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시삼백수 3-1
2021년 04월 08일 출간
- eBook 상품 정보
- 파일 정보 PDF (31.20MB)
- ISBN 9791157944033
- 지원기기 교보eBook App, PC e서재, 리더기, 웹뷰어
-
교보eBook App
듣기(TTS) 불가능
TTS 란?텍스트를 음성으로 읽어주는 기술입니다.
- 전자책의 편집 상태에 따라 본문의 흐름과 다르게 텍스트를 읽을 수 있습니다.
- 이미지 형태로 제작된 전자책 (예 : ZIP 파일)은 TTS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PDF 필기가능 (Android, iOS)

쿠폰적용가 5,630원
10% 할인 | 5%P 적립이 상품은 배송되지 않는 디지털 상품이며,
교보eBook앱이나 웹뷰어에서 바로 이용가능합니다.
카드&결제 혜택
- 5만원 이상 구매 시 추가 2,000P
- 3만원 이상 구매 시, 등급별 2~4% 추가 최대 416P
-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추가 최대 200원
작품소개
이 상품이 속한 분야
우리나라에서는 일찍부터 당시를 이해하기 위한 필독서이자 한시(漢詩)의 입문서로써 이 책이 애독되어 왔다. 이 책에는 작가 77명의 시 310수가 수록되어 있는데, 제왕(帝王), 사대부(士大夫), 승려(僧侶), 가녀(歌女), 무명씨(無名氏) 등 다양한 작가층이 망라되었고, 시체에 있어서도 고체시(古體詩)와 근체시(近體詩), 악부시(樂府詩)를 포괄하였다. 시기별로도 초당(初唐), 중당(中唐), 성당(盛唐), 만당(晩唐)의 시를 고루 안배했으며, 내용면에서는 당대의 사회생활과 시가의 풍모를 일정한 정도로 반영하였다.
≪당시삼백수≫는 당시를 이해하는 기초가 된다는 점에서 일찍부터 번역서의 필요성이 제기되었으나, 현재 국내에서 출간된 것으로는 대만에서 현대 중국어로 번역된 ≪신역 당시삼백수(新譯唐詩三百首)≫의 한국어 번역인 ≪한역 당시삼백수(韓譯唐詩三百首)≫가 유일하다.
본 ≪역주 당시삼백수(譯註唐詩三百首)≫는 성균관대학교 송재소(宋載?) 명예교수의 지도하에 5명의 전문 연구자들이 3년 동안 독회를 통하여 토론한 것을 바탕으로 역주한 것이다.
凡 例
參考文獻
目 次
224 鹿柴(녹채) 王 維 / 15
225 竹里館(죽리관) 王 維 / 17
226 送別(벗을 떠나보내며) 王 維 / 24
227 相思(그리움) 王 維 / 25
228 雜詩(잡시) 王 維 / 27
229 送崔九(최구를 전송하며) 裴 迪 / 30
230 終南望餘雪(종남산에서 쌓인 눈을 바라보다) 祖 詠 / 32
231 宿建德江(건덕강에서 투숙하며) 孟浩然 / 35
232 春曉(봄 아침) 孟浩然 / 37
233 夜思(깊은 밤의 그리움) 李 白 / 39
234 怨情(원망하는 마음) 李 白 / 42
235 八陣圖(팔진도) 杜 甫 / 43
236 登?雀樓(관작루에 올라) 王之渙 / 51
237 送靈澈(영철을 보내며) 劉長卿 / 54
238 彈琴(거문고를 타다) 劉長卿 / 55
239 送上人(上人을 전송하며) 劉長卿 / 57
240 秋夜寄丘員外(가을밤 丘員外에게 부치다) 韋應物 / 58
241 聽箏(箏을 듣다) 李 端 / 62
242 新嫁娘(새색시) 王 建 / 63
243 玉臺體(옥대체) 權德輿 / 66
244 江雪(강설) 柳宗元 / 68
245 行宮(행궁) 元 ? / 73
246 問劉十九(劉十九에게 묻다) 白居易 / 76
247 何滿子(하만자) 張 祜 / 78
248 登樂遊原(낙유원에 오르다) 李商隱 / 85
249 尋隱者不遇(은자를 찾아갔으나 만나지 못하다) 賈 島 / 88
250 渡漢江(漢水를 건너며) 李 頻 / 89
251 春怨(봄날의 원망) 金昌緖 / 91
252 哥舒歌(哥舒翰 노래) 西鄙人 / 93
253 長干行 二首其一(장간행 두 수 중 첫 번째 시) 崔 顥 / 95
254 長干行 二首其二(장간행 두 수 중 두 번째 시) 崔 顥 / 98
255 玉階怨(옥계의 원망) 李 白 / 100
256 塞下曲 四首其一(변방의 노래 네 수 중 첫 번째 시) 盧 綸 / 103
257 塞下曲 四首其二(변방의 노래 네 수 중 두 번째 시) 盧 綸 / 105
258 塞下曲 四首其三(변방의 노래 네 수 중 세 번째 시) 盧 綸 / 107
259 塞下曲 四首其四(변방의 노래 네 수 중 네 번째 시) 盧 綸 / 109
260 江南曲(강남곡) 李 益 / 111
261 回鄕偶書(고향으로 돌아와 쓰다) 賀知章 / 113
262 桃花谿(도화계) 張 旭 / 115
263 九月九日憶山東兄弟(구월 구일 산동의 형제를 생각하며) 王 維 / 117
264 芙蓉樓送辛漸(芙蓉樓에서 辛漸을 보내다) 王昌齡 / 120
265 閨怨(아내의 원망) 王昌齡 / 123
266 春宮曲(춘궁의 노래) 王昌齡 / 126
267 ?州詞(양주의 노래) 王 翰 / 128
268 送孟浩然之廣陵(광릉 가는 맹호연을 보내며) 李 白 / 131
269 早發白帝城(아침에 백제성을 출발하며) 李 白 / 133
270 逢入京使(서울로 들어가는 使者를 만나) 岑 參 / 137
271 江南逢李龜年(강남에서 李龜年을 만나다) 杜 甫 / 139
272 ?州西澗(?州의 서쪽 시내) 韋應物 / 142
273 楓橋夜泊(밤에 풍교에 배를 대다) 張 繼 / 145
274 寒食(한식) 韓 ? / 149
275 月夜(달밤) 劉方平 / 154
276 春怨(봄날의 원망) 劉方平 / 156
277 征人怨(원정을 떠난 사람의 원망) 柳中庸 / 158
278 宮詞(궁사) 顧 況 / 160
279 夜上受降城聞笛(밤에 受降城에 올라 피리소리를 듣다) 李 益 / 162
280 烏衣巷(오의항) 劉禹錫 / 164
281 春詞(봄의 노래) 劉禹錫 / 167
282 後宮詞(후궁사) 白居易 / 169
283 贈內人(나인에게 주다) 張 祜 / 171
284 集靈臺 二首之一(집영대 두 수 중 첫 번째 시) 張 祜 / 172
285 集靈臺 二首之二(집영대 두 수 중 두 번째 시) 張 祜 / 174
286 題金陵渡(금릉도에 쓰다) 張 祜 / 176
287 宮詞(궁사) 朱慶餘 / 178
288 近試上張水部(시험이 가까워 장수부께 올리다) 朱慶餘 / 179
289 將赴吳興 登樂遊原(오흥의 임소로 가면서 樂遊原에 오르다) 杜 牧 / 182
290 赤壁(적벽) 杜 牧 / 184
291 泊秦淮(秦淮河에 정박하여) 杜 牧 / 189
≪당시삼백수(唐詩三百首)≫는 당시(唐詩)의 선집(選集) 가운데 하나로, 청(淸)나라의 손수(孫洙)가 아동들의 시가 학습(詩歌學習)을 위하여 인구에 널리 회자되는 작품을 뽑아 만든 책이다. 당시(唐詩)는 모두 5만여 수에 이르고, 이 5만여 수에서 가리고 가려서 정수만 뽑은 것이 300수이며, 또한 300여 종에 이르는 당시의 선집 가운데 가장 많이 읽혔던 책이 바로 이 ≪당시삼백수≫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일찍부터 당시를 이해하기 위한 필독서이자 한시(漢詩)의 입문서로써 이 책이 애독되어 왔다. 이 책에는 작가 77명의 시 310수가 수록되어 있는데, 제왕(帝王), 사대부(士大夫), 승려(僧侶), 가녀(歌女), 무명씨(無名氏) 등 다양한 작가층이 망라되었고, 시체에 있어서도 고체시(古體詩)와 근체시(近體詩), 악부시(樂府詩)를 포괄하였다. 시기별로도 초당(初唐), 중당(中唐), 성당(盛唐), 만당(晩唐)의 시를 고루 안배했으며, 내용면에서는 당대의 사회생활과 시가의 풍모를 일정한 정도로 반영하였다.
≪당시삼백수≫는 당시를 이해하는 기초가 된다는 점에서 일찍부터 번역서의 필요성이 제기되었으나, 현재 국내에서 출간된 것으로는 대만에서 현대 중국어로 번역된 ≪신역 당시삼백수(新譯唐詩三百首)≫의 한국어 번역인 ≪한역 당시삼백수(韓譯唐詩三百首)≫가 유일하다.
본 ≪역주 당시삼백수(譯註唐詩三百首)≫는 성균관대학교 송재소(宋載?) 명예교수의 지도하에 5명의 전문 연구자들이 3년 동안 독회를 통하여 토론한 것을 바탕으로 역주한 것이다.
이 책의 특징은, 독자들이 공감할 수 있는 깊이 있는 해설과, 전문가들의 협동연구 결과에 의하여 엄밀하고 상세하게 역주된 것에 있다. <통석(通釋)>과 각 작품의 <해제(解題)>를 통하여 시의 내용 이해와 감상에 필요한 사항을 설명하는 한편, <집평(集評)>으로 후대 학자들의 평론을 모아 수록했는데 ‘우리나라 선대 학자들의 견해와 주석’을 수록한 것은 특기(特記)할 만하다. 이러한 점은 본회 번역의 기본 방침에 따른 것이다.
본 ≪역주 당시삼백수≫의 깊이 있는 해설과 상세한 주석은 당시(唐詩)를 이해하고 감상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이라 믿는다.
작가정보
이 상품의 총서
Klover리뷰 (0)
-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 오디오북, 동영상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은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 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문장수집
-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 수집 등록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문장수집 등록 시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 / 오디오북·동영상 상품/주문취소/환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최초1회)
- 리워드 제외 상품 : 마이 > 라이브러리 > Klover리뷰 > 리워드 안내 참고
- 콘텐츠 다운로드 또는 바로보기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
가장 와 닿는 하나의 키워드를 선택해주세요.
총 5MB 이하로 jpg,jpeg,png 파일만 업로드 가능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신고 내용은 이용약관 및 정책에 의해 처리됩니다.
허위 신고일 경우, 신고자의 서비스 활동이 제한될 수
있으니 유의하시어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
이 글을 작성한 작성자의 모든 글은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eBook 문장수집은 웹에서 직접 타이핑 가능하나, 모바일 앱에서 도서를 열람하여 문장을 드래그하시면 직접 타이핑 하실 필요 없이 보다 편하게 남길 수 있습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선물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
보유 권수 / 선물할 권수0권 / 1권
-
받는사람 이름받는사람 휴대전화
- 구매한 이용권의 대한 잔여권수를 선물할 수 있습니다.
- 열람권은 1인당 1권씩 선물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이 ‘미등록’ 상태일 경우에만 ‘열람권 선물내역’화면에서 선물취소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의 등록유효기간은 14일 입니다.
(상대방이 기한내에 등록하지 않을 경우 소멸됩니다.) - 무제한 이용권일 경우 열람권 선물이 불가합니다.
첫 구매 시 교보e캐시 지급해 드립니다.

- 첫 구매 후 3일 이내 다운로드 시 익일 자동 지급
- 한 ID당 최초 1회 지급 / sam 이용권 제외
- 구글바이액션을 통해 교보eBook 구매 이력이 없는 회원 대상
- 교보e캐시 1,000원 지급 (유효기간 지급일로부터 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