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음종합영어 제3-4권 지속음(continuant)
2022년 10월 21일 출간
- eBook 상품 정보
- 파일 정보 PDF (69.60MB)
- ISBN 9791188917891
- 지원기기 교보eBook App, PC e서재, 리더기, 웹뷰어
-
교보eBook App
듣기(TTS) 가능
TTS 란?텍스트를 음성으로 읽어주는 기술입니다.
- 전자책의 편집 상태에 따라 본문의 흐름과 다르게 텍스트를 읽을 수 있습니다.
- 이미지 형태로 제작된 전자책 (예 : ZIP 파일)은 TTS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PDF 필기가능 (Android, iOS)

판매가 20,000원
78% 할인 | 열람기간 : 10일쿠폰적용가 81,000원
10% 할인 | 5%P 적립이 상품은 배송되지 않는 디지털 상품이며,
교보eBook앱이나 웹뷰어에서 바로 이용가능합니다.
카드&결제 혜택
- 5만원 이상 구매 시 추가 2,000P
- 3만원 이상 구매 시, 등급별 2~4% 추가 최대 416P
-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추가 최대 200원
작품소개
이 상품이 속한 분야
제1장 지속음의 개요
1. 지속음의 개념
가. 지속음의 개념
접촉음 중에서 정지음과 대비되는 발음방법인 지속음(continuant)에 대해 알아봐요.
위에서 정지음과 대비되는 접촉음의 하나에 해당하는 지속음에 대해 잠시 알아 봤는데요.
이런 지속음의 발음의 핵심은, 발음기관 상호간의 접촉이 있지만 그 접촉의 정도가 정지의 경우에 비해 아주 약하다는 것이지요.
그 접촉의 정도는 정지음의 반댓말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약한데요.
정지음의 접촉의 정도는 공기의 흐름을 완벽하게 완전히 꽉 틀어막을 정도이어야 하지만, 지속음은 절대로 접촉지점에서 이와 같이 공기의 흐름을 틀어 막아서는 안 되고 반드시 공기를 끊임없이 지속적으로 새어나가게 할 정도로 공간인 틈을 주어야 한다는 것이지요.
그래서, 이와 같이 접촉의 정도가 정지음의 정지동작과 대비되는 동작인 공기의 지속적인 흐름(continuous flow) 동작이 있다고 해서 이를 강조해서 지속음(continuant)이라고 하는 것이지요.
이 지속음(continuant)이라는 용어는 위 국제음성기호표의 좌측메뉴에 표시되지는 않는데요. 이런 지속음에 해당하는 하위 메뉴인 마찰음과 준마찰음이라는 용어로 표시되어 있지요.
이 지속음에 속하는 위 국제음성기호표의 좌측 메뉴상의 발음의 방법에 의한 소리의 분류는 다음과 같아요.
위 표에서는 협의의 자음에 해당하는 접촉음인 지속음인 마찰음(fricative), 준마찰음(affricate)만을 지속음으로 표시한 것이 아니라, 그 이외에도 광의의 자음에 해당하는 비음(nasal)과 접근음(approximant)도 지속음으로 표현하고 있는데요.
비음의 경우에는 입안의 발음기관간의 접촉지점에서의 정지동작이 정지음의 경우와 동일하게 필수적이라고 위에서 설명하였지요. 때문에 접촉음인 정지음의 1단계 동작인 정지동작은 있지만 2단계 동작인 폭발동작은 전혀 없다고도 했구요. 이 정지음의 2단계 동작에 갈음하는 비음의 동작은 막힌 공기를 코로 보내서 비강을 진동시키는 동작이라고도 했구요. 그런데 이 비강의 경우에는 움직이는 발음기관이 일체 없기 때문에 이곳에서 공기의 흐름을 막을 수 있는 방법이 없구요. 때문에 코밖으로 공기는 지속적으로 흘러나가게 되지요.
접근음의 경우, 접촉음이 아니므로 입안에서 일체 접촉동작 자체가 없지요. 단지 접근동작만 발생하는데 이 접근동작은 발음기관 상호간에 서로 진동을 만들어 낼 정도의 공간인 틈이 있어야 하구요. 그 틈사이로 역시 공기는 지속적으로 입밖으로 새어 나가게 되지요.
이런 이유로 협의의 자음인 접촉음이 아닌 광의의 자음인 비음과 접근음도 공기의 흐름을 막지 않고 입밖이나 코밖으로 지속적으로 공기를 흘러나가게 한다는 개념에서 지속음에 포함시키는 것인데요.
다만, 협의의 자음인 접촉음에 국한하여 개념을 정리할 경우에는 접촉음에는 정지음과 마찰음, 그리고 준마찰음이라는 3가지 항목의 소리만 있으므로, 이중에서 정지음에 대비되는 마찰음과 준마찰음 2개만을 협의의 지속음으로 말하는 것이라고 이해하면 되요.
때문에, 협의의 지속음에는 접촉음의 한 종류인 마찰음과 준마찰음만 지칭하는 것이구요. 광의의 지속음에는 광의의 자음에 해당하는 비음과 접근음까지 포함한다고 정리하면 되지요.
미국영어의 자음 중에서 정지음에 대비되는 개념인 지속음(continuant)에 대해 알아봐요.
접촉음은 정지음과 지속음의 두 가지로 나뉘어 지는데요. 접촉음중에서 정지음과 전혀 반대되는 발음방법을 가진 소리가 바로 지속음(continuant)이예요.
결국 정지음과 지속음은 그 발음방법의 차이에서 구분이 되는데, 정지음은 “정지동작 + 파열동작”의 2단계 발음동작으로 구성되는데, 지속음은 이런 2단계 발음동작이 아니라 “마찰동작”이라는 단 1개의 발음동작만 필요하거든요.
지속음은 기본적으로 마찰음인데요. 여기에 준마찰음이란 것이 추가되는데, 이 준마찰음은 “정지음 + 마찰음”의 묶음이 되는데, 실질적으로 그 발음동작이 “정지동작 + 마찰동작”의 묶음이 되는 소리를 말해요. 쉽게 말해 마찰음은 마찰 동작 1개만 필요한데, 준정지음은 “정지동작”이 추가되어 “정지동작 + 마찰동작”의 2단계 발음동작이 필요한 것이지요.
그래도 준마찰음은 정지동작만 빼면 나머지는 마찰동작만 있는 셈이고 이것은 곧 마찰음의 마찰동작과 동일하므로 경우에 따라서는 그냥 마찰음이라고 해도 준마찰음까지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하기도 하는데요.
그래도 마찰음과 준마찰음은 엄연히 구분되는 발음의 방법이므로 이 두 가지를 한데 묶어서 표현할 경우에는 지속음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지요.
하여간 이 지속음의 설명은 곧 마찰동작이 핵심이므로 마찰음의 설명과 동일한데요. 사실 지속음의 속성은 마찰동작 하나에 있으니까요.
접촉음의 특징인 접촉동작 중에서 정지동작을 제외한 나머지 동작은 마찰동작인데요.
이 마찰동작은 접촉동작의 하나인 정지동작과 접근음의 발음동작인 접근동작의 중간정도에 해당하지요.
쉽게 말해서 마찰동작보다 더 세게 접촉하면 접촉음중 정지음이 되는 것이고, 마찰동작이 최소한의 접촉동작이므로 이보다 더 약하게 접촉이 된다는 것은 없으니 마찰동작보다 더 약하게 되면 그건 더 이상 접촉음이 아니라 접근음의 접근동작이 되지요.
마찰동작의 기본원리는 간단한데요. 마찰동작은 오로지 입안에서만 이루어지는데, 입안에서 발음기관이 상호 접촉해서 서로 붙어서 마찰을 일으킬 정도가 되는 좁은 틈을 유지하는 것이 핵심이구요. 마찰을 일으키려면 발음기관이 서로 꼭 붙어서 안 움직이면 안 되기 때문에 발음기관이 서로 비비면서 움직이므로 그 움직이는 과정에서 약간의 틈이 생기지요.
이 마찰동작에 의해 발음기관이 서로 비비면서 움직이는 과정에서 생긴 좁은 틈으로 입안에 공급된 소리의 재료인 공기가 새어나가는데요.
중요한 것은 마찰동작에는 단 한 번도 발음기관이 서로 완전히 밀착하지 않는다는 것이예요.
마찰동작은 처음부터 끝까지 발음기관의 접촉의 정도가 정지동작에 이르는 정도의 완전밀착에 의한 차단동작이 없어야 해요. 만약에 이런 차단동작이 단 한번이라도 있게 되면 그 동작은 더 이상 마찰동작이 아니라 정지동작이구요.
이렇게 정지동작이 조금이라도 있은 뒤에 마찰동작이 시작되면 그것은 마찰음이 아니라 준마찰음의 발음방법이 되는 것이지요.
마찰동작이 있게 되면, 입안에 공급이 된 소리의 재료인 공기의 흐름은 절대로 중단되거나 차단되지 않는데요. 마찰이 일어나는 접촉면의 틈으로 이 공기가 지속적으로 흘러나가게 되지요.
이런 공기에 마찰면에서 생긴 마찰음이나 준마찰음과 같은 정지음의 소리가 담기게 되고 이 소리가 담긴 공기는 입밖으로 나가게 되구요.
이와 같이 입안에 공급된 소리의 재료인 공기가 지속적으로 마찰면인 접촉지점의 접촉면의 사이의 틈으로 흘러나가게 하는 것이 지속음의 발음의 방법의 핵심이지요.
국제음성기호표 1
자음과 모음의 표시 2
모음의 표시의 강세 및 길이, 음절의 표시와 연음법칙의 표시방법 3
영어의 모음의 발음의 세부사항의 표시 5
모음의 음의 높낮이와 변화 6
리듬과 인토네이션의 차이, 연음법칙의 개념 구별 7
영어의 자음과 모음의 발음기호 8
영어 사전에서 찾아볼 수 있는 발음기호의 표시 9
미국영어의 모음의 표시와 발음의 위치 10
발음기관인 입안의 구조와 개별 발음기관인 혀, 입천정, 잇몸, 이빨, 입술의 이해 11
문자를 읽고 쓰는 것과 말로 말하고 듣는 것의 비중 12
제3-4권 지속음 1
제1장 지속음의 개요 2
1. 지속음의 개념 3
가. 지속음의 개념 4
접촉음 중에서 정지음과 대비되는 발음방법인 지속음(continuant)에 대해 알아봐요. 5
미국영어의 자음 중에서 정지음에 대비되는 개념인 지속음(continuant)에 대해 알아봐요. 9
미국영어에서의 정지음(stop)과 지속음(continuant)의 구분의 이해 13
미국영어의 지속음은 정지음의 반댓말이예요. 19
제2장 정지음과 지속음의 구분 27
1. 정지음과 지속음의 구분 기준이 중요한 이유 28
정지음(stop)과 지속음(continuant)의 구분이 중요한 이유에 대해 29
2. 한글의 경우 지속음의 개념이 없음 34
미국영어의 지속음의 개념이 한글에서는 아예 없이 모두 정지음으로 발음을 해요. 35
한국인들은 한글을 사용하며 지속음의 개념 자체를 사용하지 않아요. 41
3. 정지음과 지속음의 구분기준이 되는 발음동작의 차이에 대해 44
가. 발음동작의 차이의 개요 45
미국영어에서의 비지속음(non continent)과 지속음(continuant)의 비교와 구별의 원리에 대해 46
정지음과 지속음의 구분은 소리통로(vocal tract)의 폭과 넓이에 달려 있어요. 51
나. 정지동작 54
정지음(stop)의 발음동작인 정지(stop) 동작의 이해 55
다. 마찰동작 57
영어의 접촉음(obstruent) 중에서 지속음을 발음하는 방법 58
지속음의 핵심적인 특징인 마찰동작에 대해 알아봐요. 61
미국영어의 지속음인 마찰음의 마찰동작과 준마찰음의 “정지동작 + 마찰동작”의 이해 65
라. 잇몸소리(alveolar)를 이용한 정지동작과 마찰동작의 비교의 편의성 69
영어의 지속음의 개념의 이해를 위해서는 잇몸소리인 정지음 /t/ 소리와 /d/ 소리에 대응하는 잇몸소리 마찰음 /s/ 소리와 /z/ 소리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예요. 70
제3장 지속음의 종류 72
1. 마찰음과 준마찰음의 구분 73
접촉음중의 지속음(continuant)은 마찰음(fricative)과 준마찰음(affricate)으로 구분되는데 사실 이 두 개의 소리는 같은 소리에 해당되요. 74
마찰음과 준마찰음을 지속음이라고 하는 이유에 대한 정리 80
2. 한글의 마찰음과 준마찰음 분류체계는 완전히 잘못된 것임 84
가. 한글에는 지속음의 개념이 없음 85
한글에는 영어의 지속음의 개념이 없기 때문에 마찰음의 발음이 한글과 영어에서 완전히 달라요. 86
한글에는 이런 지속음 자체가 없어서 영어의 지속음의 발음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어요. 102
나. 유성접촉음의 부정으로 인한 자음분류체계의 왜곡 106
한글교재들의 가장 근본적인 오류는 유성접촉음의 존재를 부정하는 것에서 시작됨. 107
다. 한글의 지속음의 분류체계를 한글교재들이 잘못 분류 114
한글의 마찰음과 준마찰음 체계는 완전히 잘못된 것이예요. 115
한글의 마찰음과 준마찰음이라는 소리는 실제로는 정지음이예요. 120
한글교재들의 한글의 마찰음 “ㅅ, ㅆ”, 준마찰음 “ㅈ, ㅉ, ㅊ” 이라는 소리들이 실제로는 모두 정지음이라는 점에 대해 127
한국인이 음절의 종성인 마찰음이나 준마찰음을 정지음이 아니라 지속음으로 제대로 발음하려면 완전히 새로 발음동작을 배워야 해요. 131
라. 한글의 유일한 마찰음이라는 “ㅅ,ㅆ” 소리의 분류의 오류 134
한국인들이 마찰음의 발음을 제대로 내지 못하는 이유는 한글에 마찰음이 실제로 없기 때문이지요. 137
한글의 유일한 마찰음이라고 하는 “ㅅ, ㅆ, ㅎ” 소리는 모두 정지음이지 마찰음이 아니예요. 144
한글의 마찰음“ㅅ, ㅆ”소리와 준마찰음 “ㅈ, ㅉ, ㅊ” 소리의 실제 발음이 정지음이라는 것이 문제예요. 147
한글교재들의 근본적인 문제는 “ㅅ” 소리와 “ㅈ” 소리의 소리값조차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점에서 시작하지요. 152
마. 한글의 마찰음 “ㅆ” 소리는 된소리 준마찰음으로 보는 것이 맞음 155
한글의 마찰음이라고 하는 “ㅆ” 소리는 된소리 준마찰음에 해당해요. 156
한글의 마찰음에 대한 준마찰음이 된소리라는 점은 역사적으로도 증명되요. 161
바. 마찰음의 발음동작에는 파열동작이 없으므로, 마찰음은 무기음과 유기음의 구분대상이 될 수 없음 172
마찰음의 경우에는 파열동작이 없으므로 유기음과 무기음의 구분을 해서는 안되요. 173
사. 한글의 “ㅈ” 소리를 유성 잇몸소리 마찰음이 아니라 무성 구개 준마찰음으로 분류하는 것은 아주 잘못된 것이예요. 180
한글의 “ㅈ” 소리에 해당하는 영어의 자음은 도데체 어떤 자음일까요. 181
한글의 “ㅈ” 소리는 유성 잇몸마찰음 /z/ 소리라는 것을 제대로 인식해야 해요. 184
아. 한글의 잇몸소리 마찰음 “ㅅ”, 구개 준마찰음 “ㅈ” 소리와 유사한 영어의 잇몸소리 마찰음 /s/ 소리, /z/ 소리 189
한글의 경우에 유일한 마찰음인 “ㅅ, ㅆ” 소리와 유사한 영어의 마찰음은 /s/ 소리와 /z/ 소리예요. 190
한글의 유일한 마찰음인 잇몸소리 마찰음 “ㅅ, ㅆ” 소리와 영어의 마찰음(f, v, ɵ, ð, s, z, ʃ, ʒ)간의 소리의 차이에 대해 194
한글교재들이 무성 구개 준마찰음이라고 하는 “ㅈ” 소리의 소리값에 대한 의문과 국제음성기호표상의 무성 구개 준마찰음 /ʧ/ 소리의 소리값에 대해 198
제4장 미국영어의 지속음의 발음동작인 마찰동작에 대해 206
1. 정지음, 마찰음, 준마찰음의 발음동작의 비교 207
정지음의 “정지동작 + 파열동작”과 마찰음의 “마찰동작” 및 준마찰음의 “정지동작 + 마찰동작”의 차이 208
정지동작과 파열동작, 정지동작과 마찰동작이 결합되는 경우의 소리와 마찰동작만 이루어지는 경우에 만들어지는 정지음, 준마찰음, 마찰음의 소리의 구분에 대해 211
2. 마찰음과 준마찰음의 필수 발음동작인 마찰동작에 대해 217
영어의 지속음인 마찰음의 마찰동작에 대해 218
미국영어의 음절의 종성인 마찰음과 준마찰음의 발음동작의 핵심인 마찰동작을 다시 정리해봐요. 222
영어의 마찰음과 준마찰음의 마찰동작이 지속음을 만들어 내는 과정에 대해 226
영어에서 지속음인 마찰음 및 준마찰음의 발음에 대한 정리 228
미국영어의 접촉음 중에서 지속음(continuant)을 발음하는 방법을 알아봐요. 232
제5장 마찰음 236
1. 마찰음은 마찰동작만으로 소리를 냄 237
지속음의 하나인 마찰음(fricative)은 마찰동작(friction)만으로 이루어져요. 238
2. 한글의 마찰음에 대한 한글교재의 설명은 폐기해야 영어공부에 도움이 됨 245
한글 교재들의 한글의 마찰음에 대한 설명은 무시하고 폐기하는 것이 영어의 마찰음의 이해에 더 도움이 되요. 246
3. 영어의 마찰음과 한글의 마찰음은 발음위치와 발음방법에서 완전히 다름 250
영어의 마찰음이 어려운 이유는 한글의 마찰음에는 없는 발음위치에서 마찰이 일어나는 것이 대부분이기 때문이예요. 251
4. 영어의 마찰음은 발음위치에 따라 비치찰음과 치찰음으로 구분됨 255
영어의 마찰음의 특징은 치찰동작과 비치찰동작으로 구분이 된다는 점이예요. 256
5. 마찰음의 유성음화 260
음절의 종성이 마찰음이 유성음인가 무성음인가에 따른 발음의 차이 261
음절의 종성인 자음이 마찰음의 무성음과 유성음의 구분 266
제6장 준마찰음 269
1. 마찰음과 준마찰음의 발음동작의 차이의 비교 270
영어의 마찰음과 준마찰음의 발음동작의 차이 271
반정지음(semi stop) 내지 준마찰음(affricate)의 발음동작은 “정지동작 + 마찰동작”의 결합 . 273
2. 준마찰음의 발음동작이 만들어진 이유 276
준마찰음이 “정지동작 + 마찰동작”의 결합으로 발음동작을 취하는 이유는 된소리를 만들기 위해서예요 277
3. 준마찰음의 발음동작은 한글의 된소리를 만드는 동작임 280
준마찰음은 마찰음을 된소리를 만의는 소리이므로 거센소리라는 개념이 있을 수 없어요. 281
제7장 비치찰음과 치찰음의 구분 284
1. 비치찰음과 치찰음의 구분의 개요 285
영어의 마찰음과 준마찰음은 치찰음과 비치찰음으로 구분이 되요. 286
지속음인 마찰음(fricative)과 준마찰음(affricate)은 치찰음(sibilant)와 비치찰음(non sibilant)로 구분이 되요. 289
접촉음중에서 마찰동작이 들어가는 지속음인 마찰음과 준마찰음은 치찰음과 비치찰음으로 구분이 되요. 297
2. 비치찰음과 치찰음의 소리의 비교 304
미국영어에서의 치찰음과 비치찰음의 소리의 비교 305
3. 치찰음의 개념 308
치찰음은 hissing sound라고도 해요. 309
영어의 치찰음은 모두 잇몸소리 마찰음 /s/ 소리와 /z/ 소리의 파생음이예요. 312
4. 비치찰음의 개념 314
이빨보다 앞쪽의 발음위치에서 나는 소리는 비치찰음이예요. 315
5. 한글의 치찰음 개념이 없음 318
한글에는 지속음이나 치찰음의 개념 자체가 없어요. 319
한글 교재들이 사용하는 자음에 대한 용어들은 한국인들이 영어의 치찰음을 이해하는데 방해만 되요. 325
6. 한글의 접촉음은 지속음이 없이 오로지 정지음만 존재함 329
한글은 사실상 지속음이나 치찰음의 개념 자체가 없이 모두 정지음으로 발음해요. 330
한글의 경우 음절의 종성인 모든 접촉음은 다 정지음으로 소리를 내므로 미국영어의 지속음이나 치찰음의 개념 자체가 없다는 것이 특징이예요. 334
한국인들은 치찰음의 개념이 없어서 영어의 치찰음인 자음에 대해 독립음절을 추가로 만들어 발음을 해버리지요. 342
한국인들이 미국영어의 지속음인 자음에 대해 독립음절을 만들어 발음하는 이유에 대해 347
한국인들의 귀에 영어의 치찰음이 마치 동일한 정지음 2개가 연속되어 있는 것으로 들리는 이유 358
제8장 비치찰음 361
1. 비치찰음의 개요 362
한글에는 이빨을 발음기관으로 이용한 자음이 전혀 없어요. 363
영어의 비치찰음은 한글에서는 아예 존재하지도 않는 소리예요. 370
2. 입술이빨소리 /f/ 소리와 /d/ 소리 373
1) 입술이빨소리 마찰음의 개요 374
입술이빨소리 마찰음 유성음 /f/ 소리와 무성음 /v/ 소리의 구분 375
음절의 종성인 입술이빨소리(labio dental) 마찰음 /f/ 소리와 /v/ 소리의 구분 381
한글의 자음에는 없는 입술이빨소리 마찰음 /f/ 소리와 /v/ 소리를 제대로 따라하는 방법 390
2) 무성음 /f/ 소리 398
가) 입술이빨소리 무성마찰음 /f/ 소리와 양입술소리 무성정지음 /p/ 소리의 비교 399
지속음인 입술이빨 마찰음 /f/ 소리와 양입술 정지음 /p/ 소리의 구분 400
입술이빨 마찰음 /f/ 소리와 양입술 정지음 /p/ 소리의 발음동작의 구분 404
영어의 무성 입술이빨 마찰음 /f/ 소리와 무성 양입술 정지음 /p/ 소리의 구분에 대해 409
3) 유성음 /v/ 소리 416
가) /v/ 소리의 개요 417
유성 입술이빨 마찰음 /v/ 소리에 대해 알아봐요. 418
입술이빨소리 마찰음 /v/ 소리를 내는 방법 423
나) 입술이빨소리 유성마찰음 /v/ 소리와 양입술소리 유성정지음 /b/ 소리의 비교 431
입술이빨소리인 유성마찰음 /v/ 소리와 잇몸소리인 유성정지음 /b/ 소리의 구분 432
영어의 입술이빨소리인 마찰음 /v/ 소리와 양입술소리인 정지음 /b/ 소리의 구분 440
유성 양입술 정지음 /b/ 소리와 유성 입술이빨 마찰음 /v/ 소리의 구분 451
다) 입술이빨소리 유성마찰음 /v/ 소리와 양입술소리 활강음 /w/ 소리의 비교 457
영어의 입술이빨소리인 마찰음 /v/ 소리와 양입술소리 활강음 /w/ 소리의 비교 458
입술이빨소리 마찰음 /v/ 소리와 양입술소리 활강음 /w/ 소리의 비교 463
3. 이빨소리 무성마찰음 /ɵ/ 소리와 유성마찰음 /ð/ 소리 471
가. 이빨소리 마찰음의 개요 472
1) 이중자음 -th 글자에 대한 소리 473
영어의 이빨소리 마찰음 -th- 글자에 대한 무성음 /ɵ/ 소리와 유성음 /ð/ 소리에 대하여 474
영어의 이빨소리 마찰음 -th 글자가 유성음인지 무성음인지 구분하게 해주는 기준 478
bath 와 bathe 의 음절의 종성인 -th 글자의 발음상의 차이의 비교 480
2) 무성음 /ɵ/ 소리와 유성음 /ð/ 소리의 발음동작의 구별 487
비치찰음인 이빨소리 /ɵ/ 소리와 /ð/ 소리에 대해 알아봐요. 488
비치찰음인 이빨소리(dental) /ɵ/ 소리와 /ð/ 소리의 발음에 대해 495
영어의 이빨소리 마찰음 무성음 /ɵ/ 소리와 유성음 /ð/ 소리의 구분 501
영어의 이빨소리 마찰음 /ɵ/ 소리와 /ð/ 소리에 대한 제대로 된 발음동작에 대해 507
미국영어의 비치찰음인 이빨소리(dental) /θ/ 소리와 /ð/ 소리를 내는 핵심은 혀의 형태에 있어요. 518
나. 한국인들이 입술이빨소리 /ɵ/ 소리와 /ð/ 소리를 내지 못하는 이유 522
1) 한글의 잇몸소리 무성마찰음 “ㅆ” 소리 자체의 발음기호가 뭔지 명확하게 표시하는 한글교재가 없어요. 523
한글교재들이 사용하는 한글의 자음의 발음기호표상의 “ㅆ” 글자의 발음기호의 부재에 대해 524
2) 한글에는 이빨소리 마찰음 /ɵ/ 소리와 /ð/ 소리 자체가 없어요. 532
한글의 자음의 발음기호표에는 이빨소리라는 것 자체가 없어요. 533
한국인들은 이빨소리마찰음 무성음 /ɵ/ 소리를 잇몸소리마찰음 “ㅆ”소리로 발음해버리지요. 537
3) 한국인들은 편법으로 이빨소리 /ɵ/ 소리는 잇몸소리 “ㅆ” 소리로, 이빨소리 /ð/ 소리는 잇몸소리 정지음 “ㄷ” 소리를 이용해서 발음해요. 541
한국인들은 영어의 이빨소리 마찰음 /ɵ/ 소리와 /ð/ 소리를 잇몸소리 마찰음이라는 “ㅆ” 소리와 잇몸소리 정지음 “ㄷ” 소리로 발음해요. 542
한국인들은 이빨소리 마찰음 유성음 /ð/ 소리를 잇몸소리정지음 “ㄷ”소리로 발음하지요. 548
다. 한국인이 /ɵ/ 소리를 제대로 발음하려면 한글의 잘못된 자음의 발음기호 “ㅆ” 소리를 버려야 553
한국인들이 이미 영어의 이빨소리 마찰음 /ɵ/ 소리와 /ð/ 소리를 정확하게 발음하는 방법은 한글의 잘못된 자음의 발음기호표를 수정하는 것이예요. 554
영어의 이빨소리 마찰음 유성음 /ð/ 소리는 한글의 잇몸소리 유성정지음 “ㄷ” 소리로 발음해서는 절대로 안됨 560
라. 이빨소리 무성마찰음 /ɵ/ 소리 565
1) 무성음 /ɵ/ 소리의 개요 566
영어 단어에 있는 -th- 글자의 발음에 대해 567
2) 지속음인 /ɵ/ 소리의 발음방법 574
무성음 /ɵ/ 소리를 지속음으로 길게 발음하는 방법 575
한글의 “ㅆ” 소리만 아는 상태에서 영어의 /ɵ/ 소리를 제대로 발음하는 방법 580
한글에는 없는 이빨소리 마찰음 /ɵ/ 소리와 /ð/ 소리를 좀 더 쉽게 내는 방법 584
3) 음절의 종성인 /ɵ/ 소리의 유성음화와 지속음으로서의 발음방법 587
음절의 종성인 지속음 /ɵ/ 소리를 유성음화하여 반유성음 /ðɵɵ/ 소리를 내는 방법 588
4) 이빨소리 무성마찰음 /ɵ/ 소리와 잇몸소리 무성정지음 /t/ 소리의 비교 596
미국영어의 이빨소리 마찰음 /ɵ/ 소리와 잇몸소리 정지음 /t/ 소리의 구분 597
영어의 이빨소리 마찰음 /ɵ/ 소리와 잇몸소리 정지음 /t/ 소리의 비교 604
마찰음 /ɵ/ 소리와 정지음 /t/ 소리의 발음의 구분 619
5) 비치찰음 /ɵ/ 소리와 치찰음 /s/ 소리의 비교 624
미국영어의 경우에도 치찰음 /s/ 소리와 비치찰음 /ɵ/ 소리는 아주 제대로 발음을 구분해야 해요. 625
미국영어의 마찰음중 비치찰음 /θ/ 소리와 치찰음 /s/ 소리의 비교 629
6) 한글의 무성 잇몸마찰음이라는 “ㅅ, ㅆ” 소리는 모두 영어의 무성 잇몸소리 마찰음 /s/ 소리나 무성 이빨소리마찰음 /ɵ/ 소리와 완전히 달라요. 632
치찰음인 잇몸소리 마찰음 /s/ 소리는 한글의 잇몸소리 마찰음 “ㅅ” 소리와 달라요. 633
미국영어의 비치찰음인 이빨소리 /θ/ 소리도 한글의 잇몸소리 마찰음 “ㅆ”소리와 완전히 달라요. 638
제9장 무성 성문마찰음 /h/ 소리 642
1. 개요 643
가. 무성 성문마찰음 /h/ 소리와 한글의 무성 성문마찰음 “ㅎ” 소리의 비교 644
한글의 “ㅎ” 소리가 성문마찰음 /h 소리하고 동일한 것 같지도 않아요. 645
나. 자음이 만들어지는 사람의 신체기관 3곳 648
자음은 입안, 코안, 성문이라는 3곳의 신체기관에서 만들어질 수 있어요 649
다. 성문(glottis)에서 이루어지는 발음동작에 대해 651
1) 접촉동작과 접근동작 652
성문(glottis)에서 발음동작인 성대의 접촉동작과 접근동작에 대해 653
성대의 발음동작중 접촉동작만이 성문문인 자음을 만들어 낼 수 있음 659
3) 접근동작에 의해 만들어 지는 소리는 성대의 진동소리인 목청떨림소리임 661
성대의 비접촉동작인 접근동작에 의해 만들어지는 성대의 진동소리인 목청떨림소리에 대해 662
라. 성대에서 만들어지는 접촉음인 자음에 대해 664
1) 개요 665
성대의 접촉음에는 정지음과 마찰음이 있어요. 666
2) 정지동작에 의한 정지음 /ʔ/ 소리 668
성문정지음 /ʔ/ 소리에 대해 669
3) 마찰동작에 의한 마찰음 /h/ 소리 674
성문마찰음 /h/ 소리에 대해 675
성문마찰음 /h/ 소리의 본래의 소리값은 실제로 들리는 한글의 “ㅎ” 소리와 영어의 /h/ 소리와 전혀 다름. 678
마. 성문마찰음 /h/ 소리에 대한 추가적인 고찰 681
1) 성문마찰음의 발음동작과 성문정지음의 발음동작은 파열동작을 의미하는 aspiration 이라는 동일한 용어를 사용함. 682
성문마찰음 /h/ 소리의 발음동작은 정지음의 파열동작과 동일한 aspiration 동작으로 봄. 683
2) 성문정지음 /h/ 소리가 자음이 아니라 모음이라고 보는 견해도 있음 685
성문마찰음 /h/ 소리가 과연 자음인가에 대한 의문 686
성문마찰음 /h/ 소리를 무성모음(voiceless vowel)으로 보는 견해에 대해 689
3) 성문정지음 /h/ 소리가 묵음으로 소리를 내지 않는 경우 692
가) 개요 693
성문마찰음 -h 글자가 묵음 H 소리가 되는 경우 694
나) 단독자음인 /h/ 소리 696
단독으로 쓰이는 성문정지음 -h 글자가 묵음 H 소리가 되는 경우 697
다) 이중자음의 뒷자음인 /h/ 소리 701
이중자음의 뒷자음인 성문정지음 -h 글자가 묵음인 경우 702
이중자음의 뒷자음인 성문정지음 -h 글자가 묵음이 아닌 경우 707
제10장 “무성정지음 + 성문마찰음”의 결합에 의한 이중자음의 발음에 대해 711
1. “정지음 + 마찰음”의 이중자음의 발음은 준마찰음이 됨 712
준마찰음의 발음동작은 “정지동작 + 마찰동작”의 결합으로 이루어짐 713
2. “정지음(p,t,k) + 성문마찰음(h)"의 결합시에는 준마찰음이 아니라 마찰음이 됨 717
영어의 “무성정지음(p, t, k) + 성문마찰음 /h/ 소리”의 결합에 의한 이중자음의 경우, 준마찰음이 만들어 져요. 718
한글에서의 “정지음 + 성문마찰음”의 결합에 의한 발음기호의 표기에 대해 721
제10장 치찰음 724
1. 치찰음의 개요 725
가. 거센소리 지속음으로서의 치찰음 726
영어의 마찰음은 잇몸소리 마찰음 /s/ 소리와 /z/ 소리를 기준으로 비치찰음과 치찰음으로 나뉘어져요. 727
미국영어의 지속음인 치찰음에 대한 이해 737
나. 치찰음은 hissing sound 라고 함 741
미국영어의 치찰음을 제대로 발음하려면 hissing sound, 즉 hiss 라는 소리를 내보면 되요. 742
영어의 치찰음 hiss 소리는 his 소리와 완전히 달라요. 746
라. 거센소리로서의 치찰음 750
치찰음의 발음이 의미를 가지는 것은 음절의 종성인 경우예요. 751
치찰음의 특성인 거세고 거칠고 긴 소리는 음절의 종성에서만 제대로 표현이 되요. 755
미국영어에서의 치찰음의 소리의 높이와 거세기는 거의 소음수준이예요. 758
영어의 지속음중에서 가장 거센소리가 나는 치찰음에 대해 알아봐요. 762
미국영어에서의 지속음도 치찰음을 비치찰음에 비해 훨씬 더 길고 거세고 거칠게 발음을 해야 해요. 769
라. 한글의 경우에는 치찰음이나 지속음의 개념이 없으므로 모든 접촉음을 정지음화 하여 발음 772
한국어는 치찰음의 개념도 없고, 음절의 종성인 마찰음과 준마찰음을 유성정지음으로 발음하므로, 꼿과 꽃을 모두 꼳이라고만 발음해요 773
한글에서는 이런 마찰음 “ㅅ” 소리와 준마찰음 “ㅊ” 소리는 음절의 초성에서는 가능하다고 가르쳐요. 777
마. 치찰음의 발음동작의 핵심 781
미국영어의 치찰음의 발음의 핵심적인 사항 782
치찰음의 발음의 핵심적인 동작에는 혀를 동그랗게 말아 V 자 골짜기를 만드는 것이예요. 785
치찰음의 발음을 위한 혀의 V 자형 골짜기 만들기 789
미국영어의 치찰음의 발음을 위서는 반드시 혀의 V 자형 골짜기를 만들어야 해요. 793
미국영어의 마찰동작을 위해서는 혀를 V 자 형태의 골짜기를 만들어줘야 해요. 796
바. 치찰음에 대한 무성음과 유성음의 구분 803
한국인들이 미국영어의 유성음과 무성음의 구분을 어려워 하는 이유는 한글교재의 잘못된 가르침에 있어요. 804
미국영어의 치찰음인 유성음에 대해 815
사. 음절의 종성인 치찰음이나 지속음의 유성음화 현상의 특이성에 대해 821
1) 음절의 종성인 치찰음의 유성음화의 개요 822
미국영어 교재의 표현 중에 “음절의 초성이나 종성”의 개념과 관련된 표현중 주의해야 할 부분에 대해 823
2) 지속음인 무성치찰음에 대한 음절의 종성에서의 유성음화는 부분적으로만 이루어짐 827
영어의 경우, 음절의 종성인 치찰음이나 지속음은 너무 길어서 유성음화가 앞부분에서만 이루어지고 뒷부분은 무성음으로 그대로 발음이 되요. 828
3) 음절의 종성인 무성치찰음과 연음법칙 832
영어의 치찰음의 발음은 연음법칙에서도 아주 특별한 현상을 발휘해요. 833
아. 이중글자인 치찰음의 발음 838
치찰음을 -ss, -zz 글자와 같은 이중글자로 중복해서 단어에 표시한 경우의 치찰음의 발음방법 839
4. 치찰음의 종류 842
미국영어의 치찰음은 모두 /s/ 소리와 /z/ 소리의 유형에 해당하는 총 6개 뿐이예요. 843
지속음중의 대표적인 잇몸 마찰음(alveolar fricative) /s/ 소리와 /z/ 소리에 대해 알아보기로 해요. 850
5. 무성 잇몸마찰음 853
가. 개요 854
무성음 /s/ 소리와 유성음 /z/ 소리가 지속음이라는 점에 대해 855
잇몸소리 마찰음 /s/ 소리와 /z/ 소리의 발음동작에 대해 864
한국인들이 잇몸소리 마찰음 무성음 /s/ 소리와 유성음 /z/ 소리의 구분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이유 867
나. 무성음 /s/ 소리 873
1) 무성음 /s/ 소리의 개요 874
미국영어의 대표적인 마찰음인 잇몸소리 /s/ 소리를 통한 마찰음을 알아봐요. 875
같은 잇몸소리인 마찰음 /s/ 소리에 대비되는 잇몸소리 정지음 /t/ 소리의 발음동작인 “정지동작 + 파열동작”을 알아보기 881
2) 한국인은 한글의 마찰음이란 것인 “ㅅ, ㅆ” 소리를 모두 정지음으로 짧게 발음함 888
영어의 치찰음 /s/ 소리를 한국인들의 하듯이 정지음으로 끊어서 짧게 발음하면 절대로 안되요. 889
3) 잇몸소리 마찰음(/s/, /z/)의 발음동작인 마찰동작과 혀의 V 자형 골짜기 동작에 대해 902
미국영어의 가장 기본적인 치찰음인 무성 잇몸 치찰음 /s/ 소리의 발음방법 903
영어의 무성 잇몸마찰음 /s/ 소리의 발음을 단어를 가지고 연습 해봐요. 908
4) 음절의 종성인 무성 잇몸마찰음 /s/ 소리의 발음 915
가) 개요 916
지속음이자 치찰음 /s/ 소리의 발음의 특징은 음절의 종성에서 확실하게 드러나요. 917
음절의 종성인 지속음이자 치찰음 /s/ 소리의 가장 좋은 예는 명사의 복수형 어미와 동사의 3인칭 단수형 어미인 -s 글자 또는 -es 글자예요. 919
영어의 명사복수형 어미와 3인칭동사형어미에서의 /s/ 소리는 모두 음절의 종성에 해당해요. 921
미국영어의 마찰음 /s/ 소리가 음절의 종성이 되는 경우의 유성음화와 치찰음인 지속음의 발음방법 924
단음절 단어의 음절의 종성인 자음이 무성마찰음 /s/ 소리인 경우와 무성정지음 /t/ 소리인 경우의 소리의 길이의 구분에 대해 933
나) 명사의 복수형 어미 및 동사의 3인칭 단수형 어미인 -s 글자, -es 글자의 발음을 이용한 음절의 종성인 /s/ 소리의 발음의 이해 943
(1) 개요 944
영어 단어의 명사의 단수형과 복수형을 통해 배우는 잇몸소리 마찰음 무성음 /s/ 소리와 유성음 /z/ 소리의 구분 945
(2) 기본단어의 마지막 음절의 종성이 정지음인 경우 960
명사나 동사의 원형인 단어의 마지막 음절의 종성인 자음이 정지음으로 끝나는 경우의 복수형 또는 3인칭 단수형 어미 -s 글자의 발음 961
(3) 기본단어의 마지막 음절의 종성이 마찰음인 경우 972
단어의 마지막 음절의 종성이 마찰음인 경우 무성음 /s/ 소리와 유성음 /z/ 소리의 기능 973
(4) 기본단어의 마지막 음절의 종성이 비치찰음인 경우 981
명사나 동사의 원형인 단어의 마지막 음절의 종성인 자음이 무성 비치찰음(non sibilant) /f/ 소리, /ɵ/ 소리로 끝나는 경우의 복수형 또는 3인칭 단수형 어미 -s 글자의 발음 982
(5) 기본단어의 음절의 종성이 무성치찰음인 경우 987
명사나 동사의 원형인 단어의 마지막 음절의 종성인 자음이 무성 치찰음(non sibilant) /s/ 소리, /ʃ/ 소리, /ʧ/ 소리로 끝나는 경우의 복수형 또는 3인칭 단수형 어미 -s 글자의 발음 988
(6) 기본단어의 음절의 종성이 유성치찰음인 경우 998
명사나 동사의 원형인 단어의 마지막 음절의 종성인 자음이 유성음인 치찰음 /z, ʒ, ʤ/ 소리로 끝나는 경우의 복수형 또는 3인칭 단수형 어미 -s 글자의 발음 999
명사나 동사의 원형인 단어의 마지막 음절의 종성인 자음이 유성음인 정지음 /b, d, g/ 소리, 비치찰음 /v, ð,/ 소리로 끝나는 경우의 복수형 또는 3인칭 단수형 어미 -s 글자의 발음 1002
나. 구개소리 마찰음 1007
1) 구개소리 마찰음의 개요 1008
영어의 잇몸소리 마찰음 /s/ 소리와 /z/ 소리에서 구개마찰음 /ʃ/ 소리와 /ʒ/ 소리가 파생되는 과정에 대해 1009
2) 무성음 /ʃ/ 소리 1012
미국영어의 치찰음인 구개 마찰 무성음 /ʃ/ 소리의 발음을 이해하기 1013
잇몸소리 마찰음 /s/ 소리와 구개 마찰음 /ʃ/ 소리의 비교 1020
3) 유성음 /ʒ/ 소리 1024
유성 치찰음(voiced sibilants) /z/ 소리와 /ʒ/ 소리를 제대로 내는 방법. 1025
영어의 구개 마찰음 유성음 /ʒ/ 소리의 소리값에 대해 1032
다. 구개 준마찰음 1036
1) 구개 준마찰음의 개요 1037
영어의 구개 마찰음을 더 세게 발음하기 위한 소리가 된소리 구개 준마찰음이예요. 1038
미국영어의 준마찰음 tʃ/ 소리와 /ʤ/ 소리 모두 치찰음 /ʃ/ 소리와 /ʒ/ 소리의 특성을 동시에 모두 가지고 있지요. 1041
미국영어의 준마찰음 /tʃ/ 소리와 /ʤ/ 소리의 형성과정을 좀 더 세밀하게 알아봐요. 1045
미국영어의 구개 준마찰음화 현상은 한글의 된소리화 현상과 아주 유사해요. 1054
한글의 “ㅆ, ㅉ” 소리는 유성음과 무성음으로 모두 잇몸소리 준마찰음에 해당되는 소리예요. 1063
2) 구개 준마찰음의 발음동작 1066
미국영어의 유일한 준마찰음인 구개음 준마찰음 /ʧ/ 소리와 /ʤ/ 소리의 발음기호의 조합원리 1067
미국영어의 유일한 준마찰음 /ʧ/ 소리와 /ʤ/ 소리의 발음기호의 구조에 대해 알아봐요. 1070
무성 구개 마찰음 /ʃ/ 소리와 무성 구개 준마찰음 /tʃ/ 소리의 구별기준은 정지동작(stop)이 추가되는가 여부에 있어요. 1085
3) 무성음 /ʧ/ 소리 1090
4) 유성음 /ʤ/ 소리 1091
영어의 유성 구개 준마찰음 /ʤ/ 소리와 반모음 활강음 /j/ 소리의 발음기호를 혼동하면 안되요. 1092
영어의 구개준마찰음 유성음 /dʒ/ 소리의 발음을 제대로 하기 1095
-끝- 1108
작가정보
저자(글) 이재욱
한국변호사
미국변호사
영어연구가
이 상품의 총서
Klover리뷰 (0)
-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 오디오북, 동영상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은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 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문장수집
-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 수집 등록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문장수집 등록 시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 / 오디오북·동영상 상품/주문취소/환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최초1회)
- 리워드 제외 상품 : 마이 > 라이브러리 > Klover리뷰 > 리워드 안내 참고
- 콘텐츠 다운로드 또는 바로보기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
가장 와 닿는 하나의 키워드를 선택해주세요.
총 5MB 이하로 jpg,jpeg,png 파일만 업로드 가능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신고 내용은 이용약관 및 정책에 의해 처리됩니다.
허위 신고일 경우, 신고자의 서비스 활동이 제한될 수
있으니 유의하시어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
이 글을 작성한 작성자의 모든 글은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eBook 문장수집은 웹에서 직접 타이핑 가능하나, 모바일 앱에서 도서를 열람하여 문장을 드래그하시면 직접 타이핑 하실 필요 없이 보다 편하게 남길 수 있습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선물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
보유 권수 / 선물할 권수0권 / 1권
-
받는사람 이름받는사람 휴대전화
- 구매한 이용권의 대한 잔여권수를 선물할 수 있습니다.
- 열람권은 1인당 1권씩 선물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이 ‘미등록’ 상태일 경우에만 ‘열람권 선물내역’화면에서 선물취소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의 등록유효기간은 14일 입니다.
(상대방이 기한내에 등록하지 않을 경우 소멸됩니다.) - 무제한 이용권일 경우 열람권 선물이 불가합니다.
첫 구매 시 교보e캐시 지급해 드립니다.

- 첫 구매 후 3일 이내 다운로드 시 익일 자동 지급
- 한 ID당 최초 1회 지급 / sam 이용권 제외
- 구글바이액션을 통해 교보eBook 구매 이력이 없는 회원 대상
- 교보e캐시 1,000원 지급 (유효기간 지급일로부터 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