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방송통신대학교 50년사
2023년 02월 01일 출간
- eBook 상품 정보
- 파일 정보 PDF (151.25MB)
- ISBN 9788920045486
- 지원기기 교보eBook App, PC e서재, 리더기, 웹뷰어
-
교보eBook App
듣기(TTS) 가능
TTS 란?텍스트를 음성으로 읽어주는 기술입니다.
- 전자책의 편집 상태에 따라 본문의 흐름과 다르게 텍스트를 읽을 수 있습니다.
- 이미지 형태로 제작된 전자책 (예 : ZIP 파일)은 TTS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PDF 필기가능 (Android, iOS)

정가 100,000원
5%P 적립이 상품은 배송되지 않는 디지털 상품이며,
교보eBook앱이나 웹뷰어에서 바로 이용가능합니다.
카드&결제 혜택
- 5만원 이상 구매 시 추가 2,000P
- 3만원 이상 구매 시, 등급별 2~4% 추가 최대 416P
-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추가 최대 200원
작품소개
이 상품이 속한 분야
《한국방송통신대학교 50년사》
방송대 50년의 발자취를 담은 방송대 50년사의 본 책 1권은 50년 역사의 발전 과정을 기록함과 동시에 미래 비전을 제시하고 있다. 본 책 2권 사진 화보집에서는 방송대 50년의 이야기를 화보로 꾸몄다. 국‧영문 요약집은 방송대의 역사를 요약해, 대중의 접근성을 높이는 데 초점을 맞췄다.
1권 제1편 ‘빛나는 도전 50년’은 개교 후 방송대 역사를 통사로 정리했다. 제2편 ‘분야별 최근 10년사’는 총론, 교수‧연구 활동, 학사행정과 학습지원, 교육지원 체제, 학생의 변화 등으로 나누어 최근 10년간의 변화상을 담았다. 제3편 ‘학교조직’에는 교육조직, 행정조직, 교육기본시설, 부속 시설과 연구소 및 법인, 13개 지역대학의 최근 10년의 활동상을 담았다. 제4편 ‘성과와 과제, 비전’에는 방송대 최근 10년의 성과와 향후 10년의 비전을 수록했다.
2권의 사진화보집은 방송대 개교 50주년 기념 특별전시회와 연동하여 도입부와 5개의 특별 주제로 구성했다. 제1편 ‘대학 캠퍼스’는 대학 본부의 각 시설과 13개 지역대학의 캠퍼스 변화상을 비교해 수록했다. 제2편의 ‘빛나는 도전 50년’은 방송대 50년을 준비기, 생성기, 융성기, 모색기, 전환기로 나누어 시기별 사진을 연대별로 수록했고, 제3편 즐거운 대학 생활은 입학‧수업‧시험‧학생 자치활동‧축제‧졸업 등으로 학사 생활을 구분해 변화되는 모습을 담았다. 제4편 다양한 교육매체에서는 오디오 강의, TV 강의, 웹 및 멀티미디어 강의에 대한 내용을, 제5편은 국제 교류 협력 부분을 담았다.
제 1 편 | 빛나는 도전 50년 40
제1장 아시아 최초 ‘Open University’의 구상과 창설 45
제1절 한국 사회에서 ‘방송통신대학’ 모델의 기원 46
제2절 ‘서울대학교 부설 한국방송통신대학’의 개교 57
1. 2년제 초급대학(전문학사) 과정 운영 : 성인계속교육 요구의 수용 57
2. 대학자강(大學自强)에 의한 방송통신교육 제도 구축 58
3. 방송통신교육 제도의 특색에 따른 부속기구 및 부속시설의 설치 · 운영 63
4. 학생 선발과 졸업 66
제3절 대학 창설기의 교육적 성취 68
제2장 국립 원격고등교육 중추로서 제도 발전 71
제1절 4년제 종합대학 체제로의 제도적 발전 74
1. 독자적 학위 수여(5년제) 대학으로 승격 74
2. 4년제 종합대학 체제로의 재정비 80
3. 국내 최초 원격 대학원의 등장 : 평생대학원 개설 82
제2절 세계 수준의 ‘Mega-University’ 대열로 도약 : 교육체제의 확충 86
1. 출석수업을 위한 지역학습관의 이전과 증축 87
2. 방송교육(TV, 라디오, 녹음) 등을 통한 교육매체의 선진화 추구 92
3. 부속시설 및 부속기구의 재정비 93
4. 독학학위제도의 위탁 운영 94
5. 비학위과정의 개설 · 운영 94
6. 가상교육지원센터 설치 · 운영 95
7. 첨단종합정보통신망 구축 96
제3절 고등교육 기회 확대의 성과와 극복 과제 98
1. 열린 고등교육 기회의 확대 98
2. 대학 자력 기반 성장과 교육개혁의 과제 : “궁벽(窮僻)에서 핀 꽃” 103
3. 양적 성장 이면에 불거진 대학 정체성 논쟁 108
제3장 ‘원격 · 평생학습 메카’로서의 대학 이념 재정립 111
제1절 대내외적 교육환경의 변화 113
1. 고등교육과 평생교육 영역의 중첩 : 원격 형태 고등 평생학습의 보편화 113
2. 방송대 학습자 및 학습자 요구의 다변화 117
제2절 대학 이념의 패러다임 전환 : ‘차세대 대학발전 모델’과 ‘비전 2022’ 124
1. 2000년대 중반까지의 대학 발전계획 개관 124
2. 차세대 방송대 대학발전 모델의 구상(2005) 132
3. 방송대 ‘비전 2022’ 선포(2012) 135
제3절 스마트 러닝 시대, 고등평생학습 허브 대학의 전망 138
1. 방송대 국정과제의 구상과 추진 138
2. 성과와 전망 : 고등평생학습의 허브로서 지속 가능한 미래 145
제4장 고등평생학습 시대, 원격고등교육 중추로서 재도약 151
제1절 대학 이념의 재정립 : 방송통신대법 제정의 역사적 의미 152
제2절 ‘평생교육의 생태계를 조성하는 개방형 플랫폼’의 지향과 구축 156
제3절 지속 가능한 대학의 미래를 위한 조망과 전망 162
제 2 편 | 분야별 최근 10년사 166
제1장 총론 : 교육환경의 변화 169
제1절 인구 감소의 여파 170
제2절 지방자치 권한의 확대 172
제3절 글로벌화의 진전 175
제4절 원격고등교육의 확산 177
제5절 고등교육 참여 기회의 다양화 179
제6절 제4차 산업혁명과의 접속 181
제7절 한국방송통신대학교의 역할 분담 183
제2장 교수 · 연구 활동의 변화 185
제1절 교수활동의 변화 186
1. 교수설계 역량 강화 187
2. 상호작용성 강화 189
3. TV 강의 배정 조정 191
4. 멀티미디어 강의 확대 192
5. 웹 강의 확대 194
6. 모바일 러닝 확대 196
7. 온택트 러닝 확대 197
8. 출석수업 시험 등 평가 방법 변경 199
9. 학습자 및 교과목 관련 정보 제공 202
10. TA 및 튜터 제도 운영 204
제2절 연구활동의 변화 206
1. 연구성과 206
2. 연구활동 지원제도 216
제3장 학사행정과 학습지원의 변화 223
제1절 학사행정의 변화 224
1. 단과대학 224
2. 대학원 231
제2절 학습지원의 변화 233
1. 단과대학 233
2. 대학원 236
제4장 교육 지원체제의 변화 237
제1절 교육정보화본부 : 맞춤형 정보서비스 체제 구축 240
1. 교육 정보화의 주역으로 발돋음 240
2. 새로운 교육정보 서비스 개발 241
3. 성과와 과제 245
제2절 디지털미디어센터(DMC) : 인터넷 강의의 정착 246
1. 매체 제작 및 콘텐츠 제공 방식의 변화 246
2. 조직, 매체 제작 시설, 제작 편수의 변화 248
3. 학교기업 ㈜케이엔오유미디어랩 설립 250
4. 성과와 과제 251
제3절 중앙도서관 : 원격대학의 도서관 역할 정립 252
1. 중앙도서관의 학술정보 서비스 강화 252
2. 도서관 학술정보시스템의 고도화 253
3. 이용자 편의 및 학습지원 기능 강화 255
4. 성과와 과제 257
제4절 원격교육연구소 : 방송대 교육 정책의 미래 설계 258
1. 원격고등교육을 선도하는 방송대 싱크탱크 258
2. 정책연구의 관리 및 수행 260
3. 교수학습 지원 262
4. 원격 · 평생교육 학술 활동 및 교류 264
5. 성과와 과제 266
제5장 학생의 변화 269
제1절 단과대학과 프라임칼리지 270
1. 단과대학 270
2. 프라임칼리지 학위과정 281
제2절 대학원과 경영대학원 285
1. 대학원 285
2. 경영대학원 287
제 3 편 | 학교조직 290
제1장 교육조직 293
제1절 단과대학과 프라임칼리지 294
1. 인문과학대학 294
1) 국어국문학과 294
2) 영어영문학과 297
3) 중어중문학과 302
4) 프랑스언어문화학과 310
5) 일본학과 313
2. 사회과학대학 318
1) 법학과 318
2) 행정학과 322
3) 경제학과 326
4) 경영학과 331
5) 무역학과 335
6) 미디어영상학과 338
7) 관광학과 343
8) 사회복지학과 347
3. 자연과학대학 351
1) 농학과 351
2) 생활과학부 355
3) 컴퓨터과학과 362
4) 통계 · 데이터과학과 367
5) 보건환경학과 372
6) 간호학과 377
4. 교육과학대학 381
1) 교육학과 381
2) 청소년교육과 386
3) 유아교육과 391
4) 문화교양학과 395
5) 생활체육지도과 400
5. 프라임칼리지 403
1) 융합경영학부 403
2) 첨단공학부 408
제2절 대학원과 경영대학원 414
1. 문예창작콘텐츠학과 415
2. 실용영어학과 418
3. 실용중국어학과 424
4. 아프리카 · 불어권언어문화학과 429
5. 일본언어문화학과 433
6. 법학과 436
7. 행정학과 440
8. 영상문화콘텐츠학과 443
9. 사회복지학과 446
10. 농업생명과학과 450
11. 생활과학과 454
12. 정보과학과 458
13. 이러닝학과 461
14. 바이오정보 · 통계학과 465
15. 환경보건시스템학과 469
16. 간호학과 472
17. 평생교육학과 476
18. 청소년교육학과 480
19. 유아교육학과 483
20. 경영대학원 486
제2장 행정부서 493
제1절 교무처 494
1. 교무과 494
2. 학사운영과 497
제2절 학생처 501
1. 학생과 501
2. 입학학적과 506
3. 학생통합서비스센터 508
제3절 기획처 511
1. 기획평가과 511
2. 대외협력홍보과 514
제4절 사무국 517
1. 행정지원과 517
2. 재정지원과 522
3. 시설지원과 525
제5절 행정실 529
1. 단과대학 529
2. 프라임칼리지 531
3. 대학원 534
제6절 교육정보화본부 537
제3장 기본시설과 부속시설 등 545
제1절 기본시설 : 중앙도서관 546
제2절 부속시설 550
1. 디지털미디어센터 550
2. 교양교육원 557
3. 국제협력단 560
4. 평생교육원 564
5. 역사기록관 565
6. 산학협력단 569
7. 종합교육연수원 574
8. 인재개발원 576
제3절 연구시설 579
1. 원격교육연구소 579
2. 통합인문학연구소 583
제4절 법인 및 기타 586
1. 출판문화원 586
※ 학보사 592
2. 발전기금재단 597
3. 소비자생활협동조합 600
4. 캠퍼스타운사업추진단 603
제4장 지역대학 607
제1절 서울지역대학 608
제2절 부산지역대학 614
제3절 대구 · 경북지역대학 619
제4절 인천지역대학 627
제5절 광주 · 전남지역대학 634
제6절 대전 · 충남지역대학 639
제7절 울산지역대학 644
제8절 경기지역대학 648
제9절 강원지역대학 654
제10절 충북지역대학 662
제11절 전북지역대학 667
제12절 경남지역대학 674
제13절 제주지역대학 681
제 4 편 | 성과와 과제, 비전 688
제1장 최근 10년의 성과와 과제 691
제1절 교육환경의 변화와 방송대가 개척해온 아름다운 사명 692
제2절 교육조직의 성과와 과제 694
1. 단과대학 694
2. 프라임칼리지 704
3. 대학원 706
제3절 교수 · 연구 활동의 성과와 과제 714
1. 교수활동과 방송대학TV 활용방안 모색 714
2. 연구활동 715
제4절 학사행정 및 학습지원 업무의 성과와 과제 717
제5절 교육 지원체제의 성과와 과제 719
1. 디지털미디어센터 : 인터넷 강의의 산실 719
2. 교육정보화본부 : 맞춤형 교육정보 서비스체제의 중심 720
3. 중앙도서관 : 원격대학 학술정보 서비스의 거점 721
4. 원격교육연구소 : 대한민국 원격평생교육 연구의 본산 723
제6절 학생 지원제도의 성과와 과제 724
제7절 방송대 앞에 놓인 도전과 응전, 반성과 성찰 728
제2장 ‘비전 2032’ 새로운 50년의 첫걸음 731
제1절 방송대 비전 및 발전계획의 역사 732
1. 제1기(1972~1993) 732
2. 제2기(1994~2004) 736
3. 제3기(2005~2019) 743
제2절 ‘비전 2032’ 및 중장기 발전전략 754
1. ‘비전 2032’ 수립 추진 배경 및 과정 754
2. 환경 변화 분석 및 전략 구축 760
3. ‘비전 2032’ 체계와 발전전략 767
부록 777
1. 예산 현황(1972~2021학년도) 779
2. 학생 지원 현황(2013~2022학년도) 780
3. 졸업 현황(2012~2021학년도) 788
4. 프라임칼리지 학생 현황 790
5. 교직원 명단 790
6. 기타 명단 814
7. 방송대 연혁 및 주요 연표 827
8. 한국방송통신대학교 50년사 필진 명단 850
<제2권 사진으로 보는 한국방송통신대학교 50년사>
프롤로그 4
심볼 마크와 캐릭터 4
교기 5
학생증 6
졸업장 7
학보 8
교가 10
방송대를 이끌어 온 역대 총(학)장 12
제 1 편 | 대학 캠퍼스 16
01. 대학 본부 18
02. 지역대학 32
제 2 편 | 빛나는 도전 50년 50
01. 준비기(1968~1972) 52
02. 생성기(1972~1980) 59
03. 융성기①(1981~1991) 82
04. 융성기②(1992~2001) 89
05. 모색기(2002~2012) 104
06. 전환기(2013~2022) 118
제 3 편 | 즐거운 대학 생활 130
01. 입학 134
02. 출석수업과 공부 138
03. 시험 141
04. 학생 자치활동 145
05. 축제와 행사 150
06. 졸업 159
제 4 편 | 다양한 교육매체 164
01. 대학교재 166
02. 오디오 강의 168
03. TV 강의 170
04. 웹/멀티미디어 강의 173
제 5 편 | 국제 교류 협력 176
01. 국제학술대회 180
02. 유네스코-유니트윈 및 국제활동 기구 183
03. 국제행사 및 학생 교류 186
<제3권 간추려서 보는 한국방송통신대학교 50년사>
제 1 장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소개 6
1. 대학 설립 취지와 목적 9
2. KNOU 비전 2032 10
3. 대학 기구와 조직 12
4. 대학 상징물 16
5. 지표로 보는 방송대 50년 18
단과대학: 신·편입생 지원자 수 변화 추이 18
단과대학: 졸업생 수 변화 추이 18
프라임칼리지: 금융서비스학부 학생 수 변화 추이 19
프라임칼리지: 첨단공학부 학생 수 변화 추이 19
대학원: 재학생 수 변화 추이 20
대학원: 졸업생 수 변화 추이 20
일반현황: 연도별 교직원 수 변화 추이 21
일반현황: 연도별 예산 추이(1972~2021) 21
6. 방송대를 이끌어 온 역대 총(학)장 22
7. 방송대 캠퍼스 26
제 2 장 빛나는 도전 50년 36
□ 서술의 관점 38
1. 아시아 최초 ‘Open University’의 구상과 창설(생성기 : 1968~1980) 39
1) 설립 준비기(1968~1972) 39
2) 창설기(1972~1980) 45
3) 대학 창설기의 교육적 성취 53
2. 국립 원격고등교육 중추로서 제도 발전(융성기 : 1981~2001) 55
1) 4년제 종합대학 체제로의 제도적 발전 57
2) 세계 수준의 ‘Mega University’ 대열로 도약: 교육체제의 확충 63
3) 고등교육 기회 확대의 성과와 극복 과제 71
3. ‘원격·평생학습 메카’로서의 대학 이념 재정립(모색기 : 2001~2012) 75
1) 대내외적 교육환경의 변화 77
2) 대학 이념의 패러다임 전환 : 차세대 대학발전 모델과 ‘비전 2022’ 082
3) 스마트 러닝 시대, 고등평생학습 허브 대학의 전망 087
4) 평생대학원의 성장과 대학원으로의 명칭 변경 092
4. 고등평생학습 시대 원격고등교육 중추로서 재도약(전환기 : 2013~2022) 094
1) 대학 이념의 재정립 : 방송통신대법 제정의 역사적 의미 95
2) 평생교육의 생태계를 조성하는 개방형 플랫폼의 지향과 구축 96
3) 지속 가능한 대학의 미래를 위한 조망과 전망 101
<A brief History of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Chapter 01. Introduction of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6
1. Founding Spirit and Purpose of KNOU 9
2. KNOU Vision 2032 10
3. Institutes and Organizations of KNOU 12
4. Symbols of KNOU 016
Symbol Mark 16
Character 16
Alma Mater 17
5. KNOU’s 50 Years in Indicators 18
Changes in the Number of Applicants for New Freshmen and Newly Transfer Students for Undergraduate 18
Changes in the Number of Graduates for Undergraduate Courses 18
Changes in the Number of Students at the Division of Finance and Service Management of Prime College 19
Changes in the Number of Students at the Division of Advanced Engineering of Prime College 19
Changes in the Number of Enrolled Students for Graduate Courses 20
Changes in the Number of Graduates for Graduate Courses 20
Changes in the Number of Faculties and Staffs 21
Changes in the Budget by Year(1972-2021) 21
6. Former and Present Deans and Presidents of KNOU 22
7. KNOU Campus Guide 26
Headquarters 26
Regional Campus 28
Chapter 02. 50 Years of Shining Challenges 36
□ The Viewpoint of the History
1. Planning and Founding of the First ‘Open University’ in Asia(Beginning Phase: 1968-1980) 39
1) Preparatory Period(1968-1972) 39
2) Foundation Period(1972-1980) 44
3) Educational Achievements During the University Foundation Period 53
2. Institutional Development as the Backbone of National Higher Distance Education(Prosperity Phase: 1981-2001) 55
1) Institutional Development into a Four-year University System 57
2) Making Progress as One of the World-Class ’Mega-University’: Expansion the Education System 63
3) Remarkable Achievements of Expanding Opportunities for Higher Education and Challenges 71
3. Redefinition of KNOU’s Philosophy as ‘a Mecca for Distance and Lifelong Learning’(Reorientation Phase: 2002-2012) 75
1) Changes in the Internal and External Education Environment 77
2) The Paradigm Shift in University Philosophy: The Next Generation KNOU Development Model and ‘Vision 2022’ 82
3) The Area of Smart Learning, the Prospects for the Hub University of Higher Lifelong Learning 87
4) Growth of a Lifelong Graduate School and Rename it to Graduate School 92
4. The Age of Higher Lifelong Learning Taking a Leap Again as a Backbone of Distance Higher Education(Transition Phase: 2013-2022) 94
1) Re-establishment of University Philosophy: the Enactment of the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Act and the Spread of COVID-19 95
2) The Pursue and Establishment of the ‘Open Platform to Create an Ecosystem of Lifelong Education’ 96
3) Prospects and Outlooks for the Sustainable University 101
작가정보
저자(글) 한국방송통신대학교 50년사 집필자 총 79인
이 상품의 총서
Klover리뷰 (0)
-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 리워드는 1,000원 이상 eBook, 오디오북, 동영상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됩니다. (5,000원 이상 상품으로 변경 예정,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은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 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문장수집
-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 수집 등록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리워드는 1,000원 이상 eBook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문장수집 등록 시 제공됩니다. (5,000원 이상 eBook으로 변경 예정,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 / 오디오북·동영상 상품/주문취소/환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최초1회)
- 리워드 제외 상품 : 마이 > 라이브러리 > Klover리뷰 > 리워드 안내 참고
- 콘텐츠 다운로드 또는 바로보기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
가장 와 닿는 하나의 키워드를 선택해주세요.
총 5MB 이하로 jpg,jpeg,png 파일만 업로드 가능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신고 내용은 이용약관 및 정책에 의해 처리됩니다.
허위 신고일 경우, 신고자의 서비스 활동이 제한될 수
있으니 유의하시어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
이 글을 작성한 작성자의 모든 글은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eBook 문장수집은 웹에서 직접 타이핑 가능하나, 모바일 앱에서 도서를 열람하여 문장을 드래그하시면 직접 타이핑 하실 필요 없이 보다 편하게 남길 수 있습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선물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
보유 권수 / 선물할 권수0권 / 1권
-
받는사람 이름받는사람 휴대전화
- 구매한 이용권의 대한 잔여권수를 선물할 수 있습니다.
- 열람권은 1인당 1권씩 선물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이 ‘미등록’ 상태일 경우에만 ‘열람권 선물내역’화면에서 선물취소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의 등록유효기간은 14일 입니다.
(상대방이 기한내에 등록하지 않을 경우 소멸됩니다.) - 무제한 이용권일 경우 열람권 선물이 불가합니다.
첫 구매 시 교보e캐시 지급해 드립니다.

- 첫 구매 후 3일 이내 다운로드 시 익일 자동 지급
- 한 ID당 최초 1회 지급 / sam 이용권 제외
- 구글바이액션을 통해 교보eBook 구매 이력이 없는 회원 대상
- 교보e캐시 1,000원 지급 (유효기간 지급일로부터 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