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한국 역사의 중요 쟁점

역사문화

2023년 11월 24일 출간

(개의 리뷰)
( 0% 의 구매자)
eBook 상품 정보
파일 정보 pdf (5.48MB)
지원기기 교보eBook App, PC e서재, 리더기
교보eBook App 듣기(TTS) 가능
TTS 란?
텍스트를 음성으로 읽어주는 기술입니다.
  • 전자책의 편집 상태에 따라 본문의 흐름과 다르게 텍스트를​ 읽을 수 있습니다.
  • 이미지 형태로 제작된 전자책 (예 : ZIP 파일)은 TTS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PDF 필기가능 (Android, iOS)
소득공제
소장
정가 : 10,000원

쿠폰적용가 9,000

10% 할인 | 5%P 적립

이 상품은 배송되지 않는 디지털 상품이며,
교보eBook앱이나 웹뷰어에서 바로 이용가능합니다.

카드&결제 혜택

  • 5만원 이상 구매 시 추가 2,000P
  • 3만원 이상 구매 시, 등급별 2~4% 추가 최대 416P
  •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추가 최대 200원

작품소개

이 상품이 속한 분야

한국사의 중요 쟁점은 조선왕조를 보는 시각이다. 조선왕조가 일제에게 망해 식민지가 된 원인이 무엇인가. 이를 찾다보니 조선왕조를 못난 나라라고 당연시 하게 되었다. 그리고 조선왕조를 이끌어온 유교사상을 부정적으로 보게 되었다. 유교사상 때문에 망했다는 논리였다. 그리고 유교 성리학을 고집하던 성리학자를 비판하고 부정적으로 보게 되었다.
소위 식민지사관이라고 비판하던 사관을 우리 스스로 받아들이고 있었다. 식민지사관의 핵심은 조선왕조를 못난나라라고 부정하는 것이고 조선왕조를 이끌어가던 사상 성리학을 부정하는 것이었다. 소위 쓸데 없이 예송같은 당쟁이나 하다가 망했다는 것이다. 그래서 실학이 나와 개혁해 보려다 세력이 미미해 망해버렸다는 것이다.
그래서 이렇게 조선왕조를 성리학을 부정적으로 보는 시각을 바꾸지 않고는 한국 역사를 올바로 쓸 수 없었다. 그래서 우선 당쟁이나 하다 망했다는 시각을 고쳐야 했다. 당쟁의 핵심은 1년상이냐 3년상이냐 가지고 싸우는 예송이었다. 그래서 예송을 쓸데없는 논쟁이 아니라 헌법같은 종법을 모든 사람이 지키느냐 편법으로 적용하느냐 하는 논쟁이었다. 그리고 농업공동체를 운영하는 원리인 종법을 지키으냐 안지키는가 하는 논쟁이었다. 그래서 붕당정치가 발달하였고 이상사회를 만들기 위해 성리학자인 선비들이 나와 선비정신을 키우며 붕당정치를 해나간 것이다. 그래서 삼강에 어긋나면 정계에서 밀려나고 삼강의 원칙을 지킨 세력이 조선왕조를 끌고 나간 것이다.
다음은 성리학이냐 실학이냐하는 논쟁이다. 세계최고수준의 문화는 세계최고수준의 철학 사상이 만들어 내는 것이다. 성리학은 중국이 세계를 이끌어가는 송원명청 시대를 이끌어가는 철학 사상이었다. 그래서 세종대는 주자성리학을 받아들여 연구한 집현전 학자들이 조선전기를 세계최고수준의 나라를 만들었고, 조선후기는 퇴계 율곡이 완성한 조선성리학이 양란을 극복하고 영정조 문예부흥기를 만든 것이다. 실학이 영정조 문예부흥기를 만든 것이 아니다. 한류를 불러 일으키고 잇는 우리의 수준 높은 고유문화는 모두 조선성리학을 바탕으로 영조 정조시기에 완성되었다.
이러한 이상사회를 만들기 위해, 국산 비료를 개발하여 생산력을 향상하는 비옥한 농토를 만들고, 대동법 균역법을 시행하여 모든 국민이 잘사는 이상사회를 만들었던 것이다. 이를 주도했던 것이 정통성리학자들인 우암 송시열을 비롯한 조선성리학자들이었다.
이러한 시각은 기존 식민지사관이 만들어 놓은 조선부정론 성리학 부정론을 근본적으로 뒤집는 정반대로 뒤집는 시각이다. 그래서 정치 사회경제 문화 사상 모든 면에서 중요 쟁점이 되어 논쟁이 되고 있는 것이다. 본 저자는 1980년부터 2020년까지 40년을 이러한 쟁점을 해결하기 위해 100편이 넘는 논문을 쓰고 100여권의 책을 저술하였다. 그러나 학계는 아직도 조선 부정론 성리학 부정론을 고수하고 있는 것 같아 이런 쟁점의 핵심인 글들을 모아 한권의 책으로 만들어 보았다. 강호 제현의 아낌없는 질정을 바란다.

제1편 조선시대 정치사의 쟁점
조선왕조의 정치는 당쟁이나 일삼았던 정치로 민생은 안돌보고 권력쟁탈이나 하고 민생을 피페하게 만들었던 정치로 연구되어 왔다.
이런 당쟁의 핵심에 예송이 있었고, 삼강오륜이라는 유교 윤리를 고집하는 정치가 있었다고 연구되어 왔다.
이러한 시각을 극복하기위해서는 예송이 1년상 3년상 이라는 쓸데없는 논쟁을 하던 것이 아니라, 종법(宗法)에 따라 왕위계승을 하고 사회구성을 해야한다는 것을 밝히는 헌법 논쟁이었다는 것을 밝히는 것이 주요하였다.
그리고 조선왕조는 성리학 이념에 따라 이상사회를 이루려는 정치였다는 것을 밝히는 것이 주요하였다. 그래서 성리학의 주요 이념이었던 삼강(三綱)을 어기면 정계에서 퇴출되고 이를 지켰던 세력이 조선왕조 500년을 이끌어 가며 이상사회를 이루려고 했다는 것을 밝히는 것이 주요하였다.
이런 시각은 이전 연구와는 정반대되는 시각이라 첫 번째 쟁점으로 정리해 보았다.
제2편 사회경제사의 쟁점
조선시대 사회경제사는 성리학자들이 보수적으로 정책을 진행해서 민생이 악화되었다고 연구를 하였다.
목차
서문
차례
개관

제1편 조선시대 정치사의 쟁점 ----------------------------- 15
제1장 조선시대 조(祖)와 종(宗)은 어떻게 쓰였는가 -16
제2장 조선시대 정치사와 삼강(三綱) ------------------- 50
제3장 조선후기 예송(禮訟) 연구 ------------------------- 72

제2편 조선시대 사회경제사의 ------------------------------ 138
제1장 조선전기 國田體制 확립과정 -------------------- 139
제2장 우암 송시열의 사회경제사상 ------------------- 173

제3편 조선시대 사상사의 쟁점 ----------------------------- 197
제1장 조선후기 실학연구의 문제점과 방향 --------- 198
제2장 주자성리학과 조선성리학의 차이 ------------- 254
제3장 성리학 변천과 경연과목 -------------------------- 260

제4편 문화사의 쟁점 ------------------------------------------ 304
제1절 조선후기문화의 우수성 --------------------------- 305
제2절 조선시대 왕실문화 --------------------------------- 310
제5편 총결론 - 한국역사의 중요쟁점 -------------------- 317

작가정보

저자(글) 지두환 저자

약력성명 : 지두환(池斗煥)생년 : 1953년 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명예교수 E-MAIL : jdhwan@kookmin.ac.kr 자택 : 서울특별시 성북구 정릉동 716-21 태웅빌라 303호 핸드폰 010-4623-9788학력 :1973.3.-78.8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 문학사1979.3.-81.2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사학과 문학석사1982.3.-90.2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사학과 문학박사1978.09 - 1982.08 한국고등교육재단 태동고전연구소 漢學硏修修了 경력 :1982.3.2 부산대학교 인문대학 사학과 전임강사1985.4.1 부산대학교 인문대학 사학과 조교수1990.4.1 부산대학교 인문대학 사학과 부교수1994.9.1 국민대학교 문과대학 국사학과 부교수2018.8.31 국민대학교 정년퇴임*** 주요 논문 1990. 「朝鮮前期 國家儀禮硏究」 - 朱子學 수용과정과 관련하여 - 『서울대박사학위논문』 1984 「朝鮮前期 宗法制度의 이해과정」 『泰東古典硏究』 창간호. p.59~1041987 「朝鮮後期 實學硏究의 問題點과 方向」 『泰東古典硏究』 3. p.103~1481987 「朝鮮後期 禮訟硏究」 『釜大史學』 11. p.77~1251991 「朝鮮後期 陽明學의 受容과 展開」 『國史館論叢』 22 p.165~1871996 「朝鮮後期 經筵科目의 變遷」 『韓國學論叢』 18 p.31-631999 「尤庵 宋時烈의 社會經濟思想」 『韓國學論叢』 21 (국민대)2010「조선후기 병자호란 충신열사에 대한 현창정책」 『韓國學論叢』 34 (국민대) p.795-8202012「율곡 이이의 생애와 사상」『韓國學論叢』 38 (국민대) p.161-2002015「河寧君 李穰의 家系와 政治活動」『韓國學論叢』 44 (국민대) p.189-2152016「선원 김상용의 家系와 政治活動」『韓國學論叢』 46 (국민대) p.-1. 저서 1994.08.30. 『朝鮮前期 儀禮硏究』 (서울대출판부) 350 쪽1998.07.11. 『조선시대 사상사의 재조명』 (역사문화)1999.09.10. 『한국사상사』 (역사문화)2002.12.26. 『장희빈』(역사문화) 2005.09.01. 『세계문화유산 종묘이야기』(집문당) 2009.03.03. 『우암 송시열 평전』 1,2,3 (역사문화) 2009.05.20. 『조선성리학과 문화』 (역사문화) 2013.09.25. 『조선시대 정치사 1,2,3』 (역사문화)2014.05.07. 『왕실친인척과 조선정치사』 (역사문화)2014.08.29. 『영조의 딸과 사위』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6.10.05. 『청음 김상헌』 (역사문화) 01: 1999.02.23. 『태조대왕과 친인척』 (역사문화) 02: 1999.09.21. 『정종대왕과 친인척』 (역사문화) 03: 2008.08.14. 『태종대왕과 친인척』 1-세가 (역사문화)04: 2008.08.14. 『태종대왕과 친인척』 2-왕비 (역사문화)05: 2008.08.14. 『태종대왕과 친인척』 3-왕비 (역사문화)06: 2008.08.14. 『태종대왕과 친인척』 4-후궁 (역사문화)07: 2008.08.14. 『태종대왕과 친인척』 5-후궁 (역사문화)08: 2008.08.14. 『태종대왕과 친인척』 6-후궁 (역사문화)09: 2008.08.08. 『세종대왕과 친인척』 1-세가 (역사문화)10: 2008.08.08. 『세종대왕과 친인척』 2-왕비 (역사문화)11: 2008.08.08. 『세종대왕과 친인척』 3-왕비 (역사문화)12: 2008.08.08. 『세종대왕과 친인척』 4-후궁 (역사문화)13: 2008.08.08. 『세종대왕과 친인척』 5-후궁 (역사문화)14: 2008.08.08. 『문종대왕과 친인척』 1-왕과비 (역사문화)15: 2008.08.08. 『문종대왕과 친인척』 2-후궁 (역사문화)16: 2008.08.08. 『단종대왕과 친인척』 (역사문화)17: 2008.10.06. 『세조대왕과 친인척』 (역사문화)18: 2008.11.

이 상품의 총서

Klover리뷰 (0)

Klover리뷰 안내
Klover(Kyobo-lover)는 교보를 애용해 주시는 고객님들이 남겨주신 평점과 감상을 바탕으로,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는 교보문고의 리뷰 서비스입니다.
1. 리워드 안내
구매 후 90일 이내에 평점 작성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 리워드는 1,000원 이상 eBook, 오디오북, 동영상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됩니다.
  •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은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 운영 원칙 안내
Klover리뷰를 통한 리뷰를 작성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자유로운 의사 표현의 공간인 만큼 타인에 대한 배려를 부탁합니다. 일부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불편을 끼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아래에 해당하는 Klover 리뷰는 별도의 통보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 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문장수집

문장수집 안내
문장수집은 고객님들이 직접 선정한 책의 좋은 문장을 보여 주는 교보문고의 새로운 서비스 입니다. 교보eBook 앱에서 도서 열람 후 문장 하이라이트 하시면 직접 타이핑 하실 필요 없이 보다 편하게 남길 수 있습니다. 마음을 두드린 문장들을 기록하고 좋은 글귀들은 ‘좋아요’ 하여 모아보세요. 도서 문장과 무관한 내용 등록 시 별도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리워드 안내
  •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 수집 등록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리워드는 1,000원 이상 eBook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문장수집 등록 시 제공됩니다.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 / 오디오북·동영상 상품/주문취소/환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신간 알림 안내
    한국 역사의 중요 쟁점 웹툰 신간 알림이 신청되었습니다.
    신간 알림 안내
    한국 역사의 중요 쟁점 웹툰 신간 알림이 취소되었습니다.
    리뷰작성
    •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최초1회)
    • 리워드 제외 상품 : 마이 > 라이브러리 > Klover리뷰 > 리워드 안내 참고
    • 콘텐츠 다운로드 또는 바로보기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
    감성 태그

    가장 와 닿는 하나의 키워드를 선택해주세요.

    사진 첨부(선택) 0 / 5

    총 5MB 이하로 jpg,jpeg,png 파일만 업로드 가능합니다.

    신고/차단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신고 내용은 이용약관 및 정책에 의해 처리됩니다.

    허위 신고일 경우, 신고자의 서비스 활동이 제한될 수
    있으니 유의하시어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


    이 글을 작성한 작성자의 모든 글은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문장수집 작성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eBook 문장수집은 웹에서 직접 타이핑 가능하나, 모바일 앱에서 도서를 열람하여 문장을 드래그하시면 직접 타이핑 하실 필요 없이 보다 편하게 남길 수 있습니다.

    P.
    한국 역사의 중요 쟁점
    저자 모두보기
    저자(글)
    낭독자 모두보기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프리미엄 이용권입니다.
    선물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
    sam 열람권 선물하기
    • 보유 권수 / 선물할 권수
      0권 / 1
    • 받는사람 이름
      받는사람 휴대전화
    • 구매한 이용권의 대한 잔여권수를 선물할 수 있습니다.
    • 열람권은 1인당 1권씩 선물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이 ‘미등록’ 상태일 경우에만 ‘열람권 선물내역’화면에서 선물취소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의 등록유효기간은 14일 입니다.
      (상대방이 기한내에 등록하지 않을 경우 소멸됩니다.)
    • 무제한 이용권일 경우 열람권 선물이 불가합니다.
    이 상품의 총서 전체보기
    네이버 책을 통해서 교보eBook 첫 구매 시
    교보e캐시 지급해 드립니다.
    교보e캐시 1,000원
    • 첫 구매 후 3일 이내 다운로드 시 익일 자동 지급
    • 한 ID당 최초 1회 지급 / sam 이용권 제외
    • 네이버 책을 통해 교보eBook 구매 이력이 없는 회원 대상
    • 교보e캐시 1,000원 지급 (유효기간 지급일로부터 7일)
    구글북액션을 통해서 교보eBook
    첫 구매 시 교보e캐시 지급해 드립니다.
    교보e캐시 1,000원
    • 첫 구매 후 3일 이내 다운로드 시 익일 자동 지급
    • 한 ID당 최초 1회 지급 / sam 이용권 제외
    • 구글북액션을 통해 교보eBook 구매 이력이 없는 회원 대상
    • 교보e캐시 1,000원 지급 (유효기간 지급일로부터 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