한스 델브뤽(Hans Delbrueck)의 《Geschichte der Kriegskunst-in Rahmender politischen Geschichte》를 미국의 영어판 및 구소련의 러시아어판에 이어 세계에서 세 번째로 한글 번역본을 출간한 바 있으며, 그 밖에도 《손자병법주해》, 《북한산》, 《한국과 중국의 궁술》등을 저술한 자강(自彊)의 실력자입니다.
실제로 역자는 《중국역대전쟁사》를 단순히 번역하는 데 그치지 않고 도처에 역주를 가하는 수고도 마다하지 않았으니, 곧 우리 민족과의 관계에서 지나친 중화의식이 투영된 곳이나 역사왜곡이 자행된 곳, 앞뒤가 모순되거나 사실관계가 잘못 된 곳들도 일일이 사적을 뒤져 바로잡았습니다. 이는 동양사 일반과 군사 분야에 해박한 역자만이 할 수 있는 일로 번역의 완성도를 한층 높였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전제하에 본 번역본의 의의를 간략히 정리해 본다면,
첫째, 우리나라를 포함한 아시아 한자 문화권의 수천 년 정치 역학적 관계를 전쟁사를 중심으로 통사적(統史的)으로 이해할 수 있는 단초가 마련된 점, 둘째, 한자 문화권의 군사 사상과 전략(戰略) 및 전술(戰術)의 발전 과정을 이해할 수 있는 기초가 제공된 점, 셋째, 아시아의 정치 역학적 구도하에 ‘국가방위 전략’ 및 ‘한반도 통일 전략’ 수립의 역사적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 등을 꼽을 수 있습니다. 특히, 남북간의 군사적 긴장에 더해 미중 간의 경제 군사적 갈등과 일본의 군사대국화 추구로 인한 불안정한 주변 국제 정세를 감안할 때 이 번역본의 출판 필요성은 더욱 증대된다고 하겠습니다.
그러나 이 책 전집의 번역물은 그 심대한 의의에도 불구하고 우리 출판시장의 열악한 사정상 경제성이 떨어지는 것이 사실이며, 실제로 몇몇 출판사가 관심을 갖기도 했지만 785매에 이르는 부도(附圖)와 결정적으로는 막대한 제작비 문제로 출판이 무산되어 왔습니다.
이러던 차에 한미친선군민협의회 박정기 회장의 일부 재정지원으로 도서출판 문무사가 대만 저자권사와 저작물 한국내 출판권 계약이 성사되었고, 문무사 대표도 상업성을 떠난 일종의 사명감으로 문화사업 차원에서 우선 전자책으로 18책을 제작하게 되었고 독자의 반응과 예산이 확보되면 차후 종이책을 만들 예정입니다.
덧붙이면, 역자가 본서 번역에 착수한 것은 2010년으로 본 번역물은 10년 적공의 결과물입니다. 이는 국가나 사회가 응당 나서야 할 일에 순전히 개인적인 노력을 쏟아 부은 것으로 역자의 작업은 우리 출판문화 창달을 촉진하는 선도적 업적으로 평가해도 과언이 아닐 것입니다. 그러나 만약 이 10년 적공의 결과물이 출판의 기회를 얻지 못하고 사장된다면, 이는 역자 개인의 노고가 무위로 돌아가는 정도가 아니라 우리 출판문화의 엄청난 손실로 이어졌을 것입니다.
역자의 번역에 10여 년, 전자책 편집에도 2년이 소요되었습니다.
권두언 … 3
역자 서문 … 5
제九권 양진(兩晉) 시대
제一장 양진(兩晉) 시대의 전반적 정세
제一절 양진(兩晉) 시대의 전반적 모습 … 13
제二절 양진(兩晉)의 정치, 경제, 사회 및 학술사상 … 43
제三절 양진(兩晉)의 군비(軍備)와 병제(兵制) … 52
제四절 양진(兩晉)의 정략(政略), 전략(戰略) 및 전술(戰術) … 60
부도 214-1~2. 오호(五胡)의 대표적 16개국 상황 … 732~734
제二장 진(晉)의 오(吳) 평정
제一절 전쟁 이전의 일반상황과 전쟁의 계기 … 64
제二절 진(晉)과 오(吳)의 작전 관련 중요 인물 … 75
제三절 전장(戰場)의 지리(地理) … 80
제四절 작전준비와 작전계획 … 82
제五절 작전경과 … 87
제六절 전후(戰後)의 상황 …94
제七절 평가 … 98
부도 168. 진(晉)과 오(吳)의 대치 상황 … 644
부도 169. 진(晉)의 오(吳) 정벌작전의 전반적 경과 … 646
부도 170. 진(晉)의 오(吳) 정벌작전 경과(一) … 648
부도 171. 진(晉)의 오(吳) 정벌작전 경과(二) … 650
제三장 흉노 유한(劉漢)의 개국과 서진(西晉) 격멸
제一절 전쟁 전의 일반정세 … 101
제二절 흉노 한국(漢國)의 흥기(興起) 영도 인물 … 128
제三절 전쟁계획 … 134
제四절 전쟁경과 및 서진(西晉)의 멸망 … 135
제五절 전후(戰後)의 상황 … 151
제六절 평가 … 155
부도 172. 흉노 유한(劉漢)의 개국(開國) 작전경과(一) … 652
부도 173. 흉노 유한(劉漢)의 개국(開國) 작전경과(二) … 654
부도 174. 흉노 유한(劉漢)의 낙양(洛陽) 및 산동(山東) 주군(州郡) 공격 작전경과 … 656
부도 175. 흉노 유찬(劉粲)의 낙양(洛陽) 및 장안(長安) 격파 작전경과 … 658
제四장 후조(後趙) 석륵(石勒)의 개국(開國) 전쟁
제一절 전쟁 전의 일반상황 … 158
제二절 후조(後趙)의 건국(建國)과 중요 인물 … 160
제三절 후조(後趙)의 건국(建國) 계획 … 163
제四절 후조(後趙)의 건국(建國)작전경과 … 164
제五절 평가 … 186
부도 176. 석륵(石勒)의 유주(幽州) 및 병주(幷州) 평정 작전경과 … 660
부도 177. 석륵(石勒)의 낙양(洛陽) 및 장안(長安) 평정과 회한(淮漢) 지역 작전경과 … 662
부도 178. 석륵(石勒)〔후조(後趙)〕의 북방 3국 통일 … 664
제五장 동진(東晉)의 창업(創業)과 내전(內戰)
제一절 내전(內戰) 전의 일반정세 … 189
제二절 동진(東晋)의 기업(基業) 개창(開創)과 중요 인물 … 195
제三절 내전(內戰)의 계기와 장강 주변의 지리 … 203
제四절 왕돈(王敦) 토벌전(一): 왕돈의 건강(建康) 진공 … 206
제五절 왕돈(王敦) 토벌전(二): 왕돈 격멸 … 212
제六절 소준(蘇峻), 조약(祖約) 및 곽묵(郭默) 토벌전 … 222
제七절 전후(戰後)의 상황 …244
제八절 평가 … 244
부도 179. 왕돈(王敦)의 건강(建康) 진공 작전경과 … 666
부도 180. 동진(東晋) 명제(明帝)의 왕돈(王敦) 토벌 작전경과 … 668
부도 181. 소준(蘇峻)의 건강(建康) 진공 작전경과 … 669
부도 182. 소준(蘇峻) 등 토벌 작전경과 … 670
제六장 모용씨(慕容氏)의 연(燕) 개국(開國)과 환온(桓溫)의 촉(蜀) 격멸전
제一절 전쟁 이전의 일반정세 … 248
제二절 연(燕)의 개국(開國) 전쟁 … 268
제三절 환온(桓溫)의 촉(蜀) 격멸전 … 279
제四절 평가 … 285
부도 183. 연(燕) 개국 이전의 일반상황 … 672
부도 184. 연(燕)의 개국(開國) 전쟁경과 … 674
부도 185. 환온(桓溫)의 촉(蜀) 격멸전 경과 … 676
제七장 연(燕), 진(晉)의 조(趙) 정벌과 부진(苻秦)의 건국(建國) 전쟁
제一절 전쟁 이전의 일반정세 … 286
제二절 전장(戰場)의 지리와 작전계획 … 293
제三절 동진(東晉)의 조(趙) 북벌 작전경과 … 297
제四절 연(燕)의 조(趙) 남벌(南伐) 작전경과 … 318
제五절 평가 … 326
부도 186. 연(燕)과 동진(東晉)의 조(趙) 정벌 및 부진(苻秦) 건국 이전의 일반상황 … 678
부도 187. 동진(東晋)의 제1차 북벌 작전경과 … 680
부도 188. 동진(東晋)의 제2차 북벌 작전경과 … 682
부도 189. 부진(苻秦)의 건국 전쟁경과 … 684
부도 190. 연(燕)의 제1단계 조(趙) 정벌 전쟁경과 … 686
부도 191. 연(燕)의 제2단계 조(趙) 정벌 전쟁경과 … 688
제八장 환온(桓溫)의 북벌(北伐) : 진(秦) 및 연(燕) 정벌
제一절 전쟁 이전의 일반정세와 전쟁의 계기 … 330
제二절 전장(戰場)의 지리와 전쟁계획 … 334
제三절 환온(桓溫)의 진(秦) 정벌전 … 333
제四절 환온(桓溫)의 연(燕) 정벌전 … 340
제五절 평가 … 362
부도 192. 환온(桓溫)의 북벌 이전의 일반상황 … 690
부도 193. 환온(桓溫)의 진(秦) 정벌 전쟁경과 … 692
부도 194. 환온(桓溫)의 연(燕) 정벌 전쟁경과 … 694
제九장 전진(前秦)의 중원(中原) 통일: 연(燕) 격멸
제一절 전쟁 이전의 일반정세와 전쟁의 계기 … 365
제二절 진국(秦國)의 중요 인물 … 371
제三절 전장(戰場)의 지리 … 376
제四절 작전계획 … 377
제五절 작전경과 … 378
제六절 전후(戰後)의 상황 … 385
제七절 평가 … 391
부도 195. 전진(前秦)의 연(燕) 격멸 이전의 일반상황 … 696
부도 196. 전진(前秦)의 연(燕) 격멸 전쟁경과(一) … 698
부도 197. 전진(前秦)의 연(燕) 격멸 전쟁경과(二) … 700
제十장 전진(前秦)의 천하 통일 전역(戰役)과 멸망
제一절 전쟁 전의 일반상황 … 394
제二절 각 전역(戰役)의 지리 … 396
제三절 작전계획과 작전준비 … 399
제四절 촉(蜀) 공략과 양(涼), 대(代), 서역(西域) 평정 및 제1차 동진(東晋)
정벌전 … 400
제五절 제2차 동진(東晋) 정벌전: 비수전(淝水戰) … 416
제六절 전후(戰後)의 정국(政局) … 434
제七절 평가 … 457
부도 198. 전진(前秦)의 촉(蜀) 공략, 양(涼) 격멸, 대(代) 정벌, 서역(西域) 평정 및 진(晉) 정벌 이전의 일반상황 … 702
부도 199. 전진(前秦)의 촉(蜀) 공략 작전경과 … 704
부도 200. 전진(前秦)의 양(涼) 격멸 및 대(代) 정벌 작전경과 … 706
부도 201. 전진(前秦)의 제1차 진(晉) 정벌 전쟁경과 … 708
부도 202. 전진(前秦)의 제2차 진(晉) 정벌 전쟁경과 … 710
제十一장 탁발규(拓跋珪)의 위(魏) 부흥과 확장전(擴張戰)
제一절 전쟁 이전의 일반상황 … 462
제二절 탁발씨(拓跋氏)의 선조 … 466
제三절 위(魏) 부흥의 중요 인물 … 472
제四절 지리 형세 및 위(魏)의 확장계획 … 474
제五절 탁발규(拓跋珪)의 초기 확장 … 478
제六절 후연(後燕) 정벌전 … 480
제七절 전후(戰後)의 상황 … 488
제八절 평가 … 512
부도 203. 탁발규의 연(燕) 격멸 이전의 일반상황 … 712
부도 204. 연(燕)의 위(魏) 정벌전〔삼합파전(參合陂戰)〕 전쟁경과 … 714
부도 205. 위(魏)의 연(燕) 정벌 전쟁경과 … 716
제十二장 환현(桓玄)의 진(晉) 찬탈과 유유(劉裕)의 복진(復晉)
제一절 전쟁 이전의 일반정세와 전쟁의 계기 … 515
제二절 지리 및 전쟁계획 … 521
제三절 동진(東晋)의 정정(政情)과 국세(國勢) … 525
제四절 유유(劉裕)의 기의(起義)와 중요 인물 … 538
제五절 환현(桓玄)의 진(晉) 찬탈전(簒奪戰) … 542
제六절 유유(劉裕)의 환현(桓玄) 토벌전(一): 건강전(建康戰) … 551
제七절 유유(劉裕)의 환현(桓玄) 토벌전(二): 형주(荊州) 진격 … 560
제八절 전후(戰後)의 상황 … 567
제九절 평가 … 574
부도 206. 환현(桓玄)의 진(晉) 찬탈 이전의 일반상황 … 718
부도 207. 환현(桓玄)의 진(晉) 찬탈 전쟁경과: 유유(劉裕)의 환현(桓玄) 토벌〔건강전(建康戰)〕 전쟁경과 … 720
부도 208. 유유(劉裕)의 환현(桓玄) 토벌〔형주전(荊州戰)〕 전쟁경과 (一), (二) … 721
부도 209. 유유(劉裕)의 환현(桓玄) 토벌〔형주전(荊州戰)〕 전쟁경과 (三), (四) … 722
제十三장 유유(劉裕)의 남연(南燕) 격멸과 내란 평정
제一절 전쟁 이전의 일반상황과 전쟁의 계기 … 578
제二절 동진(東晋)의 정정(政情)과 국세(國勢) … 589
제三절 남연(南燕)의 정정(政情)과 국세(國勢) … 592
제四절 전장(戰場)의 지리 및 전쟁계획 … 597
제五절 남연(南燕) 격멸전 … 602
제六절 노순(盧循) 평정전 … 610
제七절 유의(劉毅) 평정전 … 623
제八절 전후(戰後)의 상황 … 629
제九절 평가 … 637
부도 210. 유유(劉裕)의 남연(南燕) 격멸 이전의 일반상황 … 724
부도 211. 유유(劉裕)의 남연(南燕) 격멸 전쟁경과 … 726
부도 212. 유유(劉裕)의 노순(盧循) 평정 전쟁경과(一) … 728
부도 213. 유유(劉裕)의 노순(盧循) 평정 전쟁경과(二) … 730
▮부도(附圖)-(총 47매) … 643
당시 무제는 통일대업의 달성에 만족해 있었고 또 종실을 대거 왕에 봉한 이후 황실이 점차 견고해졌고, 이미 주군병을 폐지해 한(漢) 말기 주군들이 할거했던 양상이 재연되지 않을 것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무제는 이렇게 안팎으로 별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고 연락(宴樂)으로 소일하면서 점차 정사에 태만해졌다. 그는 이듬해 3월 오(吳)에서 잡아 온 궁녀 중 5천 명을 선발해 궁으로 들여 기존 궁녀들과 합해 궁녀 수가 1만에 이르렀다. 궁녀가 너무 많아 밤이면 누구에게 갈 것인지 결정 못하고 “늘 양(羊)이 모는 수레를 타고 가다가 양이 머무는 궁녀 방에서 잤다.”고 하며, 이 때문에 궁녀들은 황제를 자신의 처소로 유인하려고 자신의 방 앞에 양이 좋아하는 대나무 잎사귀를 꽃아 놓고 소금물을 뿌려놓았다 한다. 황제의 소행이 이러하자 공경(公卿), 외척들도 사치를 일삼았다. 그 예로 황제와 구은(舊恩)이 있는 중호군(中護軍)·산기상시(散騎常侍) 양수(羊琇)〔경제(景帝) 사마사(司馬師)의 부인 헌후(獻后)의 조카〕, 후장군 왕개(王愷)〔문제(文帝) 사마소의 부인 명후(明后)의 동생〕[역자 주: 진(晉)의 황제는 무제 사마염에서 혜제 사마충(司馬衷)으로 이어지며 사마의, 사마사, 사마소는 사후 진(晉) 건국 때 각기 선제(宣帝), 경제, 문제로 추증된 황제이다. 사마의, 사마사, 사마소는 이에 앞서 위(魏) 당시 이미 선왕(宣王), 경왕(景王), 문왕(文王)으로 추증되었다.], 산기상시 석숭(石崇)〔대사마 석포(石苞)의 아들〕 등이 있어 이들 모두 많은 재물을 축적하고 사치를 즐겼다. 또 황제가 정사에 태만하자 많은 구신(舊臣)들이 소외되어 축출되고 황후의 아버지 양준(楊駿)과 삼촌 양요(楊珧)와 양제(楊濟)가 권력을 장악해 “청탁과 알선이 오가면서 그 세력이 내외를 뒤흔드는” 결과가 초래되고, 대신들은 권력을 다투며 서로 알력을 빚었다. 처음 상서 장화(張華)가 문학과 재능이 뛰어난 당대 유명인사로 오(吳) 정벌 때도 계책수립을 도왔기에 누구나 그가 삼공(三公) 지위에 오를 것으로 보았지만 중서감(中書監) 순조(荀莇)와 시중 풍담(馮紞)이 그를 시기해 태강(太康) 3년 1월 그를 축출해 유주(幽州)로 내보냈다. 이어 제왕(齊王) 사마유(司馬攸)의 덕망이 점차 높아지자 그를 시기한 순조, 풍담, 양조가 태강 4년 3월 그의 화를 돋우어 죽게 만들었다. 그 뒤에도 혜황후(惠皇后) 가씨(賈氏)〔지난 해 4월 무제 사마염이 죽고 태자 사마충(司馬衷)이 즉위하니 그가 혜제(惠帝)였다〕가 원강(元康) 원년 3월 양준을 죽이고 국정을 전횡하자 결국 팔왕(八王)의 난(亂)이 일어났다.〔인용문은 《자치통감》 권81, 태강 원년 기사에 나온다.〕
본서의 서지학적 정보와 중심 내용을 원서의 발간사 등을 참조하여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본서의 편찬 목적은 다음과 같다.
(1) 수천 년 중국의 역대 건국 시정(施政) 및 중요 국방 군사 계획 내지 흥망과 전쟁의 사례들을 종합하여 이를 체계적으로 소개하고 옛 인물들의 시련 극복과 치란(治亂) 및 흥망의 이치를 명확히 밝혀 후대인들의 교훈이 되게 한다.
(2) 역대 중국의 건국과 건군, 제도와 학술, 내정과 외교 내지 전쟁책략의 경험과 교훈을 밝혀 후대인들이 지혜를 계발(啓發)하고 국가운영, 작전지도 및 군사운용의 기초로 삼게 한다.
2. 본서의 범위는 황제(皇帝) 시기부터 청대(淸代) 태평천국까지이며, 전후 4천6백여 년에 걸친 중국역사 전부가 포함되었고, 각 시대를 1개 편(編)으로 총 7개 편(編)으로 구성했다. 각 편은 시대 구분에 따라 몇 개 권(卷)으로 구성했고, 각 권(卷) 역시 중요 시대 혹은 왕조를 기준으로 몇 개 장(章)으로 구성했다. 각 시대별로는 우선 지리, 정치정세, 사회상황, 국방태세, 외교정책과 책략 결정, 전략과 전술 운용, 주요 인물의 영향 등 전반적 내용을 대략 설명하고 이로부터 그 시대의 전반적 정세 및 성쇠(盛衰)와 득실(得失)을 명확히 했다. 둘째, 각 시대의 중요 전역(戰役)과 회전(會戰)에 대해 시대별로 장(章)을 나누어 서술했는데, 우선 해당 전역이나 회전 전의 일반적 형세, 발생원인, 전장(戰場)의 지리 등을 살펴본 후 쌍방의 전략 지도(指導), 작전경과, 전략 전술의 운용 및 득실, 전후(戰後) 정세 등을 다루었고, 마지막에 해당 전역과 회전을 종합 평가한 절(節)을 두어 그 성패(成敗)를 검토하고 또한 전쟁의 원리와 원칙을 인용해 이를 입증했고, 이를 통해 해당 전쟁사의 교훈을 이끌어내고 전쟁 지도의 지혜를 적시(摘示)했다. 동양 용병사상의 대표로 평가되며 세상에 모르는 사람이 없는 《손자병법》은 곧 춘추시대의 용병에 대한 종합적 결론으로, 《손자병법》에서 말한 모든 용병 원칙과 법칙들은 모두 실전을 배경으로 한 것으로 《손자병법》을 기초로 각 전역에 대해 종합 평가를 내리고 있다.
3. 각 시대의 정치, 군사를 중심으로 그 시대의 경제, 문화 및 민족이 처해 있던 환경 등 여타 군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던 요소들을 취합 편찬해서 독자들이 당시 흥망성쇠의 원인을 분명히 알고 거울삼을 수 있게 했다.
4. 각 편, 각 권의 제一장에 서술된 ‘일반정세’는 해당 시대 전체의 일반적 성격을 설명한 것으로 우선 시대 형성의 특징과 전개 과정을 서술해 각 권 본문에 대한 안내 역할을 하게 했고 아울러 그 시대의 개황을 분명히 알 수 있도록 했다.
5. 각 시대 중심인물들의 사상, 도덕, 재능, 지략, 포부, 인품, 일처리 등에 관한 개인적 전기(傳記)를 만들어 그들의 국가경영 및 정치군사의 계획과 체계를 소상히 소개했다.
6. 사료(史料) 수집에 있어 진실 탐구에 노력했고, 현대적 시각과 객관적이고 공정한 태도로 인물과 사건에 관한 기록에 접근함으로써 개인적 편견에 빠지거나, 사실(史實)을 왜곡하거나, 옛 사람들의 고정관념에 사로잡히지 않도록 힘썼다.
역자는 한문본《중국역대전쟁사》를 번역하면서 역사적 사실에 어긋나거나 모순된 부분, 혹은 중화의식이 과도하게 표출된 대목 등에 대해 주석을 가해 바로잡았습니다. 덕분에 본 번역본 《중국역대전쟁사》의 학술적 가치는 크게 향상되었다고 할 수 있으며, 몇 군데 그 예를 살펴보겠습니다.
1. 고유명사 또는 중요한 어휘로서 난해한 원문을 그대로 소개할 수밖에 없을 경우
-원문: ‘成康文景之治’
번역문: ‘성강문경(成康文景)의 치세(治世)’
[역자 주: ‘성강(成康)의 치세’는 서주(西周)가 가장 안정되고 강성했던 성왕(成王), 강왕(康王)의 재위기간을 말하며, ‘문경(文景)의 치세’는 서한(西漢)이 가장 강성했던 무제(武帝) 시대의 기초를 확립한 문제(文帝), 경제(景帝)의 재위기간을 말한다.]
-원문: ‘交趾’
번역문: 교지(交趾)
[역자 주: 현 베트남 북부 홍하(紅河) 삼각주 유역. 당대(唐代)까지 중국 군(郡)이었지만 이후 독립했고, 송(宋)은 그 통치자를 교지군왕(交趾郡王)에 봉했다.]
-원문: ‘侈靡論’
번역문: 치미론(侈靡論)
[역자 주: 일종의 고대 경제이론으로 대량소비가 대량생산을 촉진시켜 사회경제 번영을 가져온다는 주장. 《관자(管子)》, 치미(侈靡) 편 참고]
원문: ‘三朝北盟會編’
번역문:《삼조북맹회편(三朝北盟會編)》
[역자 주: 《삼조북맹회편》은 송(宋)의 서몽신(徐梦莘)이 송(宋) 휘종, 흠종, 고종 3대에 걸쳐 있었던 송(宋)과 금(金) 간 화전(和戰)에 관한 다방면의 사료를 수집해 놓은 글]
2. 우리나라 역사와 관련된 부분
(1)원문(번역): 《후한서(後漢書)》, 권115 동이전(東夷傳)에서는 구이(九夷)를 “견이(畎夷), 우이(于夷), 방이(方夷), 황이(黃夷), 백이(百夷), 적이(赤夷), 현이(玄夷), 풍이(風夷) 및 양이(陽夷)”라고 했다.
[역자 주:《논어정의(論語正義)》 등에는 구이의 명칭이 현도(玄莬), 낙랑(樂浪), 고려(高麗), 만식(滿飾), 부유(鳧臾), 소가(素家), 동도(東屠), 왜인(倭人), 천비(天鄙) 등으로 표현되고 있고, 그 외에도 우이(嵎夷), 화이(和夷). 도이(島夷), 회이(淮夷), 서이(徐夷), 주이(邾夷), 개이(介夷), 거이(莒夷), 기이(杞夷), 내이(萊夷), 패이(郥夷), 여이(黎夷), 관이(串夷) 등의 구분도 있다.〕
(2) 원문(번역): 第6券 第九章 제三절 한무제의 조선(朝鮮) 정벌 전쟁
[역자 주: 앞서 제一장, 제二절에서 소개했듯이 정인보 선생은 한(漢) 무제 당시 예맥조선의 항복 기록에 대해 한(漢)의 사서(史書)가 패배를 승리로 날조했다고 했다. 그러나 중국의 역사왜곡에 대한 의심은 이에 그치지 않는다. 이 제三절의 내용은 한국 고대사와 관련된 대표적 역사 왜곡으로 지적되는 부분이다. 이를 중국 사서(史書)의 왜곡 기록 문제로 보는 경우도 있고, 기록에 대한 해석의 왜곡 문제로 보는 경우도 있다. 사마천의 《사기(史記)》에는 조선 정벌군을 이끈 순체(荀彘), 공손수(公孫遂), 위산(衛山)의 처형과 양복(楊僕)의 폐서인(廢庶人)에 관한 이해가 어려운 기록이 있다. 또 사마천은 당대 역사가로 시대의 목격자였음에도 불구하고 한(漢) 무제의 여타 정벌전 때와는 달리 조선 정벌에 대해서는 정벌 후 사군(四郡)을 설치했다고만 기록했을 뿐 사군(四郡)의 이름들은 언급이 없다. 사군(四郡) 이름이 처음 등장하는 것은 2백 년 후 동한(東漢) 반고(班固)가 저술한 《한서(漢書)》, 무제기(武帝紀)이다. 허나 같은 《한서》에서도 지리지(地理志)는 무제가 조선에 설치한 군(郡)을 현도와 낙랑만 언급했고, 또 오행지(五行志)는 조선을 정벌 후 삼군(三郡)을 설치했다 한다. 이런 점 등을 근거로 우리 재야 사학자들은 중국 사서(史書)가 패배를 승리로 날조했다고 본다. 한편, 이렇게 이해하기 어려운 기록상의 사군(四郡)을 한반도 일대에 있었다고 보기 시작한 것은 중국 역사가들이 아니라 조선시대 문인(文人)들이며 이를 확고한 일반론으로 정립시킨 것은 일제 강점기 전후의 일본 사학자들이다. 이 때문에 재야 사학자들은 중국 사서(史書)에 기록된 사군(四郡) 관련 지명(地名)들의 재해석을 주장하고 있다. 이 문제에 관해서는 국내에 수많은 논문들이 있으니 반드시 함께 읽어보아야 할 것이다.]
(3) 원문(번역): 전체 아시아의 패주(覇主)를 위한 원책(遠策):
당(唐) 태종의 고구려 동정에 대해 현대 역사가들 중에도 이를 “사출무명(師出無名)”〈명분 없는 출정〉 또는 “궁병독무(窮兵黷武)”〈이유 없는 호전적인 용병(用兵)〉이라고 비난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들은 과거 진부한 유학(儒學) 사상이나 방현령(方玄齡)이 죽음에 임박해서 올렸던 상소문의 영향을 받은 것 같고 중국민족 생존발전의 투쟁사와 당시 정치형세를 간과한 것이다. 옛 역사가들은 진(秦) 시황이 장성(長城)을 쌓고 군대를 일으켜 흉노에 대비했던 것이나 한(漢) 무제가 수십 년에 걸쳐 흉노를 정벌한 것도 역시 “궁병독무(窮兵黷武)”라고 비난한다. 그러나 그들은 당시 국가민족의 안위와 이민족과의 투쟁 상황을 전혀 돌아보지 않고 있다. 전국시대 말기에 흉노의 세력은 최고조에 달해 진(秦) 시황은 중국을 통일 후 흉노의 남하 위협이 매우 엄중했으므로 북방 국방을 공고히 하려고 대규모 공역(工役)을 일으키고 몽염(蒙恬)으로 하여금 북방을 지키게 했었는데 이는 모두 국가 안전을 지키기 위한 조치였다. 그가 죽자 진(秦)은 곧 붕궤되고 중국은 여러 해 동안 내란상태에 빠졌으며 강대한 흉노가 남침을 시작해 장성을 부수고 음산(陰山) 산맥을 넘어 상건하(桑乾河) 유역에서 내몽골 이극소맹(伊克昭孟)을 건너 하남 땅으로 들어와 그곳을 모두 유목민족의 생식지(生息地)로 만들었다. 중국의 역사와 국방 지리에 대해 조금만 알면 이런 정세가 중국의 국가와 민족을 위협하는 것이었음을 알 수 있다. 이 때문에 한(漢) 고조도 중국 재통일 무렵 “평성(平城)의 포위”를 당했고 그 이후 문제(文帝), 경제(景帝) 역시 수십 년에 걸쳐 치욕의 세월을 보냈는데 한편으로는 딸들과 옥백(玉帛)을 바쳐 흉노 침입을 늦추어 가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북방 국방을 충실히 해가면서 중국의 국력을 나날이 강화했었고 무제에 이르러 비로소 흉노에게 반격을 가할 수 있게 되었다.〈이때 일에 대해서는 앞의 제四권, 제六권에서 상세히 설명했다.〉 이는 4대에 걸쳐 수십 년간 중단 없이 노력한 결과였다. 이를 어찌 “궁병독무(窮兵黷武)”라고 비난할 수 있겠는가?
서진(西晉) 팔왕(八王)의 난(亂) 이후를 돌아보면 오호(五胡)가 번갈아 침입해서 국가는 망했고 결국 선비(鮮卑)가 중국의 주인이 되어 중국이 2백여 년 동안 분열되어 있었다. 수(隋) 문제(文帝), 양제(煬帝) 부자(父子)에 의한 중국 재통일 이후에야 비로소 중국이 주인이 되는 정책을 폈는데 그때까지 2백여 년 세월을 잠시라도 돌아본다면 어찌 가슴이 떨리지 않을 수 있으랴? 당(唐) 고조 이연(李淵) 부자가 군사를 일으킬 때만 해도 중원(中原)의 기병(起兵) 세력들은 돌궐에 신하를 자처하며 기대지 않은 자가 없던 때로서 그래야 생존 발전할 수 있었고 이연도 예외가 아니었지만 그가 통일대업을 이룰 때쯤에도 돌궐이 8차에 걸쳐 대거 침입해서 통일을 방해했다. 이연 부자도 이런 고통을 체험했는데 중국의 생사 존망에 대한 돌궐의 위협에 누가 놀라지 않으랴? 당시의 국제정세를 볼 때 당 태종의 돌궐 정벌은 진(秦) 시황(始皇)과 한(漢) 무제(武帝)의 흉노 정벌 같이 국가민족의 안위를 위한 용병이었다.
그러나 태종이 동돌궐을 정벌한 후도 동아시아 국제정세는 변치 않았다. 다시 말해서 태종이 동아시아의 패권에서 힐리(頡利) 가한(可汗)을 대신해서 천가한(天可汗)이 된 후 국가의 장기적인 안위를 위해 스스로 대책을 세우기를 서북에서는 반드시 파미르 고원을 차지해 천산(天山)을 국방선으로 하고 동북에서는 요동을 차지해 이를 국방선으로 해야 당(唐)의 장기적 안전이 확보된다고 보았다. 이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사정을 보면 알 수 있다.
첫째, 태종은 고창(高昌)과 쿠차(龜玆. Kucha)를 멸망시킨 후 위징(魏徵)의 간언을 단호히 거부하고 이들 지역에 대신(大臣)과 맹장(猛將)을 파견해서 직접 통치했다.〈동서(東西) 돌궐 땅에서는 모두 현지 추장들을 도독자사로 임명했다.〉
둘째, 요동을 차지한 후에도 태종은 이 지역을 직접 통치하에 두었다. 고종은 고구려를 멸한 후 중국인을 남겨 현지 추장과 함께 공동으로 통치하게 했다.〈이 역시 동서 돌궐에서 현지 추장들을 도독자사로 임명한 것과 다르다.〉 이 또한 당(唐)이 동아시아에서 패권을 장악한 후 아시아 전체의 패권을 쥐는 정치정세로 발전하기 위한 기반이 되었다. 당시에 태종이 이런 원대한 방침을 관철하려 노력했다는 것도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사정을 보면 알 수 있다. 첫째, 태종은 낙양에서 동정(東征)에 나서려 할 때 설연타가 돌궐을 압박하자 돌궐을 하남 땅〈현 내몽골 이극소맹(伊克昭孟)〉으로 옮겨 놓았는데, 모든 신하들이 하남은 수도 장안에서 가까워 후환이 될 수 있다고 하자, 태종은 “장차 15년은 돌궐로 인한 문제가 없을 것을 장담한다.”고 했고 정주(定州)에 도착하자 다시 신하들에게 “변방 모퉁이들이(북방과 티베트) 다 평정되었는데 이곳(고구려)만 아직 평정 못해 내가 더 늙기 전에 사대부의 힘을 빌려 이곳을 취하려는 것이다.”고 했다.
이를 보면 우리는 나라를 보호하려 했던 태종의 원모(遠謀)를 알 수 있다. 방현령(方玄齡)이 임종시 한 말은 한때의 평화를 위한 말에 불과했다. 더욱이 당시 연개소문은 야심이 넘쳐 동으로 말갈과 연합하고 남으로는 백제와 연합해 동아시아의 한쪽에서 작은 패권을 쥐고 있으면서 또 당(唐)과 우호관계에 있는 신라를 누차 침범함으로써 천가한(天可汗) 태종의 위엄에 타격을 가하고 있었다. 이 때문에 당(唐)은 장기적 국방을 위해서도 그렇고 천가한(天可汗)의 영도력과 위엄을 지키기 위해서도 고구려를 정벌하지 않을 수 없는 형편이었다. 이를 어찌 “사출무명” 또는 “궁병독무”로 비난할 수 있는가? 역사 연구로 당시 역사적 배경과 국제정세 변화의 핵심 관건을 살피지 않으면 우리는 역사의 진상을 정확히 알 수 없다.
[역자 주: 이곳에서 당(唐)의 고구려 정벌을 합리화하려는 논리는 역사 왜곡에 불과하고 전형적인 제국주의적 침략이론에 불과하다. 중국으로서는 돌궐이나 설연타 정벌은 국방을 위한 조치였다고 볼 수 있지만, 고구려 정벌은 “사출무명” 또는 “궁병독무”로 비난받아야 마땅하다. 화족(華族)이 흉노나 돌궐을 방어하기 위해 장성(長城)을 쌓았지만, 고구려는 유목민족인 흉노나 돌궐같이 중원(中原)을 침입한 적도 없고, 다만 중국과 대등한 외교관계를 추구했을 뿐이다. 정관 5년 백성을 총동원해 동북쪽의 부여성(夫餘城)에서 서남쪽 바다까지 1천리가 넘는 장성(長城)을 쌓은 것이 누구이고 누구의 침략에 대비한 것이었는가? 당(唐) 태종이 동돌궐을 격파 후 소위 천가한(天可汗)이 된 후 자신의 위엄을 인정하기를 주저하는 고구려를 무력으로 굴복시키려 했던 것은 전형적인 제국주의적 침략이었다. 수(隋) 양제의 고구려 침략 역시 마찬가지였다. 이 점에서 당(唐)의 창업 공신 방현령(房玄齡)이 죽기 전 올린 상소는 진정 명문(名文)이었다. 특히 이 상소문에서는 현재 중국의 소위 ‘동북공정(東北工程)’과 관련된 중요한 문구가 포함되어 있다. 근래 중국은 고구려가 중국의 일부로 지방정권에 불과했다고 주장하지만 방현령은 태종의 동정(東征)을 ‘척지개강(拓地開疆)’이라고 표현했다. 고구려가 중국 지방정권이었다면 이를 어찌 ‘척지개강’으로 표현할 수 있겠는가? 당시에도 당(唐)은 고구려를 타국으로 인식하고 있었다는 명확한 증거이다. 방현령이 고구려와 당(唐)의 관계를 ‘신절(臣節)’로 표현한 것은 당시 아시아의 국제질서에서 양국의 특수한 외교관계를 지칭하는 말일 뿐이다.]
작가정보
저자 겸 편집위원 소개
본 번역물의 원서는 중화민국 대만 장개석 총통의 국민당 정부가 대륙에서 대만으로 물러날 당시 동행한 당대 최고의 석학들과 대만 삼군(三軍大學) 교수들이 주축이 되어 중국 상고시대(上古時代)부터 최근 청대(靑代) 이후 태평천국까지 역대 내외 병란을 왕조 및 시대별로 비판적 시각에서 분석하고 정리, 평가해 서술한 것입니다.
장위국(蔣緯國) 삼군대학 교장, 방호(方豪) 대만대학 교수, 도희성(陶希聖) 북경대학 교수, 전목(錢穆) 청화대 교수, 황계륙(黃季陸) 사천대학총장 겸 대만대학 겸임 교수, 진정원(陳廷元) 대만 국립정치대학 국제관계 연구원 등 다수의 필진이 공동으로 저술하였습니다. 1955년 대만 국가적 사업으로 발의해 1972년 초판 발행까지 18년이 소요되었습니다.
번역 민경길
육군사관학교 제30기
전 육군사관학교 법학교수
육군사관학교 및 서울대학교 법학대학 졸업
명지대학교 대학원 졸업(법학박사)
육군사관학교 사회과학처장 역임
국방부 국방개혁위원회 위원 역임
국방부 노근리사건 진상조사위원회 법률자문위원 역임
대한적십자사 국제법 자문위원 역임
주요 저서:《군법개론》, 《핵무기와 국제법》, 《군사법 원론》, 《병법사》(전 4권), 《조선과 중국의 궁술》 외 다수
번역 김종운
육군사관학교 제31기 졸
서울대학교 중문과 졸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졸
육군사관학교 중국어 교수 역임
국방대학교 합참대학 중국전략학 교수 역임
합참 전략과 전략기획장교 역임
보병 제8사단 포병연대장 역임
육군교육사 전법처장 역임
기획재정부 비상계획관 역임
주요저서: 《중국전략론(역)》, 《중국의 군사력》, 중국 배낭여행기 《대장정을 넘어서》, 《자전거로 가는 신열하일기》, 수필집 《꽃편지》 외 다수
이 상품의 총서
Klover리뷰 (0)
-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 리워드는 1,000원 이상 eBook, 오디오북, 동영상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됩니다. (5,000원 이상 상품으로 변경 예정,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은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 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문장수집
-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 수집 등록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리워드는 1,000원 이상 eBook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문장수집 등록 시 제공됩니다. (5,000원 이상 eBook으로 변경 예정,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 / 오디오북·동영상 상품/주문취소/환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최초1회)
- 리워드 제외 상품 : 마이 > 라이브러리 > Klover리뷰 > 리워드 안내 참고
- 콘텐츠 다운로드 또는 바로보기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
가장 와 닿는 하나의 키워드를 선택해주세요.
총 5MB 이하로 jpg,jpeg,png 파일만 업로드 가능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신고 내용은 이용약관 및 정책에 의해 처리됩니다.
허위 신고일 경우, 신고자의 서비스 활동이 제한될 수
있으니 유의하시어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
이 글을 작성한 작성자의 모든 글은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eBook 문장수집은 웹에서 직접 타이핑 가능하나, 모바일 앱에서 도서를 열람하여 문장을 드래그하시면 직접 타이핑 하실 필요 없이 보다 편하게 남길 수 있습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선물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
보유 권수 / 선물할 권수0권 / 1권
-
받는사람 이름받는사람 휴대전화
- 구매한 이용권의 대한 잔여권수를 선물할 수 있습니다.
- 열람권은 1인당 1권씩 선물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이 ‘미등록’ 상태일 경우에만 ‘열람권 선물내역’화면에서 선물취소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의 등록유효기간은 14일 입니다.
(상대방이 기한내에 등록하지 않을 경우 소멸됩니다.) - 무제한 이용권일 경우 열람권 선물이 불가합니다.
첫 구매 시 교보e캐시 지급해 드립니다.

- 첫 구매 후 3일 이내 다운로드 시 익일 자동 지급
- 한 ID당 최초 1회 지급 / sam 이용권 제외
- 구글바이액션을 통해 교보eBook 구매 이력이 없는 회원 대상
- 교보e캐시 1,000원 지급 (유효기간 지급일로부터 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