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시삼백수 1-1
2021년 04월 08일 출간
- eBook 상품 정보
- 파일 정보 PDF (32.95MB)
- ISBN 9791157943999
- 지원기기 교보eBook App, PC e서재, 리더기, 웹뷰어
-
교보eBook App
듣기(TTS) 불가능
TTS 란?텍스트를 음성으로 읽어주는 기술입니다.
- 전자책의 편집 상태에 따라 본문의 흐름과 다르게 텍스트를 읽을 수 있습니다.
- 이미지 형태로 제작된 전자책 (예 : ZIP 파일)은 TTS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PDF 필기가능 (Android, iOS)

쿠폰적용가 6,750원
10% 할인 | 5%P 적립이 상품은 배송되지 않는 디지털 상품이며,
교보eBook앱이나 웹뷰어에서 바로 이용가능합니다.
카드&결제 혜택
- 5만원 이상 구매 시 추가 2,000P
- 3만원 이상 구매 시, 등급별 2~4% 추가 최대 416P
-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추가 최대 200원
작품소개
이 상품이 속한 분야
우리나라에서는 일찍부터 당시를 이해하기 위한 필독서이자 한시(漢詩)의 입문서로써 이 책이 애독되어 왔다. 이 책에는 작가 77명의 시 310수가 수록되어 있는데, 제왕(帝王), 사대부(士大夫), 승려(僧侶), 가녀(歌女), 무명씨(無名氏) 등 다양한 작가층이 망라되었고, 시체에 있어서도 고체시(古體詩)와 근체시(近體詩), 악부시(樂府詩)를 포괄하였다. 시기별로도 초당(初唐), 중당(中唐), 성당(盛唐), 만당(晩唐)의 시를 고루 안배했으며, 내용면에서는 당대의 사회생활과 시가의 풍모를 일정한 정도로 반영하였다.
≪당시삼백수≫는 당시를 이해하는 기초가 된다는 점에서 일찍부터 번역서의 필요성이 제기되었으나, 현재 국내에서 출간된 것으로는 대만에서 현대 중국어로 번역된 ≪신역 당시삼백수(新譯唐詩三百首)≫의 한국어 번역인 ≪한역 당시삼백수(韓譯唐詩三百首)≫가 유일하다.
唐詩와 ≪唐詩三百首≫
凡 例
參考文獻
目 次
001 感遇 其一(感遇 첫 번째 시) 張九齡 / 31
002 感遇 其二(感遇 두 번째 시) 張九齡 / 33
003 感遇 其三(感遇 세 번째 시) 張九齡 / 35
004 感遇 其四(感遇 네 번째 시) 張九齡 / 36
005 下終南山 過斛斯山人 宿置酒(종남산에서 내려와 곡사산인의 집에 들렀다가
묵으며 술을 마시다) 李 白 / 39
006 月下獨酌(달 아래 홀로 술을 마시며) 李 白 / 41
007 春思(봄 그리움) 李 白 / 44
008 望嶽(태산을 바라보며) 杜 甫 / 46
009 贈衛八處士(위팔처사에게 주다) 杜 甫 / 49
010 佳人(미인) 杜 甫 / 52
011 夢李白 二首之一(꿈에서 이백을 보고 두 수 중 첫 번째 시) 杜 甫 / 56
012 夢李白 二首之二(꿈에서 이백을 보고 두 수 중 두 번째 시) 杜 甫 / 59
013 送別(송별) 王 維 / 63
014 送?毋潛落第還鄕(과거에 낙방하여 고향으로 돌아가는 기무잠을 전송하며) 王 維 / 64
015 靑谿(청계) 王 維 / 67
016 渭川田家(위천의 농가) 王 維 / 69
017 西施詠(서시를 노래하다) 王 維 / 71
018 秋登蘭山寄張五(가을날 난산에 올라 장오에게 부치다) 孟浩然 / 75
019 夏日南亭懷辛大(여름날 남정에서 신대를 그리워하다) 孟浩然 / 77
020 宿業師山房 待丁大 不至(업사산방에 묵으며 정대를 기다렸으나 오지 않다)
孟浩然 / 79
021 同從弟南齋翫月憶山陰崔少府(종제와 함께 남재에서 달을 감상하며 산음의
최소부를 생각하다) 王昌齡 / 81
022 尋西山隱者不遇(서산의 은자를 찾아가나 만나지 못하다) 邱 爲 / 83
023 春泛若耶溪(봄날 약야계에 배를 띄우다) ?毋潛 / 86
024 宿王昌齡隱居(왕창령이 은거하던 곳에 머물다) 常 建 / 88
025 與高適薛據登慈恩寺浮圖(고적, 설거와 함께 자은사 부도에 오르다) 岑 參 / 90
026 賊退示官吏 幷序(적이 물러간 뒤 관리에게 보인다 병서) 元 結 / 94
027 郡齋雨中與諸文士燕集(군의 관사에서 비가 오는 가운데 여러 문사들과 연회를
열며) 韋應物 / 97
028 初發揚子寄元大校書(양자진을 떠나면서 교서랑 원대에게 부치다) 韋應物 / 100
029 寄全椒山中道士(전초산의 도사에게 부치다) 韋應物 / 102
030 長安遇馮著(장안에서 풍저를 만나다) 韋應物 / 105
031 夕次??縣(저녁에 우이현에서 묵다) 韋應物 / 107
032 東郊(동교에서) 韋應物 / 108
033 送楊氏女(양씨녀를 보내며) 韋應物 / 110
034 晨詣超師院讀禪經(새벽 초사원에 이르러 선경을 읽으며) 柳宗元 / 113
035 溪居(시냇가에 살다) 柳宗元 / 117
036 塞下曲 其一(변방의 노래 첫 번째 시) 王昌齡 / 119
037 塞下曲 其二(변방의 노래 두 번째 시) 王昌齡 / 121
038 關山月(관산월) 李 白 / 123
039 子夜四時歌 春歌(자야사시가 봄노래) 李 白 / 125
040 子夜四時歌 夏歌(자야사시가 여름노래) 李 白 / 127
041 子夜四時歌 秋歌(자야사시가 가을노래) 李 白 / 128
042 子夜四時歌 冬歌(자야사시가 겨울노래) 李 白 / 130
043 長干行(장간행) 李 白 / 131
044 烈女操(열녀의 노래) 孟 郊 / 135
045 遊子吟(나그네 노래) 孟 郊 / 137
046 登幽州臺歌(유주대에 올라 부른 노래) 陳子昻 / 139
047 古意(고의) 李 ? / 140
048 送陳章甫(진장보를 전송하며) 李 ? / 142
049 琴歌(거문고 노래) 李 ? / 146
050 聽董大彈胡?弄兼寄語房給事(동대가 호가롱을 타는 것을 듣고 겸하여 방급사에게
말을 전하다) 李 ? / 148
051 聽安萬善吹??歌(안만선이 부르는 필률가를 듣고) 李 ? / 153
052 夜歸鹿門歌(밤에 녹문산으로 돌아가며 부른 노래) 孟浩然 / 156
≪당시삼백수(唐詩三百首)≫는 당시(唐詩)의 선집(選集) 가운데 하나로, 청(淸)나라의 손수(孫洙)가 아동들의 시가 학습(詩歌學習)을 위하여 인구에 널리 회자되는 작품을 뽑아 만든 책이다. 당시(唐詩)는 모두 5만여 수에 이르고, 이 5만여 수에서 가리고 가려서 정수만 뽑은 것이 300수이며, 또한 300여 종에 이르는 당시의 선집 가운데 가장 많이 읽혔던 책이 바로 이 ≪당시삼백수≫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일찍부터 당시를 이해하기 위한 필독서이자 한시(漢詩)의 입문서로써 이 책이 애독되어 왔다. 이 책에는 작가 77명의 시 310수가 수록되어 있는데, 제왕(帝王), 사대부(士大夫), 승려(僧侶), 가녀(歌女), 무명씨(無名氏) 등 다양한 작가층이 망라되었고, 시체에 있어서도 고체시(古體詩)와 근체시(近體詩), 악부시(樂府詩)를 포괄하였다. 시기별로도 초당(初唐), 중당(中唐), 성당(盛唐), 만당(晩唐)의 시를 고루 안배했으며, 내용면에서는 당대의 사회생활과 시가의 풍모를 일정한 정도로 반영하였다.
≪당시삼백수≫는 당시를 이해하는 기초가 된다는 점에서 일찍부터 번역서의 필요성이 제기되었으나, 현재 국내에서 출간된 것으로는 대만에서 현대 중국어로 번역된 ≪신역 당시삼백수(新譯唐詩三百首)≫의 한국어 번역인 ≪한역 당시삼백수(韓譯唐詩三百首)≫가 유일하다.
본 ≪역주 당시삼백수(譯註唐詩三百首)≫는 성균관대학교 송재소(宋載?) 명예교수의 지도하에 5명의 전문 연구자들이 3년 동안 독회를 통하여 토론한 것을 바탕으로 역주한 것이다.
이 책의 특징은, 독자들이 공감할 수 있는 깊이 있는 해설과, 전문가들의 협동연구 결과에 의하여 엄밀하고 상세하게 역주된 것에 있다. <통석(通釋)>과 각 작품의 <해제(解題)>를 통하여 시의 내용 이해와 감상에 필요한 사항을 설명하는 한편, <집평(集評)>으로 후대 학자들의 평론을 모아 수록했는데 ‘우리나라 선대 학자들의 견해와 주석’을 수록한 것은 특기(特記)할 만하다. 이러한 점은 본회 번역의 기본 방침에 따른 것이다.
본 ≪역주 당시삼백수≫의 깊이 있는 해설과 상세한 주석은 당시(唐詩)를 이해하고 감상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이라 믿는다.
작가정보
이 상품의 총서
Klover리뷰 (0)
-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 리워드는 1,000원 이상 eBook, 오디오북, 동영상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됩니다. (5,000원 이상 상품으로 변경 예정,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은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 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문장수집
-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 수집 등록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리워드는 1,000원 이상 eBook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문장수집 등록 시 제공됩니다. (5,000원 이상 eBook으로 변경 예정,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 / 오디오북·동영상 상품/주문취소/환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최초1회)
- 리워드 제외 상품 : 마이 > 라이브러리 > Klover리뷰 > 리워드 안내 참고
- 콘텐츠 다운로드 또는 바로보기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
가장 와 닿는 하나의 키워드를 선택해주세요.
총 5MB 이하로 jpg,jpeg,png 파일만 업로드 가능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신고 내용은 이용약관 및 정책에 의해 처리됩니다.
허위 신고일 경우, 신고자의 서비스 활동이 제한될 수
있으니 유의하시어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
이 글을 작성한 작성자의 모든 글은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eBook 문장수집은 웹에서 직접 타이핑 가능하나, 모바일 앱에서 도서를 열람하여 문장을 드래그하시면 직접 타이핑 하실 필요 없이 보다 편하게 남길 수 있습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선물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
보유 권수 / 선물할 권수0권 / 1권
-
받는사람 이름받는사람 휴대전화
- 구매한 이용권의 대한 잔여권수를 선물할 수 있습니다.
- 열람권은 1인당 1권씩 선물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이 ‘미등록’ 상태일 경우에만 ‘열람권 선물내역’화면에서 선물취소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의 등록유효기간은 14일 입니다.
(상대방이 기한내에 등록하지 않을 경우 소멸됩니다.) - 무제한 이용권일 경우 열람권 선물이 불가합니다.
첫 구매 시 교보e캐시 지급해 드립니다.

- 첫 구매 후 3일 이내 다운로드 시 익일 자동 지급
- 한 ID당 최초 1회 지급 / sam 이용권 제외
- 구글바이액션을 통해 교보eBook 구매 이력이 없는 회원 대상
- 교보e캐시 1,000원 지급 (유효기간 지급일로부터 7일)